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거성, 초거성, 그리고 태양에관한 질문

적색거성, 초거성, 그리고 태양에관한 질문

작성일 2011.08.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먼저 저는 천문학에 관심이 깊고 천문관련 도서읽기 또는 영상 및 사진 수집 등등을 취미로 하고잇는

한 고1 남학생입니다.

 

제가 질문 드리고자 하는것들은 우선, 태양과 적색거성 초거성 세개로 나뉠텐데요

 

처음에 드릴 질문 은, 교과서에서 보면

태양 질량의 0.1~2배 가량은 탄소 핵융합과정 없이 바로 행성상 성운이후 백색왜성이 되고,

태양 질량의 2~9배 가량은 탄소 행융합과정을 거쳐 성운이후 왜성이 된다라고 나왔는데요,

 

제가 구한 영상중 하나에선 '천문학자들은 백색왜성의 중심에는 순수한 탄소결정체가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라는데 그럼 0.1~2배 가량의 질량으로 된 주계열성에서 왜성으로 간 경우에는 중심에 무엇이 존재하나요?

만약에 원래 왜성의 중심에 탄소가아니라면 무엇이 잇는건가요?

 

그리고 두번재 질문으로 적색 거성의경우 책에서 볼경우 탄소까지만 생성해낸다고 나와잇는데

그 이상으로는 생성해내지 못하나요?(규소,인,황 정도까지)

제가알기론 초거성에선 철이 생성되고, 그 철이 에너지를 흡수해버려서 중력이 더 세진결과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다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만약 철 이전원소 즉 규소,인,황 까지만 생성해내는 별은 없는건가요?

만약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 별은 적색거성과 같이 더이상 태울 연료가없어 대기가 해체되고 중심 핵만남는 별로 되기위해 행성상 성운이일어나는건지...

 

마지막 세번째 질문 은 두번째에서 언급했던것인데요, 만약에 철 이전원소인 규소,인,황까지만 생성해내는 별이 있다면 그 별은 적색거성인가요 초거성인가요?

 

 

-----------추가질문-----------

적색거성은 영어로 Red Giant

초거성은 영어로 Super Giant 라고 하는데

 

Red Super Giant는 무엇이고

Red Hyper Giant는 각각 무엇을 뜻하는건가요?

 

Red Hyper Giant의 경우 VY 캐니스 메이져리스 를  칭하는것같던데

그냥 가장큰 적색의 거성이란뜻인가요?


#적색거성 초거성 차이 #적색거성 초거성 수명 #적색거성 초거성 #적색거성 초거성 광도 #적색거성 초거성 구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첫번째 질문: 백색왜성의 중심부에는 무엇이 있는가?

 

백색왜성은 항성이 핵융합하고 남은 재로 구성됩니다.

대부분의 백색왜성은 헬륨의 핵융합 반응의 결과인 탄소/산소로 구성됩니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항성의 핵에서는  헬륨 핵융합까지 일어나고 그 결과 탄소/산소가 남게되구요.

좀 더 무거운 항성에서는 탄소/산소가 핵반응을 일으켜 산소/네온/마그네슘이 남게되지요.

 

교과서에서 태양질량의 2배를 기준으로 탄소 핵융합과정을 구분했는데,

잘못된 정보입니다. (어느 출판사에서 나온 교과서인지 알고 싶군요.)

항성 내부에서 탄소 핵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약 8 M_sun, 태양질량의 8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물론 8배라는 기준점은 경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2 M_sun까지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는 1~8 M_sun의 항성은 탄소/산소 백색왜성으로 끝나고,

8~10 M_sun의 항성이 산소/네온/마그네슘 백색왜성으로 끝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산소/네온/마그네슘 백색왜성은 흔치 않을 것입니다.

8~10 M_sun 의 항성은 그 보다 질량이 작은 항성에 비해 그 개수가 대단히 적기 때문이죠.

 

두번재 질문: 탄소보다 무거운 원소의 생성, 행성상 성운이 만들어지는 과정

 

헬륨 연소가 끝나고 다시 거성처럼 부풀어 오르는 단계를

점근거성렬(AGB: Asymptotic Giant Branch) 항성이라고 합니다.

이 단계는 적색거성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지만 헬륨 껍질과 수소 껍질의 이중 껍질층 구조를 가지는 점이

수소 껍질층만을 가지는 적색거성과 구분됩니다.

 

비록 이 들 항성 내부에서 탄소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지만, 알파 과정(Alpha process)을 통해 가능합니다.

탄소보다 무거운 원소는 α입자(즉, 헬륨핵)을 포획하면서 무거운 원소가 될 수 있습니다.

헬륨 연소 과정에서 생겨난 탄소가 산소가 되는 과정도 주로 이 과정을 거치게 되지요.

α입자 포획 과정은 니켈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행성상 성운이 일어나는 과정은 초신성에서의 그것과는 다릅니다.

점근거성렬 단계에서부터 항성은 많은 질량 손실을 겪는데,

초항성풍(super wind)이라 부르는 마지막 단계에서의 막대한 질량 손실이 행성상 성운으로 이어집니다.

이 초항성풍의 발생 원인은 아마도 항성의 맥동 방식에 변화때문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세번째 질문: 철 이전원소인 규소,인,황까지 생성해내는 별?

