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렁이 사업.판로에 관하여...

지렁이 사업.판로에 관하여...

작성일 2005.12.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지렁이 사업을 시작 할까 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의 생각이나 도움을 받아 보고자..질문을 올립니다..

 

질문

1. 처음 지렁이 사업을 하는데 600만원 정도가 들거 간다고 하네요..처음에 그렇게 많이 투자해서만 사업을 할수 있는지..

2. 현재 시점에서 투자할 가치가 있는 사업인지..

2. 앞으로의 전망이 희망적인지..

3. 지렁이를 키워서 유통되는 곳은 어느곳들이 있는지..

4. 지렁이가 알에서 전부 크는데 까진 얼마나 걸리는지..

5. 키우는데 있어서 특별히 조심해야 될 부분은 없는지

 

이 외에도 많은 것들이 알고 싶은데 지렁이에 대해 지식이 없는지라..

어떤걸 물어봐야 할지도 잘 모르겠네요..

위에 것들 외에도 많은 정보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필요해요.. 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 나라는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이후에 축산업이 크게 육성되어 차츰 집단화, 대규모화 됨으로써 여기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가 환경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가축분 오염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자원하기 위하여 가축분 처리를 위한 많은 시설과 장비 개발로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는 보았으나 아직도 완벽한 처리에는 미흡합니다. 기계식 퇴비공장 처리는 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많은 자금과 에너지가 소요되고 처리과정에서 악취 등 2차적인 오염을 유발하여 새로운 환경오염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가축분을 완벽하게 처리하며 동시에 자원화기 위하여 지렁이를 이용한 처리공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가축분 처리비용이 퇴비제조공장보다 79% 절감되고 오염성분 감량효과가 크다.

   지렁이는 하루에 자기 체중의 약 50 ~ 60%의 가축분을 먹이로 섭취하고 섭취한 먹이의 약 50 ~ 60%을 배설함으로써 많은 양의 가축분을 처리해 주고 뿐만 아니라 지렁이의 배설물인 똥 (분변토)은 탈취력이 있어 악취를 제거해 주며, 작물 재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렁이 양식은 가축분을 처리하여 자원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축분 발생량에 따라 적정규모의 사육하우스를 설치하고 지렁이를 사육함으로써 오염원인 가축분을 2차 오염없이 처리하고 부산물인 분변토와 지렁이는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 지렁이를 이용한 가축분 처리기술

  1. 가축분 처리에 적합한 지렁이 종류와 그에 대한 생리, 생태

   지렁이는 환형동물문 빈모강에 속하며 현재까지 분류된 수는 수서지렁이를 포함하여 739속 7,254종입니다. 이 중에서 가축분 처리에 적합한 종류는 줄무늬 지렁이 (Eisenia fetida),  붉은 줄무늬 지렁이 (Eisenia andrei), 붉은 지렁이 (Lumbricus ribellus) 등 약 3종류가 있습니다. 이런 종류는 천층종으로 썩은 나무밑, 낙엽층, 이끼속, 가축배설물에서 서식하며 땅 속을 파고 들어가도 기껏해야 지표에서 15cm정도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비가 오면 흔히 볼 수 있는 지렁이는 심층종으로 가축분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지렁이는 긴 원통형의 수십개 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의 소화관은 구강에서 시작하여 인두, 식도, 소낭, 장 (전장, 중장, 후장), 항문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먹은 가축분을 빠른 시간 내에 잘 소화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지렁이 장 속에는 혐기성 미생물와 호기성 미생물이 50대 50으로 다량으로 서식하고 있어 많은 양의 가축분을 섭식해도 처리가 가능합니다.

   지렁이는 암수동체이기 때문에 한 마리 지렁이에 난소, 정소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여러 개의 자성, 웅성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기수정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두 마리의 지렁이가 몸의 앞부분을 서로 밀착시켜 붙여서 약 8시간 정도 정액을 교환하는 형식으로 교미가 이루어집니다.

   정액을 몸에 지닌 지렁이는 여러 개의 정자가 수정되어 1개의 알집을 형성하여 산란하게 됩니다. 산란은 주로 봄, 가을에 집중적으로 산란하지만 환경조건만 적합하면 연중 산란도 가능합니다.

   토양 표충 또는 건조하지 않은 장소에 산란된 알집은 20 ~ 25℃에서 2 ~ 4주 후에 부화되며 1개의 알집에서 약 1 ~ 7마리의 새끼 지렁이가 부화됩니다. 새끼 지렁이는 4개월만 자라면 성적으로 성숙하게 되어 산란할 수 있으며 완전히 성장하려면 1년 가까이 경과되어야 합니다.

