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1 자극의 전도

생물1 자극의 전도

작성일 2007.10.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극의 전도와 관련하여 질문이 여러개 있는데요 내공35걸테니 답변좀 상세하게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1. 나트륨펌프는 항상 작동하는게 아닌가요?? 휴지전위때만작동하는 것입니까? 그리고 탈분극때부터는

작동을 멈추고 재분극말기에 다시 활동을 시작하는 건가요??

 

2. 휴지기때 나트륨과 칼륨의 전위차(나트륨펌프에 의해 세포막 밖으로 나트륨3개이동 안으로 칼륨2개 이동하여 생기는 전위차)가 생기지 않으면 자극이 있어서 나트륨 채널이 열려도 나트륨이 세포막안으로 확산이 되지않을까요??

 

3. 나트륨펌프에 의해 나트륨3개나가고 칼륨2개들어오는거때문에 휴지전위생긴다고 봐도될까요??

꼭 세포안의 -전하를 띠는 단백질의 역할까지 얘기해야합니까?? 아니면 단백질은 그냥 부가적인 원인이라고 봐도 됩니까??

 

4. 자극받은 부위에 나트륨채널에 의해 유입된 나트륨이 양옆으로 이동하면서 양옆의 탈분극을 유도하는 건가요?? 아니라면 그 양옆의 탈분극의 원인이 뭔가요?? 어떤 곳에서는 자극받은 부위에 나트륨채널에 의해 유입된 나트륨이 양옆으로 이동하며 그 양옆의 나트륨채널을 열리게 한다는데... 무엇이 맞죠?? 정확이 그 양옆의 탈분극의 원인이 무엇입니까??

 

5. 자극의 전도에서 말하는 탈분극이 일어나는 장소는  모든 뉴런이라고 볼수있습니까??

 

6. 아직 자극을 받지 않은 뉴런은 이미 자극이 전도된 앞 뉴런의 축색돌기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에 의해서 자극을 받잖아요 이것이 뒷뉴런의 나트륨채널이 열리게 하는 역치 이상의 자극인가요?? 나트륨채널이 열리게 하는 역치 이상의 자극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아세틸콜린을 말하는 건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나트륨펌프는 항상 작동하는게 아닌가요?? 휴지전위때만작동하는 것입니까? 그리고 탈분극때부터는

작동을 멈추고 재분극말기에 다시 활동을 시작하는 건가요??

 

 세포막은 항상 휴지막 전위이고 자극을 받았을때만 탈분극이 일어나거든요. 나트륨펌프는 탈분극때에만 잠시 작동을 멈추고요. 휴지막전위(평상시)에는 ATP의 공급이 끊어지지 않는이상 작동합니다. 

 

2. 휴지기때 나트륨과 칼륨의 전위차(나트륨펌프에 의해 세포막 밖으로 나트륨3개이동 안으로 칼륨2개 이동하여 생기는 전위차)가 생기지 않으면 자극이 있어서 나트륨 채널이 열려도 나트륨이 세포막안으로 확산이 되지않을까요??

 

나트륨과 칼륨의 이동은 전위차에 의해서 생기는것이 아니라 확산현상에 의해 일어나는 겁니다. 확산은 그 물질의 농도가 큰쪽에서 농도가 작은쪽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확산에 대해 좀 설명해보자면..

확산은 어떤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이, 분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서 이동하면서 ,그 물질이 다른쪽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말하는 겁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농도가 높은쪽에는 농도가 낮은쪽보다 분자의 수가 더 많으므로 농도가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이동하는 분자의 수가 낮은쪽에서 높은쪽으로 이동하는 분자의 수보다 많아서 결과적으로 물질이 농도가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나트륨펌프에 의해서 항상 세포바깥쪽의 나트륨 농도가 안쪽보다 높고, 세포 안쪽의 칼륨농도가 바깥쪽보다 높습니다. 이러한 농도차에 의해서 이온이 이동하는 겁니다.

 

3. 나트륨펌프에 의해 나트륨3개나가고 칼륨2개들어오는거때문에 휴지전위생긴다고 봐도될까요??

꼭 세포안의 -전하를 띠는 단백질의 역할까지 얘기해야합니까?? 아니면 단백질은 그냥 부가적인 원인이라고 봐도 됩니까??

 

-전하를 띄는 단백질의 역할을 무시할수는 없는거죠. -전하를 띄는 단백질도 엄연히 전위차를 만들어 주는 존재인데요..

