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1 방어작용 질문

생명과학1 방어작용 질문

작성일 2024.04.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항원항체 특이성은 1:1로 반응한다고 배웠어요 그런데 항원 결정소는 한가지 모양이 아니라 여러 모양이 있다고도 했어요

그러면 그 항원을 무력화시키려면 항체는 여러가지 모양의 결합 부가 필요하니 1:1이 깨진 것 아닌가요?


#생명과학1 방어작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항원 결정부, 전문용어로 에피토프 (epitope)이라고 하죠.

'하나의 항체는 하나의 epitope에 특이적으로 반응합니다.'라고는 하지만 사실 어느정도 유사하면 전부 반응을 하긴 합니다.

이것이 IgM면 조금 심하고, IgG로 갈수록 특이적이게 되죠.

때문에 AED라는 반응이 있는데, 항체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력이 오히려 강화되는 그런 반응도 실제로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쉽게 말해 세균에는 많은 표면 단백질이 있죠? 거기에 무수한 항원결정기가 있을 거고,

우리 몸에는 그 많은 결정기에 대응하는 항체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B 세포 종류가 있습니다.

감염이 되면 그런 B 세포가 선택되여 분화되고 항체를 만들죠.

정리하자면 하나의 항원이 오면 하나의 B 세포가 반응하는 게 아니라 여러 종류가 반응한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순식간에 많은 종류의 항체가 만들어져서 무력화를 시키는 거에요.

추가적으로

항체는 전부 똑같은 항체지만, 중화항체라고 불리는 칭구가 있습니다.

중화항체는 항원을 중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항체인데, 특별한 건 아니고

항원에게 있어서 가장 감염에 핵심이 되는 epitope에 대한 항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백신 스터디를 할 때 이 중화항체가 만들어지는 항원결정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명과학1 방어작용 질문

비특이적 방어작용 중 식세포작용이 특이적 방어작용과 이어지잖아요 식세포 작용으로도 안없어진 항원들을 없애기 위해 특이적 방어작용으로 이어지는게 맞나요?? 식세포...

생명과학1 방어작용 질문

...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항원 결정부, 전문용어로 에피토프 (epitope)이라고 하죠. '하나의 항체는 하나의 epitope에 특이적으로 반응합니다.'라고는 하지만 사실 어느정도...

생명과학1 방어작용

... 답지가 없어서 질문 올려봅니다 도와주세요 (가)가 대식세포 결핍이고요. 대식세포가... 즉, 대식세포가 없으면 보조 T림프구의 작용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나)는 보조...

생명과학1 방어작용 질문이요.

방어작용에서 항원이 몸에 2차로 침입을 하면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날 때 비특이적 방어작용이 일어나지 않고 바로 특이적 방어작용이 일어나나요?? 아니요! 항원이 몸에...

생명과학1 수능특강 방어 작용 단원 질문

... 해설강의에서 기억세포가 한 번 있으면 앞에 과정 건너뛰고 시작한다고 들어서요 대식세포 식세포 작용만 비특이적 방어작용 아닌가요? 생명과학1 수능특강의 방어 작용...

생명과학1 방어작용 질문

여기서 ㄴ이 잘 이해가 안가는데 식균작용은 항원이 사라질때까지 계속 하는건가요?... 하지만 방어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사람이 감염에 취약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