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동물,식물좀알려주세요

멸종위기동물,식물좀알려주세요

작성일 2007.03.04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실은요 선생님이 문집만든다고 자료모으라고해서 할려는데 멸종동물 식물 조류 어류 좀 가르쳐주고요 그리고 이름만 적는게 아니라 그림도 올려주고 조금만 내용좀 알려주세요 1줄이아니라 4~5줄까지 해주세요 몇개가아니라 10개로 적은것부터 해주고요 희긔동물도 해주며 좋아요 내공은 충분히 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종류

 

[포유류] : 총 10종
붉은 박쥐ㆍ늑대ㆍ여우ㆍ표범ㆍ호랑이ㆍ수달ㆍ바다사자ㆍ반달가슴곰ㆍ사향노루ㆍ산양

[조 류] : 총 13종
노랑부리백로ㆍ황새ㆍ노랑부리저어새ㆍ저어새ㆍ혹고니ㆍ흰꼬리수리ㆍ참수리ㆍ검독수리ㆍ매
두루미ㆍ넓적부리도요ㆍ청다리도요사촌ㆍ크낙새

[어 류] : 총 5종
감돌고기ㆍ흰수마자ㆍ미호종개ㆍ꼬치동자개ㆍ퉁사리

[무척추동물] : 총 3종
팔고둥ㆍ귀이빨대칭이ㆍ두드럭조개

[식 물] : 총 6종
한란ㆍ나도풍란ㆍ광릉요강꽃ㆍ매화마름ㆍ섬개야광나무ㆍ돌매화나무 등..

 

. .황금박쥐 (세계멸종위기동물1호)

 

 

2.듀공(멸종위기동물)

 

3.늑대(우리나라늑대 멸종위기동물)

 

4.백호입니다

세계 4대 희귀 동물

 

                    < 자이안트 팬더 >

 

               <오카피 >

 

                    < 봉고 >

 

                 < 난장이 하마 >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되어가고 있으며 사람들의 시선이 닿지 않는 곳으로 피신들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인간의 손에 멸종해 가는 동물들을 보호하고자 무던한 노력을 하고 있지요. 그 학자들이 세계 4대 희귀 동물을 선정했습니다.  

 

자이안트 팬더 (영명 : Giant Panda / 학명 : Ailuropoda melanoleuca)

분      류 : 식육목 팬더과
분포지역 : 티베트 동부, 중국 북서부, 히말라야, 아삼, 미얀마 등
서식장소 : 고지대의 대나무나 조릿대 우거진 곳

크      기 : 몸길이 120-150cm, 몸무게 70-160kg

 

어느 과로 넣어야 하느냐가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동물이죠. 아직도 정해지지 않았으며 왕팬더와 레서팬터를 합하여 팬더과로 할꺼라는 군요. 특정 대나무 잎만 먹기때문에 다른 지역에서는 키우기 힘들다는 설이 있습니다. 사실 버섯도 먹고 과일도 먹고 한다는 군요. 암컷의 가임 기간이 1년에 2~3일 밖에 안되기 때문에 요즘은 거의 인공수정을 통해서 후세를 얻어내죠. 원래 야생에서는 버마의 미얀마까지도 서식을 하고 있었다지만.. 요즘은 본 사람들이 없다고 그러니 원..

 

오카피 (영명 : Okapi / 학명 : Okapia jonstoni)

분      류 : 소목 기린과
분포지역 : 아프리카 콩고
서식장소 : 습한 깊은 삼림
크      기 : 몸길이 2~2.1m, 어깨높이 약 1.6m, 꼬리길이 약 40cm
 
