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퇴/축퇴압이란 무엇인가요?

축퇴/축퇴압이란 무엇인가요?

작성일 2011.11.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백색왜성 중성자별 얘기를 할 때 축퇴압에 의해 생성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그 축퇴란 개념이 잘 안옵니다. 한위상공간에 하나의 입자가 들어갈 수 있다는 파울리베타원리에 의해 발생하는 밀어내는 힘이라는 정도로 알고 있는데, 파울리베타원리에 의해 어떻게 압력이 생성된다는 건지, 정확히 무엇이 축퇴라는 건지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확히 말하면 백색왜성은 '축퇴압', 중성자별은 '핵력'에 의해 자신의 중력을 버텨냅니다.

백색왜성은 전자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전자들은 '페르미온'에 속합니다. 그런데 이 페르미온의

특징은 '같은 페르미온이 한 궤도내에서 같은 성질(스핀)을 가지고 있는 것은 불가능하다. 만약

그렇다고 하더라도 페르미온은 반발력에 의해 팅겨져 나간다'입니다.

이것이 바로 파울리의 배타원리 입니다.

 

페르미온의 스핀의 방향이 같은 경우 같은 '양자화된 궤도'내에서 존재할 수 없습니다. 당연히

스핀이 같은 전자들끼리는 같은 궤도내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백색왜성의 경우 전자들은

중력에 의해 억지로 집어넣어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파울리의 배타원리에 따라 전자들은

같은 궤도내에 있지 않기 위해서 반발력이 생기게 되고 백색왜성은 이 반발력으로 중력을

버텨냅니다.

 

한편 중성자별은 말 그대로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는 별입니다. 핵자라 불리우는

양성자와 중성자들은 특성상 서로 같이 붙어있지 못하고 '일종의 척력'이 작용해서 떨어지려고

합니다. 물론 양성자와 양성자, 중성자와 중성자끼리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러나 원자핵에는

양성자와 중성자 말고도 '글루온'이라는 글루볼의 일종 중 하나인 '접착자'가 존재합니다.

이 접착자는 마치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 접착력으로 양성자와 중성자를 붙들어

놓습니다. 그런데 양성자가 없이 혼자 떨어져 나온 중성자에는 이런 글루온의 힘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성자는 다른 중성자끼리의 반발력에 의해 팅겨져 나오려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중성자별의 중력에 대응하는 힘입니다.

축퇴/축퇴압이란 무엇인가요?

백색왜성 중성자별 얘기를 할 때 축퇴압에 의해 생성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그 축퇴란 개념이 잘 안옵니다. 한위상공간에 하나의 입자가 들어갈 수 있다는 파울리베타원리에...

로봇물에 자주 나오는 \"축퇴로\" 말입니다.

... 질문1: 축퇴로 는 무엇인가요? 그 원리는 어떻게되며, 어떻게 에너지를 끌어내나요?... 축퇴압이란 게 결국 수소원자가 붕괴되기 직전에 반발하는 압력이라는 뜻인데 그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