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플럭션에 대해

솔리플럭션에 대해

작성일 2021.01.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최후 빙기때 솔리플럭션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두산백과

솔리플럭션

[ solifluction음성듣기 ]

요약 사면에 있는 퇴적물이 수분을 머금고 포화 상태가 되어 중력 작용에 의해 사면을 따라 천천히 이동하는 것.

사면에 있는 퇴적물은 수분을 머금고 포화 상태가 되면 중력 작용에 의해 사면을 따라 천천히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퇴적물의 느린 이동을 솔리플럭션이라고 한다.

솔리플럭션이 주로 관찰되는 지역은 주빙하 지역이다. 주빙하 지역이란 빙하 주변 지역을 의미하며, 주로 툰드라 기후 지역이나 고산 지대에 분포한다. 이 지역의 토양층은 여름에도 녹지 않고 일년 내내 얼어 있는 영구 동토층과, 영구 동토층 위로 겨울에는 얼지만 여름에는 일시적으로 녹는 활동층으로 구분된다. 주빙하 지역에서 산지처럼 경사가 있는 사면에서는 여름철이 되면 활동층이 일시적으로 녹으면서 수분으로 포화 상태가 되지만, 그 아래의 영구동토층은 여전히 얼어 있어 불투수층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배수가 불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활동층의 토양이 영구동토층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듯이 천천히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솔리플럭션이다.

최근에는 주빙하 지역에서 발생하는 솔리플럭션을 따로 구분하여 젤리플럭션(geliflucti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지식백과] 솔리플럭션 [solifluction] (두산백과)

솔리플럭션에 대해

최후 빙기때 솔리플럭션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두산백과 솔리플럭션 [ solifluction음성듣기 ] 요약... 이동을 솔리플럭션이라고 한다. 솔리플럭션이 주로...

세계지리 초보가 질문좀 드릴게요. ㅠㅠ

... - 솔리플럭션이 일어나는 영구 동토층과 원래 잘 녹는 기존 동토층의 차이는... 추가적으로 한류에 대해 설명을 드리자면 한류가 흐르는 지역은 기온이 올라가야 생기는...

[내공30] (빙하,지하수,바람,파도)에...

빙하, 지하수 , 바람, 파도 중 골라서 ~에 의한 작용에 대해 보고서를 써야 되요.. 글자... 산사태·붕괴·암석 쇄설물사태·크리프·솔리플럭션을 포함하며 중력침식이라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