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곤충)도 뇌가 있나요?

벌레(곤충)도 뇌가 있나요?

작성일 2003.05.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있습니다.

개미 벌 파리 모기 등...

곤충들은 뇌가 있습니다.

개미 같은 경우는 오래전부터 훌륭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 했지요.

벌도 무리지어 집단 생활을 하고요.


동물 도감을 보시면 알겠지만....

곤충도 뇌가 있습니다.
.
.
.
.
.

물론 세상에 뇌 없는 벌레도 있지요.
무뇌충이라고...
뷁쀍~~ 소리내어 우는 버러지 입니다.

빠순이 들이 주로 사육한다고 하죠...

세스코에서도 절대 박멸 못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뇌는 없는 걸루 알고요 무슨 자율 신경에 무슨 신경계 어쩌구 저쩌구 해서 삽니다 ㅡㅡ;
흔히 할 수 있는 실험이 사마귀 같은 거 잡아다 머리 뜯어보세요. 잘만 돌아다닙니다. 결국 아무것도 못먹어 죽지만요. 걍 감각으로 돌아다니는 걸루 압니다.


허접 답변 죄송


밑에꺼는 사전에서 나온거구요.

곤충의 신경계의 경우 몸의 배 근처에는 앞뒤로 일련의 신경절이 있는데 1쌍의 평행한 신경색(神經索)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신경절에서 몸의 각부에 신경섬유가 뻗어 있다. 신경절은 고등곤충에서는 집중적으로 되어 머리와 가슴부에 한하지만, 하등곤충에서는 사다리꼴로 각 몸마디에 있다. 뇌는 이 중추신경의 앞끝, 식도의 위에 있고 3쌍의 신경절의 집합으로 구성되었으며, 식도하의 신경절과 함께 머리부의 신경중심을 이루어 전체의 조절중추가 되고 있다.

곤충이 주위의 자극과 상황에 반응하는 것은 감각기가 존재하기 때문인데 감각에는 촉각 ·청각 ·후각 ·시각 등의 구별이 있다. 감각모 등의 촉각기는 몸 표면에 널려 있고, 기타는 특정부에서 볼 수 있는데, 더듬이 또는 입술수염에는 후각기가 발달되었으며, 표면에 있는 많은 구멍 밑에 감각세포가 있다. 이것은 먹이의 냄새뿐만 아니라 특수한 물질에 특히 예민하다.

근년에 몇 종의 곤충의 행동이 자신들이 내는 냄새에 의해 규제되고 있음이 알려졌다. 이것들은 페로몬(pheromone)이라 불리는 물질로, 수나방을 유인하는 암컷의 성물질(性物質), 왕바퀴의 직장에서 나오는 집합물질 등이 있고, 사회성 곤충의 집단생활에서 먹이를 발견한 개미의 족적물질(足跡物質), 위험을 알리는 경보물질, 일벌의 성소(性巢) 발육을 억제하는 여왕물질 등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미각은 입틀에서 감지되는 경우가 많으나, 개미 ·꿀벌 등은 더듬이 끝에, 네발나비 ·흰나비 ·꿀벌 등은 다리의 발목마디와 종아리마디에 미각기가 있다. 모기도 민물과 짠물을 발목마디로 식별할 수 있다고 한다.

청각기는 그다지 일반적이 못되지만, 소리를 내는 곤충인 귀뚜라미나 여치 등은 앞다리의 종아리마디에 고막이 있고, 메뚜기 ·자나방은 복부 제1배마디의 양쪽에, 하늘나방 ·독나방 ·밤나방은 뒷가슴 양쪽에 고막이 있다. 또 매미는 제2배마디의 발음기의 복판(腹瓣) 뒷면에 고막이 있다. 이러한 고막의 안쪽에는 현음(弦音) 진동감각기가 있어서 고막과 공명막(共鳴膜)이 증폭한 소리를 받는다.

시각이 발달되어 있는 것은 잠자리 ·벌 ·파리 등이다. 겹눈은 다수의 낱눈이 모여서 되었는데, 낱눈은 가늘고 길쭉한 원뿔형이어서 곤충이 보는 상(像)은 각 낱눈에 비쳐진 것의 집합상이다. 따라서 뉴스전광판처럼, 사물의 형태를 정확하게 지각하지는 못하지만 움직임은 잘 알 수 있다.

꿀벌이 지각하는 색깔은, 적색이 보이지 않고 반대로 자외선을 볼 수 있고 황색 ·청록색 ·청색을 구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비만은 적색이 보인다고 한다. 꿀벌은 먹이를 발견하고 집에 돌아오면 특유한 반원형 춤을 추는데, 이 때의 돌진부(突進部)의 방향이 먹이가 있는 방향을 가리킨다. 이것은 꿀벌의 낱눈세포가 편광판(偏光板)의 작용을 하여 명암이 생기게 하는 까닭이며, 나비가 일정한 행로를 날아가는 것도 편광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한다.

벌레(곤충)도 뇌가 있나요?

벌레(곤충)도 뇌가 있나요? 뇌는 없는 걸루 알고요 무슨 자율 신경에 무슨 신경계 어쩌구 저쩌구 해서 삽니다 ㅡㅡ; 흔히 할 수 있는 실험이 사마귀 같은 거 잡아다 머리...

곤충이나 벌레뇌가있나요?

제친구랑 벌레곤충뇌가 있다없다로 이야기중인데요 도무지 확신이 안가네요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있습니다. 작아서 관찰하긴 힘들지만 확실히 있어요 피도 있어요...

벌레뇌가 있나요?

... 보면서 벌레에게도 뇌가 있는지 궁금해지게 되었습니다 만약에 뇌가 있다면 중뇌까지 있는지 궁금합니다. 중뇌는 포유류와 영장류에게만 있는걸로 알고 있어서요 곤충에게...

벌레뇌가 있나요?

... 곤충에게도 뇌와 장기는 있습니다. 딱정벌레를 예로 들자면, 위서부터 식도, 앞창자, 가운데창자, 말피기관, 뒷창자, 직장 이있고 몸의 테두리 부분에 기관 과 기 문이...

곤충뇌가 있나요?

... 궁금하네요 곤충에게도 뇌와 장기는 있습니다. 딱정벌레를 예로 들자면, 위서부터 식도, 앞창자, 가운데창자, 말피기관, 뒷창자, 직장 이있고 몸의 테두리 부분에 기관 과 기...

벌레뇌가 있나요?

벌레에는 뇌가 있나요? 있습니다. 벌레가 뭘 뜻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곤충(개미나 메뚜기 같은..)을 생각하면 있습니다. 우리가 뇌라고 부르는 기관은 환형동물부터 형성됩니다....

있다면 유뇌충도 있나요? 뇌가 있는 벌레

곤충을 무뇌충이라고 하잖아요 그럼 유뇌충도 있나요? 뇌가 있는 곤충... 있다면... 무뇌충은 말그대로 뇌가 없는 벌레를 뜻하는겁니다. 이뜻 또한 가수 문희준씨를 비하할...

벌레 벼록 !!-내공 마니 검

... 벼룩도 뇌가 있나요? 2. 있다면 크기는? 3.없다면 왜 없죠? 4. (꼭안해도 됨) 벼룩의... 모든 곤충뇌가 있습니다. 벼룩도 곤충강 벼룩목 이기때문에 뇌가 존재하죠.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