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과학 세포분열에 관해 질문입니다.

중3 과학 세포분열에 관해 질문입니다.

작성일 2006.04.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체세포 분열은 거의 다 이해를 했는데

염색분체라는 것과 감수분열에서 이해가 안가는 게 있어요.ㄱ-

 

체세포 분열은 간기에 유전물질이

2배로 복제되서 말기에 두개의 딸세포로

나눠져도 염색체 수가 모세포와 같잖아요.

 

질문1) 그런데 유전물질이 복제된다는 것이

하나의 염색체가 두개의 염색분체로 된다는 말인가요?

그게 아니라면 무슨 말인지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감수분열 중 1차분열에서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잖아요.

2가염색체가 형성되니까요.

 

질문2)그렇게 되면 생식세포가 분열할때는

유전물질이 복제되지 않고 그냥 상동염색체가 접합해서 나눠지기

때문에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건가요?

 

제 말 이해하실 수 있으시겠어요?

제발 좋고 이해하기 좋은 답변 달아주셨으면 좋겠어요.ㄱ-

추가 감사 내공도 드릴게요.ㄱ-

 

 


#중3 과학 교과서 #중3 과학 목차 #중3 과학 요점정리 pdf #중3 과학 문제집 pdf #중3 과학 기출문제 무료 #중3 과학 기출문제 #중3 과학 1단원 요점정리 pdf #중3 과학 문제집 #중3 과학 중간고사 기출문제 pdf #중3 과학 문제집 추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체세포 분열은 거의 다 이해를 했는데

염색분체라는 것과 감수분열에서 이해가 안가는 게 있어요.ㄱ-

 

체세포 분열은 간기에 유전물질이

2배로 복제되서 말기에 두개의 딸세포로

나눠져도 염색체 수가 모세포와 같잖아요.

 

질문1) 그런데 유전물질이 복제된다는 것이

하나의 염색체가 두개의 염색분체로 된다는 말인가요?

그게 아니라면 무슨 말인지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잘 이해하고 계신것 같은데요..^^ 유전물질이 간기에 복제가 되는데요...

하나의 염색체가 복제를 거쳐서 똑같은 DNA를 2개 만들어 내는거에요...

보통 교과서나 그림에선...X자로 표현하지요.. 이렇게 복제된 상태인 X자에서

한 가닥을 우리가 염색분체라고 부르는 거에요...

 

그리고 감수분열 중 1차분열에서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잖아요.

2가염색체가 형성되니까요.

 

질문2)그렇게 되면 생식세포가 분열할때는

유전물질이 복제되지 않고 그냥 상동염색체가 접합해서 나눠지기

때문에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건가요?

감수분열 제 1분열 간기에서 역시 복제가 일어나죠....체세포 분열과 다른점이 있다면..

이 복제된 상동염색체가 말씀하신대로 붙어서 '2가염색체'를 형성한다는 거에요...

그래서 제 1분열이 끝나면서 이 상동염색체가 반으로 나눠져서 두개의 세포로

나눠지게 되죠...여기서..즉, 제 1분열이 끝나고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들게 되는거에요.

제 2분열은 간기 없이..즉 복제 없이 분열이 되어서 1분열 간기에서 복제되었던

염색분체 끼리의 분리가 일어나서 네개의 딸세포가 생기는 거죠...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었다는 것은요..2N->N 으로 됐다는 것인데요...

2N이라고 부를 때는 한 세포안에 상동염색체가 존재할 때 2N이라고 해요..

한쌍이 존재한다는 거죠...우리는 엄마에게서 염색체 반을, 아빠에게서 염색체

반을 받게 되잖아요...그래서 1번염색체에는 엄마에게서 받은 1번염색체와

아빠에게서 받은 1번염색체가 존재하게 되는거죠...이 두개의 1번염색체는...

모양과 기능이 같아서 상동염색체라고 하는데요...이렇게 한쌍이 되는 상동염색체가

한 세포에 존재할 때를 2N....이라고 하구요..

감수분열 제 1분열이 끝나면 상동염색체가 분리되어 두개의 세포로 나눠지죠??

