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다양성과 생물 자원이란?

생물 다양성과 생물 자원이란?

작성일 2009.07.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식활동 후원제도를 통해 <지식활동대>로 선발되신 zantac7님께 드리는 미션 질문입니다.

 

생물 다양성과 생물 자원이란 무엇인가요?

zantac7님,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정성스러운 답변 부탁합니다.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의 관계 #생물 다양성과 유지 #생물 다양성과 분류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보전의 관계 #생물 다양성과 보전 #생물 다양성과 유지 문제 #생물 다양성과 진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자원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보전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의 평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생물다양성은 지구상에 있는 생물의 총체적 다양성을 말하는 것으로 모든 생물종과 유전자, 생태계의 세 단계 다양성을 종합한 개념입니다. 생물다양성은 생명체를 보는 단계에 따라 종 수준의 다양성, 유전자 수준의 다양성, 생태계 수준의 다양성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은 지구에 서식하는 동식물, 곤충 및 미생물 등 다양한 생물종다양성을 의미합니다. 환경에 적응하면서 발현 되는 유전자가 특정 생명체의 형질로 진화되어 일정 지역 내에 서식하는 종 수의 다양성을 나타나는 것을 뜻합니다.

 

-유전자 다양성(Gene Diversity)은 지구상에 생존하는 개체 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정보의 총칭으로 모든 생물들의 세포 속에 있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다양성(Ecosystem Diversity)은 한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군집양상과 상호작용 시스템의 차이로 구분되며, 생물종들이 비생물적인 환경요인들과 어우러져 이루는 생태계의 구성요소의 다양성을 의미합니다.

 

 

즉 생물다양성은 유전자, 생물종, 생태계의 세 단계 다양성을 종합한 개념으로 지구의 모든 생물들과 그 생물들을 둘러 싼 환경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다양성은 생명의 궁극적인 원천이며 인간과 생태계 등의 생명부양시스템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자원으로 알려지기 시작합니다. 생물종 다양성의 보존은 자연보호, 자원관리 측면에서 중요하게 나타납니다. 생물다양성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물 종의 보호와 생태계 보전이만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을 개발하고 보전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볼수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가치는 액수로 따질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은 인간에게 유용한 생물자원을 추출하고 산업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반으로 볼수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4가지로 구분해 보면 생태계가 우리에게 주는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적 가치, 생물 자원적 가치, 사회적 가치 그리고 마지막 경제적 가치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생물다양성에 의한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오염원을 감소시키며, 휴양 환경으로 써의 기능적 가치, 그리고 생물 자원으로 이용이 가능한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 경제적 효과만을 따져본다면  이산화탄소 분해를 통해 온실효과 감소에 연간 1,350억 달러, 쓰레기처리에 연간 7,600억 달러, 미생물에 의한 질소고정에 연간 900억 달러 등의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고 추산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또한 생물자원은 생물을 이용해 다양한 경제적 가치로 이용하는 것으로 약품 가운데 70~80%는 생물에서 추출한 천연물질로 만들어집니다. 버드나무에선 아스피린, 엉겅퀴에선 간장질환제, 은행나무에선 혈액순환제를 제조하는 천연물질을 추출하게 됩니다. 생물자원의 이용은 이렇게 다양한 방법들로 활용되어 집니다.

 

