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혈액형에 관해서 질문합니다 .. 헷갈려요 ㅠ

Rh혈액형에 관해서 질문합니다 .. 헷갈려요 ㅠ

작성일 2009.04.1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rh혈액형이란것이 토끼에게 붉은털원숭이의 혈액을 주입한다음에

 

그 붉은털원숭이의 혈액이 토끼한테는 항원이니까 항체를 생성하는것 아니에요

 

그담에 그 항체가생성된 토끼의 혈액을 뽑아서

 

사람에게 주입해서 응집반응이 일어나면 rh+형 응집반응이 안일어나면 rh-가 아닌가요?

 

그런데 문제를 풀면서 이상한게 나와서 적아세포증에 관한 문제인데요 ㅜㅜ

 

혈액형이 rh-인 엄마와 첫째가 rh+형이고 둘째도 rh+일때 적아세포증이 일어난다고 알고있거든요?

 

근데 이때 rh-인엄마가 rh+인 첫째를 임신했을때 rh+인 아이가 rh에대한 항체(응집소)를가진것이 아닌가요?

 

위에 실험에서 rh+라는 혈액형 자체가 rh에대한 항체를 가진것으로 알고있는데요 ㅜㅜ

 

그리고 적아세포증은 혼자해서 도저히 정확하게모르겠어요

 

1. 적아세포증이 발생하는과정

 

2. rh+라는혈액형이 rh에대한 항체(응집소)를 가진것인지?

 

도저히 헷갈려서 못하겠네요

 

생물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적아세포증은, Rh+(RR,Rr) 아버지와 Rh-(rr)의 어머니사이에서 Rh+(Rr)인 아이가 태어나고,

아이를 낳는 과정에서 아이의 피가 모체의 몸속에 들어가고 나서 생기는 Rh항체때문입니다.

 

Rh+의경우Rh항원을 갖고 Rh-의경우 Rh+의피와만나면 얼마후 Rh항체를 형성합니다.

(Rh항원은탯줄로이동이불가능합니다)

 

그 다음 아이가 Rh+인경우 어머니로부터 Rh항체가 들어오게 됩니다.

(Rh항체는탯줄로이동가능합니다)

 

그렇게되면 Rh항원과 Rh항체가 서로 엉켜버리게 되고,

적혈구가 적당히 성장하기 전에 죽어버립니다.

 

때문에 산소공급이 힘들어지겠죠, 아기는 금새 죽습니다.

 

2. Rh+혈액형은 항원을 갖고잇고요.

 

이러한 적아세포증을 피하려면 아기를가졌을때 산부인과 의사에게 말하면,

특수한 물질을 산모에게 주사해줘서 피하게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도움이됬으면좋겟네요,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적아세포증은 Rh-인 엄마에게 RH+인 아이가 생겼을때 문제가 되는데요.

  임신중에는 태아의 혈액이 엄마에게 노출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항체가 형성되지 않는데

  출산중에 태아의 혈액에 노출되면서 엄마 몸에 항체가 형성되게 되죠.

  그러면 이 항체가 다음 임신때 태반을 통과해서 아이의 혈액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항체가 아이의 적혈구를 용혈 시켜서 빈혈인 상태로 태어나게 되는데 이것을

  적아세포증이라고 합니다.

 

2. RH+라는 것은 항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항원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Rh혈액형에 관해서 질문합니다 .....

... rh+라는혈액형rh에대한 항체(응집소)를 가진것인지? 도저히 헷갈려서 못하겠네요 생물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1. 적아세포증은, Rh+(RR,Rr) 아버지와 Rh-(rr)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