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bacteria)의 항원

미생물(bacteria)의 항원

작성일 2004.01.1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미생물(bacteria)이 가지는 항원의 종류에 대해서 몇가지만 알려주세요.

아무리 찾아보려고 해도 못찾겠네요~

꼭 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항원이란 우리몸에서 면역계에 인식되거나 면역계와 반응을 일으킬수 있는 생명체나

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너무 많아서 실제로 항원이 얼마나 되는지는 알수 없습니다.

아주 작은 단백질 조각도 항원이 될 수 있으니까요..

윗분이 올려주신 vaccine은 항원에 속하는 것으로 우리몸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일부나 죽은 병원균을 가지고 만듭니다. 그건 윗분이 잘 설명해 주셨군요..

미생물의 경우에도 미생물 1마리당 수많은 항원을 가질수 있습니다. 미생물 하나가

하나의 항원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미생물의 단백질 조각조각이 항원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몸의 면역계가 반응하는 물질은 모두 항원이니까요..

우리가 병에 걸리는 것의 원인은 미생물, 바이러스, 그리고 기생충과 같은 원생생물

때문입니다. 이중 미생물을 세균 또는 병원균이라 하지요..

흔히 모든 미생물이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실제로 병을 유발하는

병원균은 극히 일부입니다. 이들은 다음의 두가지 특성때문에 병을 유발합니다.

하나는 침습성으로 우리몸속에서 번식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우리몸에 들어와도

면역계의 공격을 피해 번식할 수 없다면 병원균으로써 실격입니다.

다음 하나는 독소를 분비하는 경우입니다. 이 독소가 몸을 아프게 하는 거지요..

침습성이 매우 뛰어난 균으로는 탄저병균이 있습니다. 실제로 이 균은 독소는

거의 분비하지 않지만 침습성이 너무 좋아서 혈액 거의 전부를 다 덮을 정도로

번식합니다..

독소를 분비하는 대표적은 균은 디프테리아같은게 있습니다. 침습성은 낮아서

목부위에서만 번식이 가능하지만 독소를 분비해 몸전체가 영향을 받습니다.

독소를 분비하는 균은 내독소를 분비하는 균과 외독소를 분비하는 균으로 나눕니다.

내독소는 병원균이 죽으면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독소로 독성이 강하지

않고 설사나 구토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내독소를 분비하는 균으로는 살모넬라균이 있

습니다.

외독소는 살아서 번식하는 세균이 방출하는 단백질로 몸전체를 돌며 강한 독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외독소는 치명적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외독소를 분비하는 대표적인 균은 콜레라균입니다. 이외 흑사병, 파상풍도

외독소를 분비하는 균이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항원(vaccine)이란...어떤 감염증에 대하여 인공적으로 면역을 얻기 위하여 그 병원미생물 또는 그 독소액에 적당한 조작을 가하여 만든 것을 말하지요...제법(제조법)에 따른 항원의
분류는 이렇습니다.

사균백신】 사균(死菌)백신에는 불활성 바이러스백신도 포함된다. 병원미생물을 56~60℃로 30~60분 가열하거나, 포르말린 ·페놀 ·마조닌 등의 화학약품을 첨가하고, 또는 자외선의 조사 등으로 죽여(또는 불활성화하여) 적당한 농도의 부유액(浮遊液)으로 하여 정해진 방부제를 가한 것이다. 장티푸스-파라티푸스 혼합백신을 비롯하여 콜레라백신 ·백일해백신 ·발진티푸스백신 ·일본뇌염백신 ·인플루엔자백신 외에, 폴리오의 소크백신이나 홍역의 K백신 등이 있다.

【약독생균 백신】 약독생균(弱毒生菌)에는 생(生)바이러스백신도 포함된다. 각종 방법으로 얻은 약독변이주(弱毒變異株)의 세균 또는 생바이러스, 즉 인체에 해가 없을 정도로 약독화되어 있으나, 면역을 만들기 위한 항원성은 보유하고 있는, 살아 있는 균이나 바이러스의 부유액을 말한다. 보존 중 생균이나 생바이러스가 사멸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하고, 사용할 때에 부유액으로 하는 것도 있다. 결핵의 BCG백신, 천연두의 두묘(痘苗), 황열(黃熱)백신, 폴리오의 생백신, 홍역의 L백신 등이 있다. 가축용에도 디스템퍼 ·돼지콜레라 ·계두(鷄痘) ·우역(牛疫) ·뉴캐슬병에 대하여 이 종류의 백신이 쓰이고 있다.

【톡소이드】 무독화독소(無毒化毒素)를 말하는 것으로서, 병원세균의 산생물(産生物)이나 세균체의 분해산물, 즉 독소에 여러 가지 조작을 가하여 항원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무독화시킨 것이 톡소이드이다. 예컨대, 디프테리아균의 배양액을 여과한 것에는 디프테리아의 독소가 함유되어 있지만, 이것에 포르말린을 가하여 독소를 없애고, 동시에 면역을 만드는 항원성을 보유시킨 것이 디프테리아 톡소이드이며, 파상풍(破傷風) 톡소이드도 이와 같은 것이다.

【감작백신】 감작(感作)백신은 생균 또는 사균에 그 면역혈청을 가하여 37℃로 수시간 두고 항체를 결합시킨 후, 원심침전에 의하여 혈청을 제거한 다음 0.5%로 페놀을 가한 생리식염수에 부유액으로 한 것이다. 보통 백신보다 부작용이 적다 하여 한때 장티푸스나 콜레라 등의 백신으로 사용되었다.

【자가백신】 자가(自家)백신은 환자 자신의 병소(病巢)나 분비물 ·배설물 등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 배양하고, 이것으로 제조한 백신이다. 이론 ·제법 ·용법 ·효과 등은 일반 백신과 같지만 사용목적은 만성 또는 아급성의 감염증의 치료(백신용법)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근년에는 화학요법이 진보하였으므로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다가백신】 같은 종류의 세균 또는 바이러스라도 몇 가지 형이 있어서 항원성이 다를 경우에는 이것을 혼합하여 백신을 만들지 않으면 면역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다. 이러한 경우에 쓰이는 것이 다가(多價)백신이다. 예를 들면, 근래의 인플루엔자백신은 A2형과 B형의 몇 종을 혼합하여 만든다.

미생물(bacteria)의 항원

미생물(bacteria)이 가지는 항원의 종류에 대해서 몇가지만 알려주세요. 아무리 찾아보려고 해도 못찾겠네요~ 꼭 부탁드려요!! 항원(vaccine)이란...어떤 감염증에 대하여...

미생물의 종류와 그 미생물들의 특성

제가 자유탐구를 하려고 주제를 미생물의 종류와 그... 조류(algae), 세균류(bacteria), 원생동물류(protozoa), 사상균류... 동시에 항원(抗原) 단백을 만들며 이들이 집합되어 새로운...

미생물(내공 100)

유용 미생물과 유해 미생물의 특징과 종류에 대하여 내공... 조류(algae), 세균류(bacteria), 원생동물류(protozoa)... 동시에 항원(抗原) 단백을 만들며 이들이 집합되어 새로운...

병원미생물의 종류

병원 미생물 뭐가 있는지 15개 알려주세요 1. Cholera(콜레라) Vibrio cholera (bacteria)에 의해 발병하는... 종류는 어떤 항원(H, A)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Immune System ( 면역 체계 ) 에 대해

... (항원의 종류) 1) 단백질 항원 미생물체단백, 혈청단백(albumin, globulin 등)... (virus, bacteria, rickettsia 등)또 태반을 거쳐서 모체로부터 태아나 태아로부터 모체로 항원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