 

두 번째 질문 답변에서 어느정도 답이 나왔지요?

점근 거성렬 항성에서 α입자 포획 과정으로 만들어 집니다만, 그 수량이 제한적입니다.

 

더 무거운 항성에서는 효율적으로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추가질문: Red Super Giant?, Red Hyper Giant?

 

앞에 붙는 Red/Blue 같은 말은 항성의 표면 온도와 관련된 말이고,

Giant/ Super Giant와 같은 말은 (크기보다는) 항성의 광도와 관련된 말입니다.

 

초거성은 진화 속도가 대단히 빠르고, 광도가 대단히 큰 항성들입니다.

질량이 작은 항성은 진화하는 동안 어느 시기에만 Giant 상태를 거치는데

질량이 대단히 큰 별은 만들어지자마자 이미 Super Giant 상태입니다.

그 만큼 광도가 높다는 의미이지요.

만약 고온의 초거성 항성이라면 Blue Super Giant라고 부르고,

저온의 초거성 항성은 Red Super Giant라고 부릅니다.

 

Super Giant보다 더 높은 광도를 가지는 별을 Hyper Giant 라고 부릅니다.

마찬가지로 고온이라면 Blue를 저온이라면 Red를 앞에 붙이면 됩니다.

간혹 중간단계로 Yellow가 붙기도 합니다.

 

Hyper Giant 는 대단히 드물어 그 수가 적고 본질을 아직 잘 모릅니다.

그래서 새로운 클래스로 구분하기 보다는 지극히 밝은 특성을 강조하는 늬앙스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Super Giant나 Hyper Giant를 특별히 구분하지는 안는것 같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론적으로 태양의 0.08배의 질량을 가지고 있으면 수소 핵융합을 할수 있는 조건이 생긴다고 합니다. 헬륨을 핵융합 할 수 있으려면 최소한 태양의 절반 정도의 질량은 있어야 합니다. 질량이 태양의 절반 이하인 경우에는 헬륨을 핵융합 할 수 있는 온도도 안되고 표층부 수소를 핵융합 할 수 있는 여건도 안되므로  수축을 하다가  적색 왜성이 되겠네요. 보다 큰 별은 헬륨에서 베릴륨을 거쳐 탄소를 생성하게 됩니다. 이때의 백색왜성의 주성분은 헬륨과 탄소결정체가 될 것입니다. 별의 질량이 클수록 헬륨보다는 탄소의 비율이 높아지겠죠.

적색거성과 초거성의 구분은 질량의 차이입니다. 적색거성은 대략 태양의 0.5-10배 초거성은 10-70배 hypergiant 라 불리는 극대거성은 태양의 70- 배입니다. 일반적으로 적색거성이라 불리는 것은 대부분 핵융합으로 탄소까지 생성합니다. 탄소는 상당히 안정된 물질이기 때문에 핵융합으로 산소가 되려면  하려면 약 10억k의 온도가 있어야 되고 이것이 가능하려면 최소 태양의 5배 이상의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적색거성은 핵융합으로 탄소까지 생성하게 됩니다. 하지만 반드시 탄소까지 핵융합 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탄소를 핵융합하여 산소까지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일단 산소는 안정된 물질이라 산소를 핵융합시키려면 더 높은 압력과 온도가 필요합니다. 질량이 충분치 못하다면 행성상 성운과 백색왜성으로 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탄소와 산소까지 생성하는 별을 적색거성이라고 하고 초거성은 철까지 생성합니다. 산소 이후의 질소, 마그네슘, 인,황, 망간 등을 생성하는 것은 초거성 단계의 핵융합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별은 초거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가하자면  hypergiant 는 극대거성이라고 하는데 초거성보다 더 큰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절대등급이 -7 이상인 별을 지칭합니다.
  



적색거성초거성 표면온도??

... 되어서 적색거성의 표면온도가 초거성의 것보다 높지 않나요?? 그리고 그렇게 따지면 질량이 큰 별일수록... 역시 태양의 500만배이상입니다. 반면에 저온의 적색...

주계열성이 적색거성초거성으로 진화

... 만약 그게 아니라면 적색거성, 초거성으로 진화하는건 언제부터인가요 그리고 아량이 넓은 분이시라면 위 질문과 함께 초신성이랑 초신성 폭발의 차이도 같이 알려주시면...

주계열성이 초거성, 적색거성 단계에서...

... 안되서 질문 올려봅니당.. 주계열성은 수소 핵융합 반응을 하고 질량이 태양과 비슷할 땐 적색거성이 되고 질량이 태양의 10배일 땐 초거성 단계가 되고 각각 핵융합반응...

적색거성초거성의차이점!

주계열성에서 적색거성초거성으로가는차이가 질량차이맞나요? 그리고주겨열성에서수소핵융합후... 있는것이 적색거성입니다. 적색거성태양같은별이 죽으면 적색거성이...

주계열성과 적색 거성 질문

... 이것은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에 한해서만... 아니면 끝나기 전에 적색 거성이나 초거성으로 넘어가나요? 3.... 3번 질문을 특히 고1 수준에서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1....

적색거성의 팽창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 <질문> 태양이 50억 년 이후엔 적색거성이 될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그리고 적색거성은 계속 팽창한다고 알고 있으며, 태양적색거성이 되면 지구를 비롯한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