 

  2. 지렁이 번식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렁이 사육 관리방법

   지렁이 생육적온은 15 ~ 20℃이지만 5℃ 이하이거나 35℃이상이 되면 지렁이 생육이 저해되며 알집 산란도 현저하게 둔화되므로 봄, 가을 동안에 밤, 낮 기온차이에 따라 적절하게 측창을 개폐시켜 주어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측창과 문을 다 개폐해도 온도가 40℃이상 상승하게 되므로 차광막 (복직 90%), 환풍기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고 겨울철에는 온도가 낮으므로 차광막을 벗겨야 합니다.

   가축분의 산도 (pH)는 얼마나 발효되었느냐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산도가 5이하이거나 8이상만 아니면 지렁이는 상당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러 산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탄산칼슘을 뿌려주거나 전처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렁이 사육관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물 관리입니다. 보통 여름철에는 2 ~ 3일에 한번씩 사육상에 물을 주고 겨울에는 1 ~ 2주만에 한번씩 물을 주면 됩니다. 그러나 지렁이는 피부호흡을 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물을 주면 호흡곤란으로 탈출 또는 죽게 되고 적게 주면 가축분에 발효가 과도하게 일어나 가스와 열에 의해서 탈출 또는 죽게 됩니다. 할 수만 있다면 물을 조금씩 자주 주어 항상 수부함량이 70 ~ 80%로 유지하여 주면 가장 좋습니다.

 

  3. 지렁이 사육관리에 적합한 지렁이 약식장의 설치 장소

   지렁이 약식장 구조는 팬파이프 두께가 25㎜이상이 되어야 하며 복숭아 형태로 설계하여 겨울철 폭설과 폭풍에 견딜 수 있으며 4 ~ 5개월 지속되는 겨울철에 난방없이 지렁이의 생육적온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합니다. 농가에서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난방없이 겨울철 온도관리가 용이한 비닐하우스가 좋습니다. 하우스 방향은 채광과 바람의 방향을 고려하여 가능하면 동서방향으로 설치하고 하우스길이는 길면 길수록 좋습니다. 하우스 폭은 7 ~ 8m가 적당하며 중앙의 통로는 트랙터나 트럭이 통과할 수 있는 넓이면 좋습니다.

   출입문은 미닫이보다는 여닫이 형태가 유리하며 통풍과 작업의 관리성을 위해서 문이 크면 클수록 좋습니다. 사육상에 보온덮개를 사람이 덮고 벗기는 데에는 상당한 노동력이 들어가므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하면 편리합니다.

   양식장 설치장소로는 월 평균기온이 10 ~ 15℃이상 지역이 좋으며 북부지역보다는 남부지역이 유리합니다. 축사가 가까운 곳에 있어야 축분 운반이 편하며 물 사용이 많으므로 물 공급이 용이한 지역이어야 합니다. 또한 양식장이 평탄하지 않으면 물이 깊은 쪽으로 몰리게 되므로 평탄작업이 필요하며 여름철 장마비에 침수가 되면 일시에 몰사하므로 배수가 잘 되는 곳이어야 합니다.

 

  4. 지렁이 양식방법

   지렁이 양식방법은 사육형태에 따라서 밭이랑식, 측면경사식, 박스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밭이랑식은 외부 공기와 환기가 잘되는 반면 먹이 공급과 지렁이 채취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됩니다. 측면경사식은 외부 공기와 환기가 잘되지 않는 반면 먹이 공급과 지렁이 채취에 편리합니다.

   벤토식은 지렁이 탈출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지만 밭이랑식보다 더 많은 노동력이 소요됩니다. 박스식은 좁은 면적에 많은 양의 지렁이 양식을 할 수 있지만 먹이를 먹는 양이 적다는게 단점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축분을 처리하는 데에는 측면경사식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5. 씨지렁이 구입과 이식

   우리 나라 어느 지렁이 양식장을 선택하여 씨지렁이를 구입하더라도 5종 즉 줄무늬 지렁이 (Eisenia fetida),  붉은 줄무늬 지렁이 (Eisenia andrei), 붉은 지렁이 (Lumbricus ribellus), 애지렁이 (Enchytreidea), 팔뜨기 (농가에서 부르는 이름, 미동정)이 함께 섞여 있으며 한 종류만 분류하여 양식하는 농가는 없습니다. 그러나 가축분을 먹이로 양식한 농가에서 구입하는 것이 다른 먹이로 사육한 지렁이보다 적응력이 높으며 급격한 환경변화를 줄일 수 있습니다.