멸종 위기의 동물로 치자면 이 오카피를 따라올 동물도 없죠. 얼룩말의 무늬를 갖다 말았고 기린의 목을 갖다 말았으니.. 참 특이한 생물이죠. 1901년 처음 인간(학자겠죠)에 의해 분류가 되었고, 우리가 알고 있는 목이 긴 기린 빼고 유일한 기린과죠. 마치 팬더와 레서팬더만이 같은 과인데 생김새는 아예 전혀 다르죠. 다른 정보들은 관심있으신 분들은 찾아보실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만 알 수 있는 신기한 사실을 알려드리도록 하죠. 오카피는 포유류 중 유일하게 혀로 귀를 후빌 수 있는 동물이랍니닷!!!!!!!!!!!!!!!!! 코도 아니고 귀를.. 하하 (혼자 웃고 있는 듯한.. ㅠㅠ) 암튼 신기합니다. 혀로 귀를 후빌 수 있는 이 엽기 동물을 야생에서 보시려면 자이루의 이투리숲에 가셔야 할겁니다. 물론 볼 수 있다는 장담은 못하지만..

 

봉고 (영명 : Mountain Bong / 학명: Tragelaphus euryceros)

분      류 : 소목 소과
분포지역 : 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에서 케냐까지
서식장소 : 삼림이 무성한 저지대
크      기 : 몸길이 170∼250㎝, 어깨높이 110∼130㎝, 몸무게 210∼400㎏, 뿔길이 60∼100㎝

 

특이하게 1속 1종의 생물입니다. 비슷한 예가 없어 따로 분류가 된 생물이라는 것이겠지요. 이 녀석의 사진을 찾을려고 봉고를 입력했더니.. 자동차 봉고가 나오는 바람에 애를 먹었지요. 냄새를 굉장히 잘 맡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천적인 자연친화적인 가죽을 뒤집어 썼을 뿐 아니라 발소리도 잘 내지 않는 고양이 과의 표범을 피하려면 시각이나 청각보다 후각이 훨씬 더 잘 발달해야 하겠죠. 더 알고 싶으면 검색을 해보시라~

 

난장이 하마 (영명 : pygmy hippopotamus / 학명 : Choeropsis liberiensis)

분      류 : 소목 하마과
분포지역 :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기니의 삼림지대
서식장소 : 밀림의 물가

크      기 : 몸길이 1.5∼1.8m, 어깨높이 75∼100㎝, 꼬리길이 약 15㎝, 몸무게 180∼250㎏

 

하마의 새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이 동물은 하마라기 보다는 멧돼지의 습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잇습니다. 굉장한 야행성이지요. 먹이도 멧돼지와 아주 비슷하게 나무 뿌리를 즐겨 먹죠. 하마처럼 물갈퀴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물속을 능숙하게 헤엄쳐 다닐 수는 없습니다. 사실 하마가 물속에 사는 이유는 그 몸무게가 너무 무겁기 때문인 까닭도 있습니다. 난장이 하마가 물가에 사는 이유는 몸을 습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지 실제로 물속에 들어가서 생활하는 일은 없습니다. 난장이 하마는  적의 위험을 느끼면 물속이 아닌 숲속으로 줄행랑을 칩니다.

 

                                    < 이라와디 돌고래 >

 

세계 야생 동물 기금(WWF)은 가장 위험에 처한 생물 10가지 가운데 하나로 라와디 돌고래를 선정해, 돌고래의 모든 거래에 반대하는 로비를 펼치고 있다.

 


                                       < 안경 원숭이 >

 

 

 

우리나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동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은 보호하는 방법은 온 국민이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이들을 보호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환경보호를 철저히하여야 합니다. 법을 준수하는 것도 한 방법이고요.

 

<곤충>
 
1. 장수하늘소
 
 
2. 두점박이사슴벌레
 
3. 산굴뚝나비
 
4. 상제나비
 
 
5. 수염풍뎅이
 
 
 
 
<포유류>
 
1. 늑대

 
 
2. 바다사자

 
 
3. 반달가슴곰
 
 
4. 붉은 박쥐

 
 
5. 사향노루

 
 
6. 산양

 
 
7. 수달

 
 
 
8. 여우

 
 
9. 표범

 
 
10. 호랑이

 
 
<조류>
 
1. 검독수리

 
 
2. 넙적부리도요
 
 
3. 노랑부리백로

 
 
4. 두루미

 
 
5. 매

 
 
6. 저어새

 
 
7. 참수리

 
 
