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계열성에서 수소핵융합을 할 때는

”주계열성에서 수소핵융합을 할 때는

작성일 2023.03.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주계열성에서 수소핵융합을 할 때는 내부압력이랑 중력이 평형을 이뤄서 별의 크기가 일정하다 수소핵융합이 끝나고 평형이 깨지면서 별은 수축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에너지로 바깥층은 수소핵융합 반응을 시작해 팽창하고 중심부는 계속 수축한다 수축하다 중심부의 온도가 1억K 이상이 되면 헬륨핵융합 반응이 시작된다.“ 여기까진 이해가 되는데 그 뒤가 이해가 안가요.. 헬륨핵융합이 시작돼도 겉은 팽창 중심부는 수축하는 게 계속 이어지나요? 아님 수소핵융합처럼 헬륨핵융합 중에도 중력과 내부압력 평형을 이뤄서 크기가 일정한가요? 아님 겉도 수축 중심부도 수축하나요? 아님 겉도 팽창 중심부도 팽창하나요? 헬륨핵융합 !!진행 중!! 일 때 질문입니다 너무 면밀하게는 말고 통합과학이나 지1 수준으로만 설명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헬륨이 핵에서 핵융합을 하기 시작하면, 질량에 따라서 좀 다르긴 한데요. 이미 그 상태에서는 별 전역에서 핵융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죠. 여전히 수소는 있으니까요.

적색거성 상태에서는 폭발력에 의해서 겉에 있는 수소들은 퍼져나가기 시작하고, 중심부에서는 헬륨 핵융합이 발생합니다. 질량이 꽤 컸다면, 중력을 유지하고 있게 되고, 중심핵은 중력 수축으로 크기가 유지되겠지만, 질량이 적은 경우 헬륨 핵융합으로 중심핵도 부피가 커지게 되면서 생을 마감합니다. 중심핵이 아닌 겉부분은 질량 상관없이 모두 팽창해요. 헬륨 융합은 1억 2천만 K가 넘어야 발생하니까요.

질량이 컸다면, 중심핵은 탄소-질소-산소 단계를 거치면서 블랙홀이 된다던지 하게 되겠죠. 태양은 질량이 그정도는 안 되어서 헬륨이 융합되면서 탄소로 바뀌고, 중력수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적색거성 상태로 가다가 중심핵만 백색왜성 형태로 남겠죠.

주계열성의 질량은 천차만별이라서 똑같이 설명하기는 힘들 듯 합니다.

수소핵융합 할때 주계열성

주계열성 : 수소핵융합 반응을 통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별은 별의 중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됨 이라는데요 그러면, 근데 수소핵융합 반응을...

주계열성때는 수소핵융합반응이 이러나면

주계열성때는 수소핵융합반응이 이러나면서 내부압이 생겨 중력이 수축을 해도 크기를 유지한다고 했는데 적색거성때는 헬륨핵반응과 수소핵융합반응을 할때 크기가...

주계열성 수소핵융합

... 원시별➔1000만K➔수소핵융합=주계열성 인지 모르겠어요 자세하게 쉽게... 도달하고 핵심에서 수소융합을 시작할 때 시작됩니다. 이 프로토별은 주계열성이 됩니다.

주계열성수소핵융합

주계열성수소핵융합을 할 때 4H -> He 4개의 수소 원자핵이 1개의 헬륨 원자핵으로 되는데 헬륨 원자핵은 양성자가 2개인데 수소 원자핵이 2개만 있어도 되는거 아닌가요?...

주계열성 수소 핵 융합반응

... 주계열성에서 주계열성 이후로 갈 때는 수소핵융합반응이 끝나고 헬륨만 남아있을텐데 그림이 왜 저리되는지 모르겠어요 중심부에서만 수소가 다쓰인겁니다 저기는 온도가...

주계열성 수소 핵융합반응

주계열성에서 수소핵융합 반응 일어날때 별 전체의 수소핵융합 반응에 쓰는건가요? 아닙니다 중심부에서만 수소핵융합이 일어납니다 외곽에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