   지렁이는 두가지 형태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흙이 없이 알지렁이만을 채취하여 냉장차로 운반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이식하여 정상적으로 먹이를 섭취할 때까지 회복속도가 느리며 초보자일 경우에는 지렁이를 몰살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로 지렁이가 서식하는 흙과 함께 운반하는 경우입니다. 이 때에는 부피가 늘어나지만 회복속도가 빠르며 이식을 안전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식한 지렁이 중에서 채취과정에서 상처를 입은 지렁이가 죽는 경우 심한 악취를 발생하므로 전체 지렁이가 탈출을 시도하는 근본원인이 됩니다. 그러므로 여름보다는 봄, 가을에 낮보다는 밤에 이식하는 것이 좋으며 첫날 밤에 관리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6. 이식한 지렁이 관리와 먹이 선발의 주의사항

   이식한 지렁이 위에 가축분을 약간 공급하여 주고 보온덮개는 절대로 덮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백열전등 여러 개를 밤새도록 켜두어야 합니다. 만약 첫날에 미숙 가축분이나 물을 많이 주게 되면 백열전등을 켜두어도 탈출하므로 반드시 생똥이나 충분히 부숙된 가축분을 미리 준비하여 두었다가 먹이로 공급하여야 합니다. 지렁이가 탈출하지 않고 먹이 먹는 속도가 빨라지면 안정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축분을 충분히 공급해도 됩니다.

   먹이 선별방법은 주고자 하는 가축분 일부를 바켓스에 담고 지렁이 약 50마리를 축분 위에 놓고 보온덮개로 덮어서 하룻밤을 지내면 먹이로 적합하면 축분 속에 들어가 있지만 적합하지 않으면 밖으로 나가 죽어 있거나 지렁이끼리 뭉쳐 있습니다. 요즈음 축산농가에서는 파리를 죽이기 위하여 살충제를 살포하는데 이 살충제는 지렁이 생육에 치명적입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가축분을 공급할 때에는 위 방법으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합니다.

 

 7. 부산물로 얻어진 지렁이 똥 (분변토)과 지렁이의 용도

   증식된 지렁이는 낚시용 뿐만 아니라 양어장 사료, 식물 성장 촉진제, 단백질 제제, 화장품 원료, 혈전 용하제, 혈당 치료제, 방광결석 치료제, 항암 항균제, 간경화 완화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지렁이가 가축분을 먹고 소화하면 충분히 분해되어 완숙퇴비와 같은 지렁이 똥을 배설하는데 이 지렁이 똥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만든 퇴비보다 질적으로 우수하므로 여러 측면 즉 상토, 토양 개량제, 부산물 비료, 식색토용토, 수 처리제 등에서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참고>

중국의 지렁이 사육기술

                                        

                                                                                                                                           중국지렁이 협회 조장 呂 忠 良

본 내용은 필자가 중국으로부터 지렁이산업에 대한 자문을 위하여 초청받아 중국 방문중에 북경에서 지렁이양식업을 20여년간 운영하고 있는 여 충량씨를 만나 우리 나라 제 2회 "지렁이를 이용한 폐기물처리와 환경보전을 위한 심포지움"에 자신의 지렁이사육법에 대하여 소개하기로 이야기되어 원고를 받아 번역한 내용임을 알려 드림니다.

1. 중국의 지렁이 산업 현황

중국의 지렁이 산업은 1970년대 일본으로 부터 지렁이양식에 대한 기술과 지렁이가 도입되어 시작되었으나 지렁이의 판로와 사육기술의 어려움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재는 중국전체에 약 1,000 여개의 사육장이 운영되고 있다. 지렁이사육에 주로 이용되는 지렁이 먹이로는 가축 분 (주로 소와 돼지)으로서 대부분의 사육장에서 처리된다. 생산된 지렁이는 중국 국내의 낚시용으로 판매하고 일부는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1999년 200톤 수출). 부산물로 생산되는 분변토는 한국과 같이 농가의 비료로서 판매되고 있으며 지렁이를 이용한 의약품인 보은복(普恩復)이 혈전용해제로 제조하여 시판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지렁이사육기술을 발전시키고 생산되는 지렁이와 분변토 등을 수출하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지렁이에 대한 연구는 청하대학과 중국농업대학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1999.7월에는 미국 오하이오 대학의 세계 지렁이협의회 의장 에드워드 박사를 초빙하여 지렁이사육 기술에 대한 정보와 기술을 교류하는 등 지렁이사육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2. 지렁이 생태

2.1 높은 온도를 좋아한다.