8. 청다리도요사촌
 
 
9. 크낙새
 
 
10. 혹고니

 
 
11. 황새

 
 
12. 흰꼬리수리

 
 
 
<파충류 및 양서류>
 
1. 구렁이
 
 
 
 
<어류>
 
1. 감돌고기

 
 
2. 꼬치동자개

 
 
3. 미호종개
 
 
4. 퉁사리
 
 
5. 흰수마자
 
 
 
 
멸종위기 식물
 

 


섬개야광나무(장미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 분    류 : 장미과
▒ 원 산 지 : 한국
▒ 분포지역 : 울릉도 바위 지대에
                  드물 게 자람
▒ 서식장소 : 산지
▒ 크     기 : 높이 1.5m,
                 잎자루길이 2.5mm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1.5 m 내외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다소 잿빛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2.5 mm 정도이고 턱잎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산방상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백색이다.

     포와 작은포는 검은 자줏빛이며 꽃받침은 작은포로 둘러싸인다. 꽃잎은 길이 3mm정도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달걀 모양으로 길이 6 mm 정도이며 적자색으로 익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 바닷가에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잎자루의 길이가 2∼4mm이고 잎이 원형 또는 달걀 모양인 것을 둥근잎개야광(C. integerrima)이라고 하며 무산에서 자란다.

 



<!-- badtag filtered --> 

  

 


화마름(미나리아재비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 분     류 : 미나리아재비과
▒ 분포지역 : 한국(제주·전남·함북)·일본,
                  러시아, 북미, 중국등지
▒ 서식장소 : 늪이나 연못
▒ 크     기 : 길이 약 50cm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길이 약 50cm이다.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전부 물속에 들어 있으며, 3∼4회 깃꼴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다. 잎집과 잎자루는 짧고 털이 난다.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과 마주난 꽃자루가 물 위에 나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지름 약 1cm, 꽃자루 길이 3∼7cm이다. 꽃잎은 5장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 3∼4.5cm이다. 수술과 암술은 여러 개 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납작하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마르면 옆으로 달린 주름이 생긴다.

    꽃은 물매화 비슷하고 잎은 붕어마름 같이 생겼으므로 매화마름이라고 한다. 식물체가 가늘고 작으며 잎집과 꽃턱에 전혀 털이 없고 물 위에 뜨는 잎이 없는 것을 민매화마름(R. yezoensis)이라고 한다. 한국(제주·전남·함북)·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badtag filtered -->

    

 


나도풍란(난초과)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 분     류 : 난초과
▒ 분포지역 : 한국(제주·전남)·일본 ·중국
▒ 서식장소 : 따뜻한 곳의 상록수
                 나무 줄기나 바닷가 바위 위
▒ 크     기 : 잎의 길이 8∼15cm,
                 폭 1.5∼2.5cm  

    한국 남부 지방 따뜻한 곳의 상록수 나무 줄기나 바닷가 바위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긴 수염뿌리인데 땅 속에 있지 않고 공기 중에 노출된 기근(氣根)이다. 줄기는 짧고 마디 사이가 좁으며 비스듬히 선다. 잎은 3∼5개가 2줄로 달리며 줄기 각 마디에 하나씩 어긋나게 나고 두껍고 긴 타원 모양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고 끝이 갈라지며 길이가 8∼15cm, 폭이 1.5∼2.5cm이다.

   꽃은 6∼8월에 연한 녹백색으로 피는데, 뿌리에서 바로 나온 길이 5∼12cm의 꽃줄기 끝에 4∼10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꽃받침조각은 길이가 11∼13mm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다. 입술꽃잎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3개로 갈라지는데, 모두 연한 붉은 색의 반점이 있고 바깥쪽 조각은 작고 가운데 조각은 쐐기꼴이다.

    꽃밥은 흰색이고 화분 덩어리는 노란 색이다. 꿀주머니는 통 모양이고 앞으로 굽는다. 열매는 타원 모양 또는 곤봉 모양이다. 한국(제주·전남)·일본·중국(일부) 등지에 분포한다.