그럼..그 각각 세포에는...상동염색체가 없죠...~ 분리되어 나눠졌으니까요..

그러니까. 이때부터는 각 세포는 N이 되는거에요...^^ 

 

제 말 이해하실 수 있으시겠어요?

제발 좋고 이해하기 좋은 답변 달아주셨으면 좋겠어요.ㄱ-

추가 감사 점수도 드릴게요.ㄱ-

 

제대로된 답변이길 바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출저 : http://middle.edupia.com/schoolbook/seb/sub.asp?nYear=9&SzCode=SC&nTerm=2&strMenuCode=TCBAAAAAAD

 

1. 체세포 분열
 (1) 생물체와 세포 : 모든 생물의 몸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세포 생물의 몸의 크기
      는 세포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2) 세포 분열 : 한 개의 세포가 둘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체세포에서 일어나는 체세포 분
      열과 생식 세포를 만들 때 일어나는 감수 분열로 구분된다.
 (3) 체세포 분열의 과정 : 핵분열이 먼저 일어나고, 이어서 세포질 분열이 일어난다.
    ① 핵분열 : 염색체의 변화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한다.
      ㉠ 간기 : 분열과 분열 사이의 시기, 염색사의 양(DNA)이 2배로 증가한다.
      ㉡ 전기 : 핵분열 과정 중 가장 긴 시기이다.
          · 핵막과 인이 사라지며, 염색사는 굵고 짧아져 염색체로 된다.
          · 각 염색체는 세로로 갈라져 두 가닥(염색 분체)을 이룬다.
          · 양 극에서 가는 실 모양의 방추사가 형성된다.
      ㉢ 중기 : 핵분열 중 가장 짧은 시기, 염색체를 관찰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다.
          · 염색체가 세포 중앙의 적도면에 배열되고, 방추사가 각각의 염색체에 한 개씩 연결
          된다.
      ㉣ 후기 : 두 가닥의 염색체(염색 분체)가 방추사에 의해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한다.
      ㉤ 말기 : 핵막과 인이 다시 나타나 2개의 딸핵이 형성되고, 이어서 세포질 분열이 일어
          난다.



    ② 세포질 분열 : 핵 분열 말기에 일어난다.
      ㉠ 식물 세포 : 세포판 형성
          세포의 적도면에 세포판이 형성, 세포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세포벽이 만들어져서
          세포 질이 둘로 나누어진다
      ㉡ 동물 세포 : 세포질 만입(함입)
          세포질이 밖에서 안으로 점점 오므라들어 세포질이 둘로 나누어진다.