가장 적당한 온도는 15~25℃이다. 가장 적합한 온도를 맞춰주기 위해 겨울에는 비닐온실이나 비닐로 덮어주고, 여름에는 차광을 해주며, 물을 많이 주어 온도를 내린다. 0~5℃는 겨울잠에 들어가고, 0℃이하에는 얼어죽으며, 40℃이상에서도 죽는다. 32℃이상에서는 성장이 멈춘다. 북경지역에서는 10월 25일 온실의 비닐을 덮고, 년 4월 10일 비닐을 벗긴다. 이러한 상황에서 12월20일 이후부터 익년 2월 10일까지는 휴면에 들어간다. 2월 10일부터 차츰 가장 적당한 온도에 도달하게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온도의 과도한 상승이다. 온도의 과도한 상승과 지렁이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벗기는 것을 주의해야한다. 이때가 가장 힘든시기이다. 낮에는 사방의 비닐을 모두 걷어 주어야 하며, 밤에는 다시 잘 덮어주어야 하며, 물을 제때 주어야 한다. 3월부터 6월 10일까지는 지렁이의 성장 및 산란의 가장 좋은 시기이다. 6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는 여름철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다. 온도 조절을 위하여 매일 물을 주는 것이 좋다. 8월 20일부터 10월말까지는 지렁이의 두번째 산란의 좋은 시기이다. 이후에 점차적으로 휴면에 들어간다.

2.2 습한 것을 좋아하고, 건조한 것을 싫어한다.

지렁이 체내의 수분함수량은 약 80%이다. 먹이의 함수량은 60~80%(손으로 쥐었을 때, 물이 똑똑 떨어질 정도), 그러므로 사육상의 함수량은 60%이상이다. 매일 혹은 이틀에 한번 꼴로 반드시 물을 주어야한다. 물은 너무 많이 주지 말아야 하며, 물은 아래층의 먹이까지 스밀 정도이면 좋다. 겨울에는 점심시간에 물을 주고, 여름에는 밤에 물을 준다. 봄과 가을에는 낮에 주면 된다.

2.3 어두운 곳을 좋아하고, 밝은 것을 싫어한다.

지렁이는 밤에 활동한다. 달이 떠있을 때 활동하고 먹이를 먹는 것을 볼 수 있다. 습도유지와 차광을 위해 사육상에 볏짚을 덮어주는 것이 좋다.

2.4 공기를 좋아하고, 조용한 것을 좋아한다.

먹이가 느슨한(헐렁한)것이 지렁이 성장에 좋다. 우리의 경험상, 먹이투입전 사육상을 뒤집어주어(약 20㎝정도) 공기를 통하게 한다. 이 부분은 상당히 중요하다. 다년간 검사결과 사육상의 가장 아래 부분에는 지렁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먹이는 그대로 남아있다. 이것은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지렁이 성장이 좋지 않다.

3. 지렁이 양식기술

3.1 먹이의 전처리

먹이준비 → 이물질제거 및 분쇄 → 발효제 투입 →물 투입후 혼합 → 발효 → 뒤집기 → 습도 조절(함수량 70%)


① 먹 이 준 비 : 기초 먹이준비, 이물질 제거 및 분쇄,

② 발 효 제 : 인 톱밥, 쌀겨, 잡초를 잘게 썬다. 가정에서 흔한 세균, 목장세균 등

③ 혼합 과 보습 : 먹이에 첨가한 것들을 충분히 혼합후, 발효가 잘 되도록 습도를 50%정도로 조절한다.

④ 뒤 집 기 : 발효기에는 온도(발효열)를 기록해야 한다. 원료가 온도가 50~70℃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질 때, 원료를 다시 한번 뒤집어 주면     내부의 덩어리들이 다시 발효를 한다. 미생물이 충분히 발효 부숙이 될 수 있도록 이때 수분 을 50% 정도로 맞춰준다. 뒤집기 3~5일 후     습도가 높아지지 않거나, 색깔이 갈색(검은계 통)으로 변하고, 푸석푸석해지고, 악취가 없다면 발효가 끝난 것이다.

⑤ 습도 조절 : 발효가 끝난 후, 건조로 인한 결석 및 독성으로의 변질을 막기 위해 습도를 70%로 조절한다.