 

 

 

 

<!-- 포스팅 -->

 

 


 



 

 

    • 돌매화나무(돌매화나무과)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돌매화나무과의 상록 반관목.

      ▒ 분     류 : 돌매화나무과
      ▒ 분포지역 : 한국(제주 한라산) ,
                         러시아, 북미,일본등지
      ▒ 서식장소 : 높은 산
      ▒ 크     기 : 잎 길이 7∼15mm,
                        나비 3∼5mm,
                        꽃지름 15mm,
                        삭과 지름 약 3mm
    •     암매(岩梅)라고도 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한 군데에서 많이 뭉쳐나고 가는 가지에 잎이 빽빽하게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혁질(革質:가죽같은 질감)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잎 끝은 둥글고 밑은 뾰족하며 잎자루의 밑이 줄기를 약간 싸고 길이 7∼15mm, 나비 3∼5mm로 톱니는 없다.

          꽃은 지름 15mm이며 가지 끝에 백색 또는 분홍색으로 6∼7월에 1개씩 달린다. 포(苞)는 타원형으로 2∼3개가 있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밑쪽의 것은 가끔 꽃가지 가운데쪽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긴 원형이고 화관(花冠)은 백색이며 5개의 수술은 화관통부(花冠筒部) 끝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殼果)는 둥글고 지름 3mm 정도이며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3개로 갈라진다. 제주도(한라산)·사할린·일본·북미서부 등지에 분포한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종류

 

[포유류] : 총 10종
붉은 박쥐ㆍ늑대ㆍ여우ㆍ표범ㆍ호랑이ㆍ수달ㆍ바다사자ㆍ반달가슴곰ㆍ사향노루ㆍ산양

[조 류] : 총 13종
노랑부리백로ㆍ황새ㆍ노랑부리저어새ㆍ저어새ㆍ혹고니ㆍ흰꼬리수리ㆍ참수리ㆍ검독수리ㆍ매
두루미ㆍ넓적부리도요ㆍ청다리도요사촌ㆍ크낙새

[어 류] : 총 5종
감돌고기ㆍ흰수마자ㆍ미호종개ㆍ꼬치동자개ㆍ퉁사리

[무척추동물] : 총 3종
팔고둥ㆍ귀이빨대칭이ㆍ두드럭조개

[식 물] : 총 6종
한란ㆍ나도풍란ㆍ광릉요강꽃ㆍ매화마름ㆍ섬개야광나무ㆍ돌매화나무 등..

 

. .황금박쥐 (세계멸종위기동물1호)

 

 

2.듀공(멸종위기동물)

 

3.늑대(우리나라늑대 멸종위기동물)

 

4.백호입니다

세계 4대 희귀 동물

 

                    < 자이안트 팬더 >

 

               <오카피 >

 

                    < 봉고 >

 

                 < 난장이 하마 >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되어가고 있으며 사람들의 시선이 닿지 않는 곳으로 피신들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인간의 손에 멸종해 가는 동물들을 보호하고자 무던한 노력을 하고 있지요. 그 학자들이 세계 4대 희귀 동물을 선정했습니다.  

 

자이안트 팬더 (영명 : Giant Panda / 학명 : Ailuropoda melanoleuca)

분      류 : 식육목 팬더과
분포지역 : 티베트 동부, 중국 북서부, 히말라야, 아삼, 미얀마 등
서식장소 : 고지대의 대나무나 조릿대 우거진 곳

크      기 : 몸길이 120-150cm, 몸무게 70-160kg

 

어느 과로 넣어야 하느냐가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동물이죠. 아직도 정해지지 않았으며 왕팬더와 레서팬터를 합하여 팬더과로 할꺼라는 군요. 특정 대나무 잎만 먹기때문에 다른 지역에서는 키우기 힘들다는 설이 있습니다. 사실 버섯도 먹고 과일도 먹고 한다는 군요. 암컷의 가임 기간이 1년에 2~3일 밖에 안되기 때문에 요즘은 거의 인공수정을 통해서 후세를 얻어내죠. 원래 야생에서는 버마의 미얀마까지도 서식을 하고 있었다지만.. 요즘은 본 사람들이 없다고 그러니 원..

