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가 소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온도가 소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작성일 2008.05.2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좀 도와주세요~~~~

 

 실험제목이 온도가 소화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건데요

 

실험목표 : 온도가 효소의 소화작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자.

 

실험기구 및 재료 : 침, 녹말용액,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 증류수, 엄을 , 탈지면, 온도계, 스포이트, 시험관,

알코올 램프

 

실험과정 :

1.입을 물로헹군 후 탈지면을 혀 및에 넣어 침을 10ml 정도 모으자.

2. 모은 침을 비커에 넣고 증류수에 5배 희석하자.

3. 네개의 시험관(A~D)에 녹말 용액 3ml와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용액 2ml을 넣은 다음, 각각 얼음(B) , 실온(A.C) ㅡ 100'C 물 (D)이 들어있는 비커에 5분간 넣어두자

4.세 개의 다른 시험관(a~d)에 a시험관에는 증류수를 , b~d 시험관에는 침 용액 2ml씩을넣은다음 각각 얼음(b)

 실온(c) 100'C(d) 물이 들어있는 비커에 5분간 넣어두자.

5. 시험관 A~D를 각각 시험관 a~d에 붓고 잘 섞은 후 각 온도에서 청남색이 없어지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록하자.

 

이건데요.

 

첫번째.  청남색이 없어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두번째. 고온에서의 침의 작용과 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비교해야 할 시험관을 모두 쓰시오.

 

세번째. 위 실험에서의 변인 통제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여기 문제는 많이써주시면 감사요~ ㅜ ㅜ)

 

네번째. 위의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소화효소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자세히 설명하시오.

 

 

제가 대충 쓰긴했는데 좀더 정확한 답을 원해서요. 너무 어렵게 안써두 되고 딱 고등학생 정도요! ㅠ ㅠ

 

답글해주시면 감사합니다!

 

내공이 20 바꼐 안되지만 ㅠ ㅠ .. 여러분의 지식을 나누어주세요~ 다음주 월요일까지 내야되서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위에 분이 답을 잘 적어주셨는데요.

첫번째.  청남색이 없어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사람의 침에는 아밀라아제라고 하는 탄수화물(녹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가 있잖아요.

그런데 청남색이 없어졌다는것은 녹말과 요오드-칼륨(KI) 이게 있을때 녹말이 분해되서

포도당이 되고 그리고 포도당과 칼륨이 반은해서 요오드가 침전되면서 색이 없어진겁니다.

(에거..맞는지 정확히진 않는데요.;;;;;;;;;;;;;;)

청남색이 없어진건...어쨌든 용액속에 요오드가 이온상태에서

청남색을 띄는데 어떤요인에의해 요오드 분자가 되었다는겁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옆에있던

녹말이 분해되서 포도당이 됬는데 이 포도당이 영향을 준거죠. 

두번째. 고온에서의 침의 작용과 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비교해야 할 시험관을 모두 쓰시오.

 일단 아밀라아제는요 효소잖아요. 그런데 효소는 잘 활성화되는 온도가 있잖아요.

위 에서 온도는 얼음(0도씨) 상온(25도씨) 끓는물 (100도씨) 가 있잖아요.

그런데 온도와 침의 작용을 볼려면 각 온도가 다를때 만 보면 되잖아요.

그런데 4번에서 a에는 증류수를 넣었고 나머지에 아밀라아제(침)을 넣었으니까.

b,c,d시험관을 비교하면 온도에 따라서 활성의 유무를 알수 있겠죠.

세번째. 위 실험에서의 변인 통제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여기 문제는 많이써주시면 감사요~ ㅜ ㅜ)

 똑같은 사람의 침을 사용, 같은양의 침사용,같은양의 녹말,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사용

침을 사용할때요 a시험관에 증류수를 넣었잖아요. 증류수와 침을 넣은경우 다른걸 표현하려고 했구요.

 

사람의 침을 넣을때 2ml을 넣었는데 만약 어떤 시험관은 3ml 어떤건 1ml하다면 아밀라아제(침)을

넣은 양이 달라지므로 실험 결과가 다를수도 있잖아요. 따라서 침의 양을 같게 해준거구요.

 

녹말도 어떤건 많이 넣고 어떤건 아주 조금만 넣으면 실험결과가 달라질수도 있겠죠.

만약 녹말을 1만큼 넣었다고 가정할때요. 2만큼의 녹말이 분해되 포도당이 됬을때 그래 포도당이 2만큼이라고

하면요, 이때 요오드-칼륨이 10만큼있다면 8만큼은 그냥 있을거 아니에요. 이때 실험 결과가 다르게 보일수도 있으므로 같게 넣어준거요.

 

 

네번째. 위의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소화효소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자세히 설명하시오.

 일단 아밀라아제(침)은 단백질일데요. 단백질은 약 37도씨에서 최대의 활성(효소작용이 최고일때)을 보이고요

0도씨쪽으로 갈수록 활성의 효과가 떨어져요.

그런데 37도씨위로 올라가면 효소가 변성(파괴라고 생각해도됩니다.)되서 효과가 없어져요.