3.2 지렁이 양식 개요

지렁이 양식 → 분변토 제거 및 알 수거 → 알 부화 → 보습유지 → 통풍유지 → 한곳으로 몰아 수거 → 어린 지렁이 생산 → 분변토 제거후 먹이투입 → 넓은 배양상(床)에서 양식밀도를 낮춘다. → 분변토 분리 및 먹이투입 회수를 늘린다. → 넓은 배양상에서 재배상으로 옮긴다. → 알맞은 시기에 수확한다

지렁이 양식 15㎏를 계산하였을 경우, 15㎏의 지렁이 종자가 필요하다. 1㎏에 약 3000마리, 총계 45000마리가 된다. 1㎡당 1 만마리를 양식할 수 있다. 4.5㎡의 사육상이 필요하며, 사육상(床)의 두께는 25㎝정도. 열흘간격으로 분변토 제거와 먹이투입을 하며 새로운 먹이와 함께 뒤집어준다. 지렁이 알 부화 30일 동안, 보오보습을 유지해야한다. 지렁이 알 부화상(床)은 두께가 약 15㎝정도. 부화상의 먹이는 잘게 분쇄를 해야하며, 습도를 유지해야한다. 1㎡당 5~6만 마리를 부화할 수 있으며, 열흘간격으로 느슨하게(헐겁게) 해줘야한다. 부화율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부화상은 충분한 공간과(4㎡)정도와 통기를 잘 시켜주어야 한다.

어린 지렁이는 초기 40일 동안 성장이 느리다. 열흘간격으로 분변토를 제거하며, 뒤집기와 동시에 먹이를 투입한다. 사육상의 면적은 약 8㎡정도. 40일 후에는 지렁이의 성장과 지렁이 양식 밀도를 낮추기 위해 사육상을 25㎡정도로 늘인다. 양식 후반기에는 매주 뒤집기를 해주며, 동시에 분변토 제거와 먹이투입을 한다. 사육상의 두께는 약 50㎝. 80일 후에는 약 200㎏의 지렁이는 수거할 수 있다. 예를들어 30개 사육상(사육상 15㎏기준)을 만들었다면, 일년동안 양식(총 9개월)으로 54t을 생산할 수 있다. 연간 증가 120배. 1㎡생산 24㎏, 200평당 16t을 생산한 것이 된다.

3.2.1 종자생산지를 마련한다.

종자양식 20~30일후 1m2당 1만 마리 정도를 생산할 수 있다. 지렁이 알과 분변토를 동시에 얻은 후 부화상에 넣어 부화시키고 이것을 사육한다. 이런 방법들은 기존의 크고 작은 지렁이가 혼합되어 키우는 양식법과 비교하여 높은 생산성을 얻을수 있다. 즉 혼합된 지렁이를 사육하는 경우 성장한 지렁이 수확시기를 놓쳤을 경우, 먹이를 낭비 및 양식설비 방치를 의미한다.

3.2.2 심층밀식법(深層密植法) :

양식상 먹이의 두께는 약 50㎝, 밀도는 1㎡당 3~5만 마리 정도로 유지한다. 지렁이는 먹이 중에 분포하며, 깊이별로 분포되는 양상은 12.5㎝ 이내 약 33.5%; 12.5~25㎝중 약28%; 25~37.5㎝중 약 20.5%; 37.5㎝중 약 18%로 서식한다 .

ㅇ 일차 먹이급이량 :

지렁이의 생장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는 지렁이 총중량 × 40배의 먹이를 일차로 급이한다. 이 방식은 지렁이 개체의 발육이 가장 왕성할 때 사용하며, 이 방법은 먹이를 한번에 많이 급이하게 되므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 예시 1㎡에 30000마리를 사육한다고 가정할 때, 발육이 왕성한 지렁이의 중량 0.3g, 정도 이므로 지렁이 생체량은 30000 ×0.3=9㎏이    된 다, 그러므로 먹이 급이량은 일차에 360㎏이다.(9×40), 이 방법을 이용시 아래의 몇 가지 주의 해야한다.

(1) 먹이는 충분히 발열시켜야한다. 사육상에서 재발효가 일어나면 안된다.

(2) 심층먹이의 습도는 60%정도를 유지해야한다. 이것은 지렁이의 신진대사 및 미생물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만일 먹이투입시 면적이 작거나, 50㎝를 넘겼을 경우, 지렁이 새끼를 위에 놓아야 한다. 이때 상층의 분변토를 제거후 지렁이 새끼가     50 ㎝정도 밑까지 들어가며 먹이를 먹도록 해야 한다. 양식후기에는 매일 사육상을 뒤집어야 한다.

ㅇ먹이급이량 증가법

처음 50㎝ 먹이 투입시, 지렁이는 1㎡당 30000~50000마리를 이식한다. 분변토가 70%정도일 때 표층의 분변토를 제거하고 약 30㎝정도 먹이를 다시 투입한다. 먹이의 급이량이 지렁이 생육에 가장 적합한 시기에 해당하는 30배가 될 때, 주의를 기울여 검사해야 하며, 투입해야 한다.