 

오카피 (영명 : Okapi / 학명 : Okapia jonstoni)

분      류 : 소목 기린과
분포지역 : 아프리카 콩고
서식장소 : 습한 깊은 삼림
크      기 : 몸길이 2~2.1m, 어깨높이 약 1.6m, 꼬리길이 약 40cm
 
멸종 위기의 동물로 치자면 이 오카피를 따라올 동물도 없죠. 얼룩말의 무늬를 갖다 말았고 기린의 목을 갖다 말았으니.. 참 특이한 생물이죠. 1901년 처음 인간(학자겠죠)에 의해 분류가 되었고, 우리가 알고 있는 목이 긴 기린 빼고 유일한 기린과죠. 마치 팬더와 레서팬더만이 같은 과인데 생김새는 아예 전혀 다르죠. 다른 정보들은 관심있으신 분들은 찾아보실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만 알 수 있는 신기한 사실을 알려드리도록 하죠. 오카피는 포유류 중 유일하게 혀로 귀를 후빌 수 있는 동물이랍니닷!!!!!!!!!!!!!!!!! 코도 아니고 귀를.. 하하 (혼자 웃고 있는 듯한.. ㅠㅠ) 암튼 신기합니다. 혀로 귀를 후빌 수 있는 이 엽기 동물을 야생에서 보시려면 자이루의 이투리숲에 가셔야 할겁니다. 물론 볼 수 있다는 장담은 못하지만..

 

봉고 (영명 : Mountain Bong / 학명: Tragelaphus euryceros)

분      류 : 소목 소과
분포지역 : 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에서 케냐까지
서식장소 : 삼림이 무성한 저지대
크      기 : 몸길이 170∼250㎝, 어깨높이 110∼130㎝, 몸무게 210∼400㎏, 뿔길이 60∼100㎝

 

특이하게 1속 1종의 생물입니다. 비슷한 예가 없어 따로 분류가 된 생물이라는 것이겠지요. 이 녀석의 사진을 찾을려고 봉고를 입력했더니.. 자동차 봉고가 나오는 바람에 애를 먹었지요. 냄새를 굉장히 잘 맡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천적인 자연친화적인 가죽을 뒤집어 썼을 뿐 아니라 발소리도 잘 내지 않는 고양이 과의 표범을 피하려면 시각이나 청각보다 후각이 훨씬 더 잘 발달해야 하겠죠. 더 알고 싶으면 검색을 해보시라~

 

난장이 하마 (영명 : pygmy hippopotamus / 학명 : Choeropsis liberiensis)

분      류 : 소목 하마과
분포지역 :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기니의 삼림지대
서식장소 : 밀림의 물가

크      기 : 몸길이 1.5∼1.8m, 어깨높이 75∼100㎝, 꼬리길이 약 15㎝, 몸무게 180∼250㎏

 

하마의 새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이 동물은 하마라기 보다는 멧돼지의 습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잇습니다. 굉장한 야행성이지요. 먹이도 멧돼지와 아주 비슷하게 나무 뿌리를 즐겨 먹죠. 하마처럼 물갈퀴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물속을 능숙하게 헤엄쳐 다닐 수는 없습니다. 사실 하마가 물속에 사는 이유는 그 몸무게가 너무 무겁기 때문인 까닭도 있습니다. 난장이 하마가 물가에 사는 이유는 몸을 습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지 실제로 물속에 들어가서 생활하는 일은 없습니다. 난장이 하마는  적의 위험을 느끼면 물속이 아닌 숲속으로 줄행랑을 칩니다.

 

                                    < 이라와디 돌고래 >

 

세계 야생 동물 기금(WWF)은 가장 위험에 처한 생물 10가지 가운데 하나로 라와디 돌고래를 선정해, 돌고래의 모든 거래에 반대하는 로비를 펼치고 있다.

 


                                       < 안경 원숭이 >

 

 

 

우리나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동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은 보호하는 방법은 온 국민이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이들을 보호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환경보호를 철저히하여야 합니다. 법을 준수하는 것도 한 방법이고요.