 (4) 체세포 분열의 특징
    ① 체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장소 : 식물(생장점, 형성층), 동물(온몸)
    ② 체세포 분열의 결과
      ㉠ 하나의 모세포로부터 2개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 딸세포의 염색체 수는 모세포의 염색체 수와 같다.
    ③ 체세포 분열의 의의 : 단세포 생물(생식), 다세포 생물(생장)
      ㉠ 단세포 생물 : 개체수가 늘어나므로 분열이 곧 생식이 된다.
      ㉡ 다세포 생물 : 세포의 수가 늘어나므로 생장하게 된다.
    ④ 체세포 분열의 특징 : 한 개의 모세포로부터 2개의 딸세포가 형성되며, 딸세포의 염색
        체 수는 모세포와 같다(2 →2 ).
 (5)체세포 분열과 생장
    ① 식물의 생장
        식물은 체세포 분열이 계속해서 일어나므로 일생 동안 자라게 되나,생장 부위는 정해져 있
        다.줄기나 뿌리의 끝, 형성층 등에서 세포 분열이 왕성하게 일어나 길이가 길어지고
        굵기가 굵어진다. 생장 정도는 온도나,수분, 빛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길이 생장
           뿌리, 줄기 끝의 생장점(분열 조직)에서 체세포 분열에 의해 길이가 자라는 것으로 생장점
           은 세포 분열이 왕성하게 일어나 세포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그 위쪽에는 분열된 세포가
           길게 생장하는 부위가 있다. 줄기나 뿌리의 끝 부분이 잘려나가면 생장점이 제거되므로 식
           물은 더 이상 자라지 못한다.
        ㉡ 부피 생장
           줄기나 뿌리에 있는 형성층(분열 조직)에서 체세포 분열에 의해 부피가 굵게 자라는 것이
           다. 형성층은 쌍떡잎식물에만 있어서 외떡잎식물은 부피 생장이 불가능하다.그래서 보리
           나 옥수수는 줄기가 가늘다.
           나이테는 식물이 환경 조건(기후, 수분, 온도)에 따라 생장 정도가 달라져서 나타나는 것
           으로 형성층이 있는 쌍떡잎식물과 겉씨식물에서만 나타난다.
           봄.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비도 자주 오므로 생장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이 좋아 이 때 생기
           는 세포는 크고 조직이 엉성하며 세포벽이 얇다. 나이테에서 밝은 부분이며 춘재라 한다.
           반면에 가을에는 기온이 낮고 비가 적게 오므로, 환경 조건이 좋지 못해 더디게 자라서 세
           포가 작고 조직이 치밀하며 세포벽이 두껍다 어두운 색을 띠며 추재라 한다. 겨울에는 잠
           시 생장이 멈추었다가 봄에 다시 생장이 시작되면 가을의 치밀한 조직과 새봄의 엉성한 조
           직이 또 다시 생긴다.이것이 1년을 단위로 계속해서 만들어져 구별되는데 이것이 나이테
           이다. 계절 변화가 없는 지역에는 나이테가 나타나지 않는다.
    ② 동물의 생장
           식물이 일생 동안 생장하는 반면에 동물은 일정 기간 생장하고 생장을 멈춘다. 어릴 때 생
           장이 느리다가 어느 시기가 되면 생장 속도가 빠르고 어느 정도 자라면 생장이 중지된다.
           (▶S자형 생장 곡선) 또 식물이 생장 부위가 정해져 있는 반면 동물은 몸 전체에서 체세포
           분열이 일어나므로 전체적으로 생장한다. 생장 속도와 시기는 몸의 부분에 따라 다르다.
           생장 중 변태나 탈피하는 동물도 있다.
        ㉠ 생장 곡선
           동물의 생장 과정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S자형 생장 곡선
           어릴 때 생장이 더디게 일어나다가 어느 시기가 되면 활발한 대사로 급속히 생장하고 안정
           기에 도달하면 노폐물 축적, 세포 물질의 대사 능력 감퇴로 인해 생장이 중지된다.
           ◆계단형 생장 곡선
           곤충류나 갑각류와 같이 생장 중 변태나 탈피를 하는 동물은 몸이 딱딱한 외골격으로 싸여
           있어서 탈피를 하는 시기에만 한꺼번에 자란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그러
           므로 생장 과정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계단형이 된다.


[동물의생장곡선]
        ㉡ 사람의 생장
           사람은 사춘기 때 생장 속도가 빠르고 20세까지 성장하다가 20대 이후가 되면 쇠퇴하기
           시작한다. 몸 전체에서 생장이 일어나지만 몸의 부분에 따라 생장 속도가 다르다. 이렇게
           몸의 각 부분이 몸 전체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성장하는 것을 상대 생장이라 한다.
           갓난 아기를 보면 몸에 비해 머리가 굉장히 크다. 태아 2개월 째는 머리가 몸의 1/2 정도나
           된다. 계속 그런 비율로 있으면 모두가 큰바위 얼굴이 되겠지만 실제 25세가 되면 1/7 1/8
           ( 8 등신) 정도가 된다. 자라는 동안 머리는 별로 자라지 않고 몸이 크게 생장하여 몸의 균
           형을 이룬다.
    ③ 동물과 식물의 생장 특징 비교
비교점
식물
동물
생장부위
일정한 부위)생장점, 현성층)에서 생장
몸 전체(모든 체세포)에서생장
생장기간
일생 동안 자란다.
어느정도 자라면 생장이 멈춘다.
생장특징
모든 부위의 생장 속도가 일정
S자형 생장 곡선(또는 계단형), 상대생장