ㅇ지렁이 수확

지렁이의 체중이 0.32~0.36g 일때가 가장 적절한 시기이다. 너무 일찍 수확을 할 경우 생산량이 낮고 먹이의 낭비이므로 수시로 검사하여 수확시기를 잘 선택하여야한다.

ㅇ지렁이의 먹이 소비량

지렁이는 새끼부터 생육이 왕성할 때까지 체중이 25~30배 가량 증가한다. 그러므로, 1㎏의 지렁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먹이는 25~30㎏의 먹이가 필요하다.

ㅇ먹이의 분쇄급이

지렁이의 생장과 먹이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지렁이 성장속도에 약 1.5배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먹이의 분쇄정도는 지렁이 성장에 중요한 요소이다.

ㅇ 지렁이 생장의 특성

지렁이는 부화후 40일 까지는 천천히 성장한다. 그리고 40~80일에 성장이 가장 빠르다.(0.36g까지) 80일 후에는 체중이 감량되므로, 높은 생산량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수확을 해야한다.

4.지렁이 사육 경험

4.1 양식품종

赤子愛勝蚓, 일본에서 들어온"大平二호"의 특징은 번식률이 높다. 연간 200배 이상증가, 고정 주거(住居)의 성질이 강하며, 열에 강하고 추운 것을 잘 견딘다. 일년사계생산가능. 지렁이의 무게와 분변토의 생산량이 높다.

4.2 양식방식

10년 건립이래, 우리는 일반 노지에서 양식을 해왔다. 우리의 견해로는 이 방식은 자본을 가장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며, 대규모 양식을 할 경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 방식은 어떤 설비투자가 필요치 않으며, 노지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발효되지 않은 우분, 마분, 돈분을 15~20㎝정도 두께와, 1.5~2m정도의 폭으로 쌓으면 된다. 길이는 제한이 없다. 여기에 지렁이를 투입하고, 볏짚으로 차광하며 습도를 유지하면서 양식을 할 수 있다. 우리는 작은 몇 ㎡부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이 방식은 조절에 용이하며 발효과정에서의 일들을 감량 할 수 있었으며, 먹이의 손실이 적고, 지렁이의 성장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방식은 농촌에 보급할만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방식에도 단점은 있다. : 일단 발효를 시작하면, 지렁이가 사멸되고 , 여름철 장마기에는 사육상에 공기가 통하지 못하여 지렁이가 다른 곳으로 도망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먹이를 새것으로 바꿔주며, 이것을 약간의 덩어리로 만들어 주어 지렁이 생존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이 방식의 관건은 먹이의 함수량을 60~70%로 조절하는데 있다. 너무 습한 것을 피하여, 발효로 인한 지렁이의 죽음을 방지하여야 한다.

 

4.3 번식과 생장

지렁이 알 생산량 : "大平二호"지렁이의 연간 알 생산량은 56~58개 가량. 그중 40%가 봄에 생산하며, 여름이 25%, 가을이 27%, 겨울이 8%이다. 부화율은 한 개의 알에서 평균적으로 5~8마리를 부화한다. 가장 많은 것은 12마리. 그러나 발육이 정상적인 것은 3~4마리 정도이다.

                                          온도의 차이에 따라 부화시간 및 부화율의 차이

(작업중0

 

     구분

 온    도

 습    도

부화율 (%)

부화시간 (일)

성장기간(일)

 

 15

30

89.3

11.7

 

 

20

50

95.6

84.6

 

 

25

70

80

89

 

 

30

90

57

38

 

 

 

 

 

 

 

 

  

4.4 생장기

새끼 지렁이의 생장 초기에는 천천히 자란다. 번식기에 들어간후에도 성장이 늦다. 성숙기의 1개월 전후가 지렁이의 성장이 가장 빠른시기이다. 이때 수확을 한다면 가장많은 수확을 할 수 있다.

그밖에, 지렁이의 성장속도와 먹이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먹이가 같지만, 먹이의 분쇄정도에 따라 지렁이 성장속도에 1.5배까지 차이가 난다. 그러므로, 먹이의 분쇄정도를 잘 조절해야만(만약 먹이에 덩어리가 발견됐다면, 물을 조금 주고 반죽을 하면된다.)지렁이의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4.5 양식밀도

지렁이 양식의 수량을 1만마리 이내로 통제해야한다. 1㎡당 3㎏(2~3.1만마리)를 생산한다. 어린지렁이 초기에는 3만 마리/㎡, 후기에는 2만 마리로 조절한다.

