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분의 전도와 막전위의 변화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생물1 관련 생소한...

흥분의 전도와 막전위의 변화에서 의문점이 있습니다.(생물1 관련 생소한...

작성일 2004.09.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먼저 첫번째
흥분이 지나간 다음 세포막의 전위는 어떻게 되는가?

-> 칼륨 양이온의 유출에 의해 재분극된후 일시적으로 칼륨양이온 때문에 휴지전위보다 낮은 전위가 형성된 후 나트름 칼륨 펌프에 의해 휴지전위로 돌아온다.

이렇게 답을 주셧더라구요. 그런데 왜 칼륨 양이온 때문에 휴지전위보다 낮은 전위가 형성되는지 궁금하네요. 그래프를 봐도 휴지전위 상태보다 약간 낮아졌다가 다시 올라가더라구요.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두번째 질문
활동전위 : 주변부로 자극을 전도시킬 수 있는 막전위의 세기
이렇게 정의하고 있는데 탈분극 된 상태의 막전위 값도 같은 이야기 인가요?

또한 수용기 전위의 정의를 설명해주시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가르쳐주십시오.

세번째 질문
재분극이 일어 나면서 칼륨 양이온은 칼륨 통로에 의해서 밖으로 유출 될 때에 그 때 탈분극 되었을 때 나트륨 양이온이 대량 유입되었던 것은 어디에 있나요? 그리고 그 때는 나트륨 칼륨 펌프가 작동을 안하고 나트륨 통로는 닫혀있는것인가요?

네번째 질문
재분극시 칼륨 양이온이 대량 밖으로 유출되고 나트륨 양이온이 안에 있다면 그 후에는 나트륨채널과 칼륨 채널은 닫히고 나트름 칼륨 펌프에 의해서만 작동을 한다고 하는데 많은 나트륨과 칼륨을 밖으로 퍼내고 안으로 들여오기에는 펌프만의 능동수송으로 하면 에너지가 많이 소모 될텐데 왜 나트륨 칼륨 채널은 그 시기에 닫혀 있나요?

다섯번째 질문

나트륨 양이온과 칼륨 이온은 그 부위에서만 상하 이동하는 방식으로 자극을 옆쪽으로 전도시키는 건가요? 그리고 이온의 이동만으로 옆쪽으로 전도를 어떻게 할 수 있는것인가요?

질문이 많았던것 같은데 하나 하나 자세히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이부분이 이번 중간고사 범위인데요 교과서로만은 부족하다고 느껴서 아에 기부분을 팠어요 ㅋㅋ 그나만 비슷한 나이로서 답변드리니 이해잘되시리라 믿어요 ㅎㅎ

 

첫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이건 그래프랑 같이 생각하셔야 되는데요, 그래프 보세요. 쭉 올라갔다가 내려오죠? 근데 내려와서 좀더 밑으로 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것 보이시죠?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는지 알려드릴께요...칼륨채널이 열리고 칼륨이온이 밖으로 쏟아져 나가잖아요...계속 쏟아져 나가면 세포막안의 전하가 + 가 줄고 점점 -- 쪽으로 가요...결국 계속 이 작업이 지속되면 밑까지 내려가는 겁니다. 그리고 가장 밑으로 내려간 순간 나트륨칼륨펌프가 작동하기 시작합니다. 나트륨칼륨펌프는 성격상 나트륨이온을 밖으로 3개 칼륨이온을 안으로 2개씩 이동시키므로 다시 올라가는 것이지요.

 

세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그래프보시면 쭉 올라갔다가 내려오죠? 내려오기 시작하는 순간 칼륨채널이 열리는 거에요.(칼륨채널이 칼륨통로입니다)이 칼륨채널은 에너지가 소비되지 않는 수동수송입니다.(그니깐 확산현상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거에요, 반대로 능동수송은 소화에서 배우셨을 수도 있는데, 재흡수와 같이 에너지를 쓰면서 일으키는 거에요...확산현상의 특징은 많은 데에서 적은 데로 이동한다는 겁니다) 괄호쳐진거 이해하셨다면 다시 설명 드릴께요. 그래프가 반전되기 시작할 떄 칼륨채널이 열리구요, 나트륨채널은 닫혀요.그리고 그 순간만은 펌프도 작동안합니다. 즉 칼륨채널로만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거든요. 생각해보세요 원래 칼륨이온이 어디에 많았죠? 세포막 내부죠? 확산은 많은 데서 적은 대로 간다고 했으니 칼륨이온이 많았던 세포막 안에서 밖으로 칼륨이온이 이동합니다. 이 떄 유입되었던 대량의 나트륨이온은 세포막 내부에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한번 생각하실 부분이 있어요, 칼륨채널이 열리기 전에는 세포막 내부에 무엇들이 있었죠? 대량의 유입된 나트륨이온과 아직 이동을 하지 않았던 칼륨이온이 있었습니다. 이 두 이온은 모두 +이온이라서 세포막내부는 최대의 +전하를 지녔던 겁니다. 근데 칼륨채널이 열리면서 +이온중 일부인 칼륨이온이 세포막 밖으로 나가죠? 그니깐 세포막의 양전하가 감소하는 겁니다.