 

4. 자극받은 부위에 나트륨채널에 의해 유입된 나트륨이 양옆으로 이동하면서 양옆의 탈분극을 유도하는 건가요?? 아니라면 그 양옆의 탈분극의 원인이 뭔가요?? 어떤 곳에서는 자극받은 부위에 나트륨채널에 의해 유입된 나트륨이 양옆으로 이동하며 그 양옆의 나트륨채널을 열리게 한다는데... 무엇이 맞죠?? 정확이 그 양옆의 탈분극의 원인이 무엇입니까??

 

자극받은 부위에 나트륨 채널에 의해 유입된 나트륨이 양옆으로 이동하며 탈분극을 일으키는게 맞습니다.

 

5. 자극의 전도에서 말하는 탈분극이 일어나는 장소는  모든 뉴런이라고 볼수있습니까??

 

위에서 말했듯이 뉴런안으로 들어온 나트륨이 확산되어 갈수 있는 곳은 어디나 탈분극이 일어날 수 있겠죠.

 

6. 아직 자극을 받지 않은 뉴런은 이미 자극이 전도된 앞 뉴런의 축색돌기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에 의해서 자극을 받잖아요 이것이 뒷뉴런의 나트륨채널이 열리게 하는 역치 이상의 자극인가요?? 나트륨채널이 열리게 하는 역치 이상의 자극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아세틸콜린을 말하는 건가요??

 

자극의 정의는

생물체에 작용하여 특정반을을 일으키는 생물체 내외의 환경변화

라고 할수 있어요.

여기서 자극은 '아세틸콜린이라는 화학물질과의 접촉' 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아세틸콜린과의 접촉 이라는게 환경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아세틸콜린에 의해 뉴런의 세포막의 투과성이 변하는것으로 보아 역치이상의 자극이라고 할 수 있지요.

 

 

님이 질문한 내용을 보니 저랑 공부방식이 너무나도 똑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 드렸습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생물1 자극의 전도

자극의 전도와 관련하여 질문이 여러개 있는데요 내공35걸테니 답변좀 상세하게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1. 나트륨펌프는 항상 작동하는게 아닌가요?? 휴지전위때만작동하는...

생물1 흥분전도 질문

... 흥분전도가 1번일어나니까 당연히 탈분극 먼저일어난뒤에 과분극이 일어나는거 아녜요? 만약 ㄱ이 맞는 선지가 되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X에서 자극을...

생물1 , 탈분극상태일때 막전위와 활동전위

생물1에서 , 자극의 전도 부분에서요 분극상태에서 휴지전위는 -70mV 잖아요 , 이건 세포막 안팎의 전위차 라고알고있어요 그럼 탈분극상태에서 활동전위가 100-105mV 라는데...

생물1 흥분전도에 관하여

흥분 전도가 일어나는 과정을 살펴보면 처음에 세포 바깥 쪽에는 Na이온이 많은 상태... 또 분극 상태에서 역치 이상의 자극을 받으며 Na이온이 안쪽으로 유입되면서 활동 전위가...

생물1 자극전달 (내공 100)

... 흥분의 전도에 관해 말씀하시는 거로군요. 흥분이라는 것은 전기입니다. 생물은... 그래프는 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고요.) 2) 탈분극 그런데 역치 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고2 생물1 내신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지...

... 자극의 전달은 시냅스에서 화학물질이 확산에 의해 이루어지지기 때문에 전도보다 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B의 경우가 C의 경우보다 자극의 이동 속도가 빠릅니다. 즉...

자극의 전도 과정 상세하게

자극의 전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해야합니다.ㅠㅠㅠ 수행평가로 전도과정을 나와서 선생님이 되어서 수업을 하라는데요 생물1에...

생물1과목중에 전문적인 지식...

... 흥분의 전도,전달 과정말인데요.. 각설하고 바로... 꺼져있다가 자극이 주어지고 나트륨이 확산되고 칼륨이... 보이나요 생물1에서는 다루지 않는 내용입니다. 모르셔도...

<생물1> 자극과 반응 파트 질문이요

1.흥분의 전도가 빨리 일어나려면 유수신경이거나 축색의 지름이 커야 한다느데.. 정확히 축색의 지름이 큰건가요? 아님 축색돌기의 지름인가요? 축색돌기면 수초까지 포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