4.6 생산량

1㎡당 연간 10㎏의 지렁이의 생산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6~8㎏정도 생산한다. (북방지역은 일년 중 8~10월중에 생산한다.) 먹이를 25~30㎏를 투입하면, 1㎏의 지렁이를 수확할 수 있고, 70%정도의 분변토를 얻을 수 있다. 우리의 경험으로는 5톤의 우분으로 1t의 분변토를 얻을 수 있으며, 100㎏의 지렁이를 수확 할 수 있다.

4.7 사육관리

ㅇ먹이의 공급

제때에 먹이를 공급해 주는 것이 지렁이 성장에 가장 큰 요인이다. 지렁이 수확에 유리한 먹이를 쌓아서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경우, 두께를 10㎝정도로 하고, 사육상 전체를 깔 필요는 없으며 평평하지 않아도 된다.

ㅇ지렁이의 양식 온도

가장 적합한 온도는 15~25℃이다. 겨울철에는 온도유지와 습도유지를 위하여 먹이를 40~50㎝정도로 두텁게 주며, 볏짚으로 덮어준 후 비닐로 다시 한번 덮어준다. 여름철에는 매일 물을 주어 온도를 낮춘다.

ㅇ먹이분류 양식

지렁이들을 종자군, 번식군, 생산군으로 나누고, 매월 2차례 먹이를 준다. 먹이투입전에 뒤집기를 한번하고, 이때 먹이투입을 약 10㎝정도 한다. 먹이의 통풍성을 유지해주며 수확을 한다.

수확시기 : 여름철 매월 수확 1 회, 봄.가을철 1.5월 수확 1 회, 수확후 먹이를 보충해 주어야 한다.

Cycle 갱신 : 지렁이 성장의 왕성과 자연에 적응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렁이의 종자는 매년 갱신을 하고, 사육상도 매년 바꿔줘야한다.

ㅇ먹 이

가장 좋은 것은 우분, 돈분, 마분, 양분, 토끼분과 돼지, 양, 토끼분에 볏짚이나 식물의 줄기를 섞은 것이 좋다.

4.8 지렁이의 수확

가장 좋은 방법은 자연광을 통해 수확하는 것이다. 사육상의 지렁이가 발견되고, 밀도가 2~3만마리/㎡, 80%가 0.3g에 도달할때가 수확에 가장 적합한 시기이다. 수확시, 24시간전 물을 충분히 주어, 너무 건조하거나 너무 습하지 않도록 조절한 후, 사육상의 10㎝정도를 떠서 시멘트 바닥이나 비닐표면에 놓아 지렁이가 빛을 싫어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조금씩 먹이와 분변토를 제거하면 바닥 표면에 운집한 지렁이를 수확할 수 있다.

5. 중국의 지렁이 산업동향

지금 중국에서는 지렁이와 관련된 제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양식지렁이 농장도 제법 기업적인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지렁이와 관련된 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 최근에 중국에서는 전문가, 교수 및 지렁이농장 등이 함께 모여 중국 양식지렁이 협의회를 설립하기 위한 기초 모임이 있었다.

또한 1999년 7월 21일에는 세계지렁이협의회 위원장이 중국과학원동물연구소의 초청을 받아 북경에 현지 조사차 방문하였으며, 이 기간동안(7월21일∼7월23일) 북경대환지렁이농장과 관련기업에서는 지렁이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이 심포지엄에서 지렁이 전문가 양진기(楊珍基)교수(중국농업과학원 토양비료 연구소, 저술; "9억농민 부자되는길", "지렁이 양식기술과 개발이용")는 자신이 20년간 연구한 중국 인공양식 지렁이의 요약 및 개발이용에 대해 발표를 하였으며, 중국과학원 동물연구소 거펑교수는 국내외 지렁이 연구의 발전정도에 대하여, 중국농업대학 손진교수는 지렁이 양식의 신기술과 지렁이 반응기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특히 손 교수는 3년간에 걸친 지렁이 양식 실험 중 노지 에서 양식한 것과 비닐온실에서 생산한 것의 차이점에 발표를 하여 관계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또한 중국 최대의 지렁이 양식농장인 북경대환지렁이농장에서는 10년간의 지렁이 농장 설립과정, 창업과정 및 지렁이 분변토시장 등에 대해 설명하면서 지렁이 산업에 대한 전망이 아주 밝다고 보고하였다.