 

네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재미있는  질문이네요 ㅋㅋ 왜 에너지를 많이 쓰는 일을 저지르는가말이죠? 음 생물선생님께도 여쭤봤는데요, 그 이유는 깊게 들어가면 대학교 과정인데 나트륨채널과 칼륨채널의 특성 때문입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요, 나트륨채널은 자세히 보면 두 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활성과 불활성인데 이것의 특징이 나트륨은 항상 세포막 밖에서 안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거에요...그러니깐 에너지 아끼려고 나트륨채널열어봤자 안에 있던 나트륨이온은 밖으로 이동할 턱이 없던 게지요....마찬가지로 칼륨채널은 칼륨이온이 밖으로 나가는 것 허용하나 안으로 들어오는 건 할 수가 없대요... 좀 어거지 같지만 아무튼 그렇습니다. 

 

 

다섯번쨰 질문에 대한 답변)이 부분에 관해 생각많이 해봤어요. 나트륨이온의 유입으로 탈분극되죠? 글면 그 영향으로 그 주위의 세포막의 투과성이 변해서 주변의 세포막 밖의 나트륨이온도 때거지로 들어올 꺼에요 아마... 오래 전 생물교육에서는 들어온 나트륨이온이 양옆으로 뭐 이동한다든가 한다고 가르쳤는데 이건 잘못된 거라는 점이 이미 밝혀졌데요.

 

(참고)두번째 질문은 해볼려고 노력했는데 저도 못할 거 같네요 죄송해요 ㅎㅎ 시험 잘보시구요...이런거 솔직히 대학교 때 배운데요,,,,울학교 생물선생님께서 실제 대학교에서 하는 프린트를 보여주셨는데 제가 위에 설명드린 거랑 비슷해요...

  님정도 되시면 이 부분은 내신문제 나와봤자 다 껌처럼 느껴질 듯 싶네요...ㅋㅋ 시험 잘보시구요...제가 적은 자료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래요...참고로 이거 제가 어디 뺏긴거 아니고 순수 머릿속에 정리한거 쓴거에요 ㅎㅎ

의문점이 있습니다.(생물1 관련 생소한...

먼저 첫번째 흥분이 지나간 다음 세포막의 전위는 어떻게... 자극을 전도시킬 수 있는 막전위의 세기 이렇게 정의하고...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한번 생각하실 부분이 있어요...

생물1 흥분전도 질문

이 문제 ㄱ이 왜 틀렸는지 모르겠어요 흥분전도가... 위치에 있습니다. 분명 자극을 먼저 받았다면 d2가 d3보다 막전위의 변화가 많이 됬어야 하는데 d3가 훨씬 더...

생명과학 1 막전위

... 흥분 전도와 활동전위는 신경 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현상과 관련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흥분이... 전기적인 변화를 나타내며, 이는 신경 세포의 출발점에서...

생명과학 막전위

... 해당 문제와 관련 X 이때 만약 신경의 전도 속도가 1cm/ms라고 하면 자극 지점인 P2에서 P1까지의 도달 시간은 3ms이고, 막전위 변화 시간이 3ms라고 하면 총 시간은 3ms(도달)...

생명과학 1 흥분의 전도 관련 문제...

세세하게 알려주세요 ㅠㅠ 총 걸린 시간 = 자극의 이동시간 + 막전위 변화시간 임을 이용하여 모든 흥분의 전도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B의 P4 지점에서 막전위가 +30이고...

생물1 분극 관련

... 이온 투과성과 막전위 변화에 대하여 1. 막전위 변화(왼쪽). 2. 이온 투과성... 회복 : ☞ 흥분전도되어진 이후에 처음 흥분한 부위가 원상태로...

생물1 자극과 반응 질문

생물1을 공부하다가 헤깔리는점이 있어서 질문을... 신경세포의 막전위를 나타낸것이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뭐... 흥분(상태변화)을 탈분극이라 하며, 탈분극을 반응이라고도...

생물1에 관하여 질문합니다..내공100

... 5.시험관 아기 라는 말은 체외수정을 통한 아기와 관련... 수 있습니다. 특히 제1감수분열시기를 통해서 다양성이... 막전위를 각각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비교하시오? 흥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