지구과학 별의 분광형 (스펙트럼) 질문

지구과학 별의 분광형 (스펙트럼) 질문

작성일 2023.04.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흡수선의 세기가 가장 강하게 나타는것을 보고 별의 표면온도를 비교할수있다 이잖아요??
그 원리가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별(광원)에서 에너지를 가진 빛을 생성해냅니다

이 빛은 별의 대기를 통과하게 되는데 대기들이 특정파장의 빛을 흡수합니다(에너지준위)

그 특정 파장의 빛은 대기에 흡수되어 그 빛을 스펙트럼으로 관측하면

특정파장이 검은색으로 칠해진(흡수된) 흡수 스펙트럼이 나타나게 됩니다

O,B 형 별의경우 HE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고하니 에너지준위의 크기가 가장 낮은->파장이 긴
빨간색쪽 빛이 흡수되어 나타남    나머지는 같은원리..


이게 맞나요?? 세부적인 과정이 더 있더라도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그리고 O형 별의 경우 HE(II)
B형 별의 경우HE(I)
A형 별의 경우H(I) 의 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는 경향이 있다는걸 알았잖아요??

이렇게 된 원인이 O별에는 HE(II)대기가 가장많아서/ B별에는 HE(I)대기가 가장많아서 .. 이런식으로 유추도 되나요?? 아니면 O->B->A->F ... 이렇게 갈수록 별의 표면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도 고려해야하서 추론은 불가능한가요??(고등과정내에서)




#지구과학 별의 물리량 #지구과학 별의 진화 #지구과학 별의 질량 #지구과학 별의 특성 #지구과학 별의 일주운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

네,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별의 스펙트럼에서 특정 파장의 빛이 얼마나 흡수되는지를 측정하여 별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O형 별은 HE(II) 대기가 가장 많아서, B형 별은 HE(I) 대기가 가장 많아서, A형 별은 H(I) 대기가 가장 많아서, F형 별은 Ca(II) 대기가 가장 많아서 각각의 스펙트럼에서 해당 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납니다.

별의 스펙트럼에서 흡수선의 세기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은 그 파장대에서 에너지준위가 낮은 원자나 이온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통해 해당 원자나 이온들이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별의 표면온도와 관련해서는 O형 별부터 M형 별까지 순서대로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성을 고려하여 다른 요소들도 함께 고려하여 추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원소 스펙트럼(지구과학1 질문)

... 지구과학보단 화학에 가까운 질문 같은데 He 이온흡수선이 O형 B형의 뜨거운 별에서... 아래 이온화에너지하고 위 분광형하고 비교해보시면 완벽히 동일하진 않지만, 상당히...

태양 분광형 질문 (지구과학)

태양은 흡수 스펙트럼을 통해서 98%프로가 헬륨과 수소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별의... 높다고 나오네요 별의 분광형 그래프가 표면의 대기에 흡수선을 나타내는 건가요? 네

별의 분광형/스펙트럼 에 대해

... 그 또한 같은 청색 인가요? 아니면 색이 진해져서 남색이 되거나, 다른색으로 변하게 되나요? 쓸데 없는 질문 같지만 물어봅니다. 내공냠냠은 신고합니다 스펙트럼을...

지구과학 스펙트럼 질문

별마다 스펙트럼이 다르게나타나는이유가 뭔가요? 별마다 스펙트럼이 다른 이유는 별의 구성원소와 온도가 다르기 때문인데요. 각 원소는 고유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과학1 별의 스펙트럼 질문드려요

... 그리고 표면 온도가 같아도 광도가 다르면 스펙트럼이 달라지나요? 광도는 전체에서 나오는 전체 빛을 말합니다. 즉 별의 크기가 크고 표면온도가 낮은 것과 별의 크기가...

분광형 질문

... 분광형 o b a f g k m 에서 o에 가까울수록 흡수선의 세기가 크다는 것은 스펙트럼에서의 검은 선이 두껍다는 걸 의미하는 것인가요? 별은 표면온도와 상관없이 모든 파장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