세계지렁이 협의회 회장은 전국 몇 개 성(省)에서 온 학생대표와 함께 대환 지렁이 농장을 방문하여 대환지렁이농장의 양식 실태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오후에는 슬라이드 필름을 가지고 세계지렁이 양식기술과 수준 등에 대해 소개했으며, 학생대표들의 질문에도 하나하나 대답해 주었다. 또한 세계발전국가의 기계화 인공양식지렁이, 전자화교육, 컴퓨터 자동화 생산제어 시스템, 제품시장 가공 방면 등의 상황을 설명하였으며, 일본이 미국으로부터 사들이는 지렁이가격이 1㎏에 15달러이며, 지렁이 분변토는 톤당 300달러나 되며, 전세계 무역액도 최고 몇십억달러에 달한다고 하였다. 중국 내 인공양식지렁이는 생육조건이 좋고, 원료도 충족하고(대. 중형의 소와 돼지 가축장의 분뇨), 노동력도 싸며, 생산원가도 낮아서, 국내외 시장에서 시장 경쟁력이 매우 높다고 하였다.

지렁이는 유기성 폐기물과 쓰레기 등을 먹고 고단백질과 고품질 비료인 지렁이 분변토를 생산해 내기 때문에, 나쁜 것을 좋게, 폐기물을 귀하게 만드는 공신이며, 인류생존의 환경을 정화시켜,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이러한 인공양식 지렁이의 사업은 경제와 사회적 방면에서 뚜렷한 성과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500마리의 젖소를 기르는 농장에서는 연간 우분이 3500㎥가 배출된다. 이것은 7무(1무=200평)의 면적에서 지렁이를 키울 수 있는 양으로, 연간 마른 지렁이 8t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연간 700t의 분변토가 발생한다.

지렁이 양식은 빈곤한 지역에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산업으로 1무의 면적에서 지렁이를 양식할 경우 연간 순수익 1万元(한국130만원)이상을 기대할 수 있다.

중국 지렁이 산업의 건강한 발전을 위하여 새롭게 탄생될 중국양식지렁이협의회에서는 3개 부분으로 나누어 향후의 역할을 맡기로 하였다.

지렁이 양식산업은 시장의 상품수요 증가와 더불어 중국 경제와 사회발전에 따라 지렁이 양식 산업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1. 양식기술 통신교육부 : 컴퓨터를 이용한 국내외의 최신양식기술, 업계동향, 상품 정보 등을 회원들에게 교육한다. 10 개 이상의 지렁이 농장건설의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대형 우사 및 돈사와 각종 협조(協助)의 방식을 답변확정하여 주 변 지렁이 농장들에게 연계하며, 상품의 동질성과 회원상호간의 발전을 꾀한다. 또한 협회에서는 기술자를

파견 하 여 지렁이 양식농가들에게 양식기술을 보급한다.

2. 상품연구. 개발부 : 협회와 대학 및 연구원들과의 밀접한 협조하에 신제품의 개발과 분변토의 활용방안을 연구한 다 .(사료 및 비료연구)

3. 시장 상품판매부 : 상품판매의 영업망을 구축하며, 해외시장의 판로를 개발하고, 생산과 판매의 일원화를 추진하여 양 식농가의 이익을 도모한다

 

 

... 온도를 맞춰 건강한 지렁이 사육 법을 알아낸 것이다... . 노하우 때문이다. 지렁이 사육에는 돈이 별로 들지 않는다는 게 가장 큰 매력이다. 김씨의 지렁이 사육장은 토마토를... 이르는 국내 지렁이 사육 농가 가운데서도 가장 큰...
http://news.jjn.co.kr/society/200403/j200403020858506970.htm
... b2o3 김포 성문 교회. 지렁이 사육 삼성 사보 brioni 신한... 마우스 커서 모양. 지렁이 사육 mp3 폰 이어폰 moi mp3... 식초 jj 계란 알레르기. 지렁이 사육 ysk 학습 장애 학생 판별... 6 치트키 thejourney. 지렁이 사육 낙안 의 지리적 특색...
http://smerp.sajunara21.com/fpcenter.html
... 1024x768 지렁이 사육 동참 ... 재료 등으로 쓰이는 지렁이 사육 │ 농가는 경남 김해를... 03/13 60 7 지렁이 사육 동참 신범우 08/19 2 6 ... 275 2 지렁이 사육 동참 신범우 08/18 1 ...
http://114house.net/technote/read.cgi?board=g1&y_number=6
... 지렁이 사육으로 부농 꿈 가꾼다 취재부 <> ¨지렁이가 가축으로 사육되는 것을 아시나요¨ 지렁이가 기타가축으로 고시되면서 지렁이 사육과 이용기술... 경남도 농업기술원과 연계하여 지렁이 사육을 적극 권장하기로 하고 계성면...
http://www.newsk.com/newsn/614/NewsView.asp?arcid=301259&go=2....

지렁이 사업.판로에 관하여...

제가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지렁이 사업을 시작 할까 합니다.. 그래서 많은... 기술과 지렁이가 도입되어 시작되었으나 지렁이판로와 사육기술의 어려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