2. 염색체
 (1) 염색체의 특징
    ① 염색체의 관찰 : 세포 분열 전기에 형성되며 중기에 가장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② 염색체의 구조
      · 염색체는 나선 모양의 염색사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기질로 되어 있으며, 염색사는
        DNA(유전자의 본체)와 단백질로 되어 있다.
      · 염색체는 종류에 따라 각각 정해진 부분에 동원체가 있는데, 이 부분은 잘록하게 보이
        며 세포 분열시 여기에 방추사가 붙는다.
      · 분열 중인 염색체는 두 가닥으로 갈라져 있고 동원체에서만 붙어 있는데, 이 각각의 가
        닥을 염색 분체라고 한다. 염색 분체는 DNA가 복제되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똑같은 유
        전 정보를 가지고 있다.
      · 2개의 염색 분체는 세포 분열 후기에 각각 나누어져 양극으로 이동한다.



    ③ 염색체의 모양과 수
      · 같은 종에 속하는 생물의 염색체 수와 모양은 같다.
      · 체세포의 염색체 수는 , 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는 으로 표시한다.
 (2) 염색체의 구분
    ① 상동 염색체 :
        체세포 속에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체가 2개씩 짝을 이루고 있는 것
      · 상동 염색체 중 하나는 아버지로부터, 다른 하나는 어머니로부터 받은 것이다.
      · 체세포의 염색체는 쌍의 상동 염색체로 되어 있으므로 체세포의 염색체 수는
        로 나타낸다.
        예) 사람 : 23쌍(= 46), 초파리 : = 8
    ② 상염색체와 성염색체
      · 상염색체(보통 염색체) : 성에 관계없이 암수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염색체
      -모양과 크기가 같으며 사람의 경우 상염색체는 남녀 모두 44개이다.
      · 성염색체 : 암수에 따라 모양이 서로 다른 염색체
      -암수의 성을 결정하는 데 관여한다.
      -사람의 경우 성염색체는 X염색체, Y염색체 두 가지가 있다.
        예) 사람 : XY(남자) , XX(여자)
      ·사람의 염색체 표현 : = 44 + XY(남자), = 44 + XX(여자)

3. 세포 주기
세포 분열의 시작에서 다음 세포 분열의 시작까지를 세포 주기 라고 한다. 세포 주기는 크게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분열기와 세포 분열을 준비하는 간기로 구분한다. 간기는 세포 주기 중 가장 시간이 길며, 이 시기에 단백질과 세포질이 증가되고, 유전 물질인 DNA가 복제되어 핵물질의 양이 2배로 증가한다.
세포 주기의 시간은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또 같은 세포라도 환경에 따라 다르다.




세포 분열  (2)
1. 감수 분열 과정
 (1) 제 1분열(이형 분열) :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① 전기
    · 핵막과 인이 사라지고, 염색사가 응축하여 염색체로 된다.
    · 상동 염색체는 서로 접합하여 2가 염색체(4분 염색체)를 형성한다.
    ② 중기
    · 2가 염색체가 적도면에 배열
    · 양극에서 방추사가 나와 각 염색체의 동원체에 연결된다.
    ③ 후기
    · 방추사에 의해 2가 염색체가 접합면에서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한다.
    ·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④ 말기
    · 양극으로 끌려온 염색체가 해체되지 않은 채, 핵막이 생기고 세포질이 갈라져 2개의 딸
     세포가 생기며, 곧이어 제 2분열이 일어난다.
 (2) 제 2분열(동형 분열) : 염색체 수에는 변화가 없다. ()
    · 제 1분열을 마친 세포는 간기 없이 바로 제 2분열을 시작한다.
    · 제 2분열은 체세포 분열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① 전기
    · 방추사가 형성되고 핵막이 다시 사라지며, 염색체는 2개의 염색 분체가 붙어 있는 상태
      이다.
    · 일반적으로 전기가 생략된 채 바로 중기로 이어진다.
    ② 중기
    · 염색체가 적도면에 배열하고, 방추사가 염색체의 동원체에 연결된다.
    ③ 후기
    ·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방추사에 의하여 양극으로 이동한다.
    ④ 말기
    · 염색체가 염색사로 되면서 핵막과 인이 나타나 딸핵이 형성된다.
    ·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 4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2. 감수 분열(생식 세포 분열)의 특징
· 생식 기관에서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때, 염색체 수가 체세포의 반으로 줄어드는 세포 분열
 (1) 감수 분열의 결과 : 생식 세포 형성(동물-정자, 난자/식물-화분, 난세포)
    ① 세포가 연속해서 2회 분열하여 4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②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딸세포의 염색체 수는 체세포의 이 된다.)
 (2) 감수 분열의 장소 : 생식 기관
    ① 동물 - 정소, 난소
    ② 식물 - 꽃밥, 밑씨
 (3) 감수 분열의 중요성(감수 분열의 의의)
    · 생물은 감수 분열에 의하여, 대를 거듭해도 염색체 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3.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의 비교
구 분
체세포 분열
감수 분열
분열 장소
체세포
식물-생장점, 형성층
동물-온몸
생식 기관
식물-꽃밥, 밑씨
동물-정소, 난소
분열 시기
체세포 형성시
생식 세포 형성시
분열 횟수
1회
 