지구상에 모든 동물과 식물 등의 생물들을 합한 종의 숫자는 3,000만여 종은 되리라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인간에 의해 발견 되고 최소한의 내용 만으로라도 기록 된 종은 동물 150만 종, 식물 50만 종을 합해서 200만여 종에 불과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한반도에 분포할 것으로 추정되는 생물 약 10만종 가운데 약 3만종만이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생물들은 아직도 극히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즉 생물다양성과 생물이 가진 자원으로써의 가치는 아직 무궁무진한 것으로 볼수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막기 위해 현재 많은 국제적 협약 등이 마련되기도 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의 보전·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분배할 것을 목적으로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답변확정되었습니다. 유엔 생물다양성협약에 의해서 국가 소유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인정한 뒤 생물자원은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에너지부족, 난치병, 환경문제 등 난제를 해결할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 보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자원 1kg의 가치를 추산해 보면 휘발유는 1달러, 금은 1만 달러인데 반해, 인간성장호르몬은 2천만 달러, 항암제 택솔의 주성분은 1천 200만 달러에 달할 정도로 생물에서 추출해낸 물질들은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생물종은 특허로의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허 등록을 한 생물에 대해서는 원산지 국가가 권리를 주장 할 수 있지만 근거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게 됩니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구상나무의 경우 우리나라의 특산종(고유종(固有種)이라고도 하며, 특정 장소나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종을 말합니다.)으로 크리스마스트리를 비롯해 정원수로 널리 각광 받고 있는 식물인데, 1904년 유럽에 반출 되어져 서양인들의 개량을 통해 신종 구상나무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개량되어진 구상나무는 현재 유럽이나 미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역수입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구상나무가 알려지기 전까지는 전나무가 주로 사용 되었습니다.) 이렇게 전세계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각광받는 구상나무는 한국의 특산종이나, 이미 백년 전쯤 주인도 모르게 해외로 실려나갔기 때문에 현재는 소유권 조차 주장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이는 일제시대 일본사람에 의해 외국에 기증 혹은 반출 되어진 경우에는 한국정부가 국외로 유출된 자생종의 기록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품종개량을 거쳐 특허 등록을 한 식물에 대해서는 원산지 국가가 권리를 주장할 수 없는 이유도 있습니다. 현재 구상나무 이외에도 하루백합(daylily)으로 개량된 토종 원추리, 미스킴라일락으로 명명된 수수꽃다리 , 오이피클로 널리 사용되는 백다다기오이 등 많은 생물 자원들이 국외로 빠져나가 해외에서 로열티 한푼 없이 마음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귀중한 우리의 생물 종(種)의 보전과 자연자원의 지속 가능 이용간의 조화를 이뤄야할 것입니다.

 


 

현재 지구는 인간이라는 한 종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자연자원의 과잉이용이나 지형의 인위적인 변화, 경제활동에 의한 오염 등에 의해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버드대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에 따르면 연간 약2만7000종이 사라진다고 하니, 3000만종 안팎으로 추정되는 지구상 생물종은 대략 1000년이 지나면 2700만종이 사라져 생물종이 거의 다 없어져 생물다양성은 전부 파괴 될 것입니다. 생물다양성의 파괴는 인류의 멸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을 보호 하기 위해서는 서식지와 소생태계의 개발로 수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는 서식처를 만들어주고, 특히 해양의 보전이나 습지의 보호등에 높은 관심을 보여야 할 것입니다. 또한 서식지의 분단과 같은 교란을 최소화하여 많은 생물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공간을 이뤄야 할 것이며, 친환경적인 방법들로 오염을 최소화 하여야 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지속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생물 다양성과 생물 자원이란?

... 생물 다양성과 생물 자원이란 무엇인가요? zantac7님,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정성스러운 답변 부탁합니다. 생물다양성은 지구상에 있는 생물의 총체적 다양성을 말하는...

생물 다양성과 관련된 협약

... 생물 다양성 협약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목적: 지구상의 생물 다양성 보전, 생물 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유전자원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생물자원생물다양성의관계

생물자원생물다양성의관계 한줄요약부탁드려요 빨리요!! 내공20 간단하게는 생물다양성이 클수록 생물 자원이 많다고 할 수 있는 거에요. 일종의 비레관게죠 ㅎㅎ

생물다양성과 지구환경

... 따라서 생물다양성과 생물자원이 주는 공익적 기능과 경제적 가치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물다양성과 생물자원의 적절한 이용과 보존을 무시한 경제정책은...

나는 세계 시민입니다 생물다양성 요약

... 보존: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려면 서식지 보존 및 복원,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 오염 감소, 기후 변화 방지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