 

<곤충>
 
1. 장수하늘소
 
 
2. 두점박이사슴벌레
 
3. 산굴뚝나비
 
4. 상제나비
 
 
5. 수염풍뎅이
 
 
 
 
<포유류>
 
1. 늑대

 
 
2. 바다사자

 
 
3. 반달가슴곰
 
 
4. 붉은 박쥐

 
 
5. 사향노루

 
 
6. 산양

 
 
7. 수달

 
 
 
8. 여우

 
 
9. 표범

 
 
10. 호랑이

 
 
<조류>
 
1. 검독수리

 
 
2. 넙적부리도요
 
 
3. 노랑부리백로

 
 
4. 두루미

 
 
5. 매

 
 
6. 저어새

 
 
7. 참수리

 
 
8. 청다리도요사촌
 
 
9. 크낙새
 
 
10. 혹고니

 
 
11. 황새

 
 
12. 흰꼬리수리

 
 
 
<파충류 및 양서류>
 
1. 구렁이
 
 
 
 
<어류>
 
1. 감돌고기

 
 
2. 꼬치동자개

 
 
3. 미호종개
 
 
4. 퉁사리
 
 
5. 흰수마자
 
 
 
 
멸종위기 식물
 

 


섬개야광나무(장미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 분    류 : 장미과
▒ 원 산 지 : 한국
▒ 분포지역 : 울릉도 바위 지대에
                  드물 게 자람
▒ 서식장소 : 산지
▒ 크     기 : 높이 1.5m,
                 잎자루길이 2.5mm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1.5 m 내외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다소 잿빛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2.5 mm 정도이고 턱잎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산방상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백색이다.

     포와 작은포는 검은 자줏빛이며 꽃받침은 작은포로 둘러싸인다. 꽃잎은 길이 3mm정도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달걀 모양으로 길이 6 mm 정도이며 적자색으로 익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 바닷가에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잎자루의 길이가 2∼4mm이고 잎이 원형 또는 달걀 모양인 것을 둥근잎개야광(C. integerrima)이라고 하며 무산에서 자란다.

 



<!-- badtag filtered --> 

  

 


화마름(미나리아재비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 분     류 : 미나리아재비과
▒ 분포지역 : 한국(제주·전남·함북)·일본,
                  러시아, 북미, 중국등지
▒ 서식장소 : 늪이나 연못
▒ 크     기 : 길이 약 50cm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길이 약 50cm이다.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전부 물속에 들어 있으며, 3∼4회 깃꼴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다. 잎집과 잎자루는 짧고 털이 난다.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과 마주난 꽃자루가 물 위에 나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지름 약 1cm, 꽃자루 길이 3∼7cm이다. 꽃잎은 5장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 3∼4.5cm이다. 수술과 암술은 여러 개 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납작하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마르면 옆으로 달린 주름이 생긴다.

    꽃은 물매화 비슷하고 잎은 붕어마름 같이 생겼으므로 매화마름이라고 한다. 식물체가 가늘고 작으며 잎집과 꽃턱에 전혀 털이 없고 물 위에 뜨는 잎이 없는 것을 민매화마름(R. yezoensis)이라고 한다. 한국(제주·전남·함북)·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badtag filtered -->

    

 


나도풍란(난초과)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 분     류 : 난초과
▒ 분포지역 : 한국(제주·전남)·일본 ·중국
▒ 서식장소 : 따뜻한 곳의 상록수
                 나무 줄기나 바닷가 바위 위
▒ 크     기 : 잎의 길이 8∼15cm,
                 폭 1.5∼2.5cm  

    한국 남부 지방 따뜻한 곳의 상록수 나무 줄기나 바닷가 바위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긴 수염뿌리인데 땅 속에 있지 않고 공기 중에 노출된 기근(氣根)이다. 줄기는 짧고 마디 사이가 좁으며 비스듬히 선다. 잎은 3∼5개가 2줄로 달리며 줄기 각 마디에 하나씩 어긋나게 나고 두껍고 긴 타원 모양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고 끝이 갈라지며 길이가 8∼15cm, 폭이 1.5∼2.5cm이다.

