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당의 이동경로

포도당의 이동경로

작성일 2008.10.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포도당이 소화,배설,순환을 다 거치나요?? 그럼 각각 세가지 방법의 이동경로좀 알려주세요...진짜ㅏ 급합니다. 급구급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확정부탁드립니다

 

 

 

식물: 잎에서 만들어진 포도당은 바로 녹말로 전환되어 잎에 저장되었다가 밤에 빛이 없을 때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온 식물 내를 돌아다닌다.

동물: 외부에서 섭취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런 것들은 다당류라고, 포도당이 무더기로 결합되어 있음) 이 소화되면서 포도당으로 나누어지고, 이 포도당이 온 몸 곳곳의 세포에 이동되어(혈액) 세포에 공급된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음료수/각종 먹거리/보약 등등)은 체내에 들어 가면 소화기관으로 들어가서 일단 소화라는 과정을 거치지요.

소화를 통하여 polymer상태에서 monomer상태로 바뀌게 됩니다 소화기관을 거쳐 지나는 동안에 소장/대장을 통과하면서 체내로 흡수됩니다. 여기서 흡수라고하는 것은 blood stream(혈관조직)으로 들어오게 되는 거져.

혈관조직으로 들어와서

1) 에너지원

2) 체구성성분

3)저장형

4)기타 활성물질(약품같은경우)

역할을 하게 디는 데

 

에너지 원으로 사용되는  monomer는 최종적으로는 ATP 생성에 관여하져.

ATP생성에 관여하려면 monomer 상태인 biomolocule이 세포내로 들어가서 최종목적지(세포질)까지 도달해야 하지요

세포는 크게 4가지 방법으로 세포내,외 물질의 이동에 관여합니다..

1)phagocytosis(탐세포작용)-고형성분(입자가 큰것)

2)pinocytosis(음세포작용)-액상 성분(입자가 작은것)

 

3)symport-확산개념의 물질이동 (농도 구배가 driving force로 작용)

4)anti-port-확산개념의 물질이동

세포조직에 따라 위 4가지의 물질 수송기작은 수송 비율이 차이가 있다.

 

세포의 필요에 의하여 에너지를 이용한 능동수송이 일어나지만  

세포막은  기본적으로 물질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로 작용며 분자량이 작은 물질은 확산의 원리에 의하여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곳으로의 이동이 일어난다.

 

세포막은 이중지질층으로 되어 있으며 envagination과 budding 으로 끊임없이 순환을하여 막지질 성분이 세포내부의 골지체나 다른  망상내피계의 지질 성분과 교환됩니다.

즉 수송 소포(transport vesicle)을 통하여 세포질내를 왔다 갔다 하는 거지요

이 소포 내부에 이동될 물질이 포함되어 외부의 물질이 내부로 들어오고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나가게 되는 겁니다.

 

 세포내부로 들어온 monomer들은 기본적으로는 농도 구배에 의한 diffusion을 통하여 세포내 소기관으로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각종 효소는 이 소포와 융합을 해서 효소 작용을 하게 되며 에너지원의 분해도 막과 결합된 각종 효소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

 

세포질과 막결합 효소에 의하여 monomer의 분해가 일어납니다. 이 monomer는 에너지 준위가 높으며 에너지 준위가 낮은 물과 탄산가스 기타 질소대사 산물(요소, 요산)로 최종 분해 됩니다.

 

소화의 최종 경로는 탄수화물인 경우 해당과정(glycolysis)/TCA cycle/전자 전달계를 통하여 수소이온 농도구배를 만들고 이 농도구배가 ATPase를 이용한 에너지 생성 원동력이 되는 것입니다.

 

소화과정은 위와 같이 크게 세포외 소화를 통하여 polymer는  monomer(단단위) 로 되며 세포내에서는 monomer가 최종 대산 산물로 되는 것이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가 탄수화물의 형태로 섭취한 음식물은

 

먼저 소화를 살펴보면,

구강-위(탄수화물 분해작용)-소장을 거치면서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갈락토스(galactose)

의 형태로 소장에서 최종 흡수됩니다.

 

순환은,

이렇게 섭취된 포도당은 간과 근육으로 이동되어 글리코겐(glycogen)의 형태로

체내에 저장되거나 간 세포 속의 mitochondria에서 citric acid cycle을 돌아

ATP, 즉 몸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배설은,

소장에서 미처 흡수하지 못한 나머지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등 탄수화물 찌꺼기과

과량의 셀룰로오즈 등이 결합하여, 탈수 작용을 거친 후 변의 형태로 배설이 일어납니다.

 

알기 쉽게 윗 글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썼습니다.

더 궁급하시면 메일 주세요. :)

포도당 이동 경로

음식물의 소화로 생성된 포도당이 조직 세포에 공급되기까지의 경로 알려주세요ㅠ 음식물의 소화로 생성된 포도당은 다음과 같은 경로이동합니다. 작은창자→모세혈관...

포도당의 이동경로

포도당이 소화,배설,순환을 다 거치나요?? 그럼 각각 세가지 방법의 이동경로좀 알려주세요...진짜ㅏ 급합니다. 급구급구 우리가 탄수화물의 형태로 섭취한 음식물은...

포도당의 이동 경로, 암모니아의 이동 경로

... 포도당의 이동 경로: 소화계에서 음식물을 분해를 한다. 이는 포도당이 되어 혈관(순환계)을 타고 이동해 조직세포로 전달됨. 암모니아의 이동 경로: 조직세포에 있거나...

포도당의이동경로를간단하게설명좀해주...

포도당의이동경로를간단하게설명좀해주세요 식물: 잎에서 만들어진 포도당은 바로 녹말로 전환되어 잎에 저장되었다가 밤에 빛이 없을 때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온 식물...

생명과학1 포도당의 이동경로

포도당은 소화계에서 흡수되서 순환계 거쳐서 온몸의 조직세포로 가는거잖아요 윤도영선생님 인강을 듣는데 거기서는 포도당의 이동경로가 소장-간문맥-간-간정맥-심장-대동맥...

포도당 이동 경로

음식물의 소화로 생성된 포도당이 조직세포에 공급되기까지의 경로를 알려주세요ㅠㅠㅠ 다음과 같습니다. 작은창자→모세혈관→간문맥→간→간정맥→우심방→우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