즉, 온도가 낮을때(얼음)는 효소의 활성이 떨어지고, 상온에서 효소의 활성이 제일 좋으며, 끊는물(100도씨)

에서는 효소가 파괴되어 활성이 없어진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녹말이 침의 아밀라아제 성분으로 인해 엿당으로 분해되였다

 

2. B~D

 

3.똑같은 사람의 침을 사용, 같은양의 침사용,같은양의 녹말,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사용

 

4.일정온도까지는 소화효소의 속도가 증가하지만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오히려 떨어진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나머지 분들이 좋은 답변을 해주셔서 저는 조금더 추가하는 형태로 답변드립니다^^

첫번째.  청남색이 없어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은 녹말과 만나면 청남색을 띄게됩니다. 만약 시료내에 녹말이 있다면 요오드- 요오드화칼륨 용액이 청남색을 내게되지만 없다면 색이 나타나지 않겠죠?

녹말에 침을 넣어주면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의 청남색이 점점 변하게 되는데 따라서 사람의 침속에는 녹말을 분해시키는 효소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 입니다^^

이 효소는 아밀라아제(amylase)라고 하는 녹말 분해효소입니다.

청남색이 없어진 이유는 침에 있는 아밀라아제의 작용에 의해 녹말이 분해되어 포도당이 되면 이 포도당이 요오드 이온에 영향을 주어 그렇답니다

 

두번째. 고온에서의 침의 작용과 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비교해야 할 시험관을 모두 쓰시오.

 모든 효소는 그 효소가 작용하는 능력, 즉 활성이 최대가 되는 최적온도가 존재합니다. 아밀라아제도 효소이기 때문에 최적온도가 존재하겠죠? 

침의 작용과 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려면 다른 것은 모두 똑같은 조건으로 두고 온도만 바꿔주면 되겠죠^^

따라서 온도가 다른 시험관만  찾으면 됩니다.

따라서 a~d  실험관을 비교하면 됩니다. A~D는 침이 안들어 있으므로 패스~

 

세번째. 위 실험에서의 변인 통제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가설이 검증될 수 있도록 실험자가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는 변인외에 똑같이 유지시켜주어야 되는것이 변인통제 입니다. (여기 문제는 많이써주시면 감사요~ ㅜ ㅜ)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어떤 조건에 따른 변화양상을 볼때 다른것은 모두 통일 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알아보려는 조건왜에 다른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여기에서는 온도에 따라 요오드-요오드화 칼륨의 용액색이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죠?

그렇다면 온도만 다르고 다른것은 모두 똑같게 유지해야 됩니다^^

1. 일단 똑같은 사람의 침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침이 나의 침과 아밀라아제의 양이나 활성정도가 같을 수 없을 수 있으니까요.  

2. 같은양의 침과 녹말,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을 사용해야 합니다. 침이 많으면 같은양의 녹말이 분해될때 시간이 적게걸릴테고 적으면 늦게 걸리겠죠? 마찬가지로 침이 일정할경우 녹말이 많으면 다 분해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적으면 빨라질테구요^^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용액도 마찬가지 랍니다.

a는 이른바 대조군(control)입니다. 다른것과 달리 침과 증류수만 차이가 있죠? 따라서 침에의한 작용을 알아보려는 것이구요~

 

네번째. 위의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소화효소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자세히 설명하시오.

 위에서 말씀드린데로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는 효소이기 때문에 최적활성온도가 존재합니다. 사람의 체온이 37도인건 당연히 아시죠? ^^: 따라서 아밀라아제는 37도에서 최적활성을 보입니다.

또한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효소의 작용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단백질 3차구조가 잘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경우 단백질의 3차구조가 변성이 일어나 활성이 저해되거나 억제되는데 따라서 0도나 100도의 물에선 단백질이 불활성 되어 효소작용이 사라지게 됩니다.

온도가 소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좀 도와주세요~~~~ 실험제목이 온도가 소화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건데요 실험목표 : 온도가 효소의 소화작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자. 실험기구 및 재료 : 침...

ph가 소화효소에 어떤영향미치는거...

ph가 소화효소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가 소효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하게 설명해주세요,, pH가 소화효소에 미치는 영향부터 말씀드리자면, 소화효소마다 모두 적당한...

소화효소에 미치는 온도영향에 대해...

알려주세요~~~ 생물인데~ 소화효소에 미치는 온도영향이요 부탁해요 인간의 체온인 36.5도 에서 효소의 작용이 가장 활발합니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효소가 변형되어...

ph와 온도가 소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 효소의 최적 온도는 일반적으로 35~40도이며 약 70도에 이르면 효소의 기능을 상실하는데 그 이유는 효소가 생체 분자인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고온에서 변성...

온도가소화효소에미치는영향

... 위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소화효소에 미치는 온도영향을 설명 훗..... 1.여기에서 청남색이 없어지는것이 의미하는것은? 녹말이 침속의 어떠한 효소에의해 분해되어 그...

효소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진로시간에 보고서를쓰는데 ‘효소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써야합니다..... 효소들은 식품을 분해하여 소화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소화 과정에 효소영향이 큽니다....

온도가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 분해돼는 물질이 효소가 20개 있는쪽에서 더빨리 효소와 반응해서 빨리 반응이 끝나겠죠? 그렇기때문에 같은온도에서 효소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이빨리일어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