 
2회
제1분열-이형 분열()
제2분열-동형 분열( )
염색체 수

딸세포 수
2개
4개
분열 결과
단세포 생물 - 생식
다세포 생물 - 생장
 
생식 세포 생성
식물-화분, 난세포
동물-정자, 난자



염색체
1. 염색체의 모양
염색체의 모양은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동원체의 위치에 따라 L형, V형, J형, I형 등으로 구분한다.




2. 초파리의 염색체
초파리는 모두 8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데, 6개는 상염색체이고 2개는 성염색체이다. 초파리의 성염색체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암컷은 XX, 수컷은 XY이다.


 

원하는 내용이 아니시라면 http://middle.edupia.com/schoolbook/seb/sub.asp?nYear=9&SzCode=SC&nTerm=2&strMenuCode=TCBAAAAAAD 여기 이용해보세요

 

과학 뿐만아니라 도덕 등등 다 있어요 ... 당연히 요약 되어있죠 ...

 

답변확정 부탁드려요

중3 과학 세포분열에 관해 질문입니다.

... 질문2)그렇게 되면 생식세포분열할때는 유전물질이 복제되지 않고 그냥 상동염색체가 접합해서 나눠지기 때문에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건가요? 제 말 이해하실...

중3 과학 생식세포 분열 질문

... 저는 감수 1로 추정하는데(감수 1은 염색체가 반감 하니까) 그럼 수박의 생식세포 분열 시 감수 1을 건너 뛰고 바로 감수 2로 가서 염색 분체끼리 분리하는 건 . 가요? 4....

급해여!!!중3과학 세포분열 질문

... 세포분열이 시작될때는 핵막이 사라지고 염색체만잇어서 이걸 핵이라고 보지 않는건가요?? 궁금합니다!!! 핵막이 곧 핵입니다. 핵이라는 공간을 정의하는 막이 핵막이기...

중3과학 생식세포분열

중3 과학 생신세포분열 (감수분열)질문이영 두문제 다 정답과 자세한 풀이 부탁드려요 ㅠㅠㅠ이해가 안 되ㅐ려ㅠㅠ 2번은 5번인데 감수분열 의의는 걍 외워야해요 염색체수...

중3 과학 세포분열

... 질문 전부 제대로 대답해주셔야 채택합니다. 감사합니다. 1. 생식세포 분열의 감수 1분열 과정 중 dna 양의 변화는 어느 단계를 기준으로 봐야 하나요?(첫번째 사진 보라색...

중3 과학 세포분열 염색체 질문

중3과학 질문 풀이 해주세요 ㄱ. 참 염색체는 DNA와 단백질로 구성됩니다. ㄴ. 거짓 생식세포의 경우 체세포의... 참 염색체는 세포분열하는 분열기에만 나타납니다.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