   꽃은 6∼8월에 연한 녹백색으로 피는데, 뿌리에서 바로 나온 길이 5∼12cm의 꽃줄기 끝에 4∼10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꽃받침조각은 길이가 11∼13mm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다. 입술꽃잎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3개로 갈라지는데, 모두 연한 붉은 색의 반점이 있고 바깥쪽 조각은 작고 가운데 조각은 쐐기꼴이다.

    꽃밥은 흰색이고 화분 덩어리는 노란 색이다. 꿀주머니는 통 모양이고 앞으로 굽는다. 열매는 타원 모양 또는 곤봉 모양이다. 한국(제주·전남)·일본·중국(일부) 등지에 분포한다.

 

 

 

 

<!-- 포스팅 -->

 

 


 



 

 

    • 돌매화나무(돌매화나무과)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돌매화나무과의 상록 반관목.

      ▒ 분     류 : 돌매화나무과
      ▒ 분포지역 : 한국(제주 한라산) ,
                         러시아, 북미,일본등지
      ▒ 서식장소 : 높은 산
      ▒ 크     기 : 잎 길이 7∼15mm,
                        나비 3∼5mm,
                        꽃지름 15mm,
                        삭과 지름 약 3mm
    •     암매(岩梅)라고도 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한 군데에서 많이 뭉쳐나고 가는 가지에 잎이 빽빽하게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혁질(革質:가죽같은 질감)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잎 끝은 둥글고 밑은 뾰족하며 잎자루의 밑이 줄기를 약간 싸고 길이 7∼15mm, 나비 3∼5mm로 톱니는 없다.

          꽃은 지름 15mm이며 가지 끝에 백색 또는 분홍색으로 6∼7월에 1개씩 달린다. 포(苞)는 타원형으로 2∼3개가 있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밑쪽의 것은 가끔 꽃가지 가운데쪽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긴 원형이고 화관(花冠)은 백색이며 5개의 수술은 화관통부(花冠筒部) 끝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殼果)는 둥글고 지름 3mm 정도이며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3개로 갈라진다. 제주도(한라산)·사할린·일본·북미서부 등지에 분포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점수 냠냠;; 죄송;; 하긴 도움 많이 되엇습니다~~~~

멸종위기 동물식물알려주세요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동물,식물 각각 1종류씩 알려주세요 원인이랑 해결방법도요 +멸종위기생물은 보전해야하는 이유 3가지 알려주세요 우리나라 멸종위기 동물에는...

멸종위기동물,식물좀알려주세요

... 알려주세요 1줄이아니라 4~5줄까지 해주세요 몇개가아니라 10개로 적은것부터 해주고요 희긔동물도 해주며 좋아요 내공은 충분히 줍니다 ■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멸종위기동물식물좀 알려주세요...

님들 멸종위기동물식물좀 알려주세요 저 지금 4학년인데 과학숙제로 선생님께서 멸종위기동물과 실물을 알아오라고 하셨거든요. 빨리 보시는 대로 빨리 해...

멸종위기 동물, 멸종위기 식물

멸종위기동물,식물을 설명과 함께 알려주세요! 예)왜 멸종위기 동물,식물인지 멸종위기 동물,식물 몇등급인지,왜 그런 이름인건지 등등 급해요ㅠㅠ 내일 4시까지는...

멸종위기동물식물

멸종위기동물식물을 조사하고 싶은데 조사할곳이나 멸종위기동물들을알려주세요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정의는 '야생생물...

멸종위기동물좀알려주세요

전3학년 이승준인데여 멸종위기 동물좀 많이 알려주세요. 내공50겁니다. 그리고 사진과... 무척추동물 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급 귀이빨대칭이, 나팔고둥, 남방방게...

멸종위기동물

빨리빨리 멸종위기동물 좀 알려주세요ㅠㅜ 1편에는 수달, 대륙사슴, 수달 등 멸종위기... 이들 14종은 포유류 7종, 조류 3종, 파충류 1종, 곤충류 1종, 육상식물 2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