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 배지 미생물 배양 후 용량 변화

액체 배지 미생물 배양 후 용량 변화

작성일 2022.03.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대장균 하나를 백금이로 취해서 액체 배지에 접종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요
shaking incubator에 배양한 후 결과, 인큐베이터에 넣기 전보다 후에 시험관 속 전체 용량이 줄어든 거 같은데 이와 관련된 원리나 이유가 뭔가요?


#액체 배지 #액체 배지 배양 방법 #액체 배지 만들기 #액체 배지 희석법 #액체 배지 종류 #액체 배지 고체 배지 차이 #액체 배지 특징 #액체 배지 배양법 #액체 배지를 기울여서 배양하는 이유 #액체 배지 배양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용하신 Shaking incubator가 Environmental shaking incubator 일까요?

Shaking water bath가 아닌 공기로 온도조절하는 기기를 사용하신걸까요?

배양 시간은 그냥 흔한 overnight culture인가요?

정확한 답변이 되지 않을 것 같은데요..

그저 제 생각으로는

배양시 호기 조건을 위해 배양용기가 완전히 막히지 않은 상태인 것이 어느정도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

공기로 온도조절하는 기기를 사용하셨다면, 배양용기(아마도 플라스크)내부는 배양액과 균주가 들어있으며

몇 rpm으로 설정하셨을지는 모르겠으나 배양용기가 계속 돌면서 내부 배양액은 분자운동이 계속 이어지게 되고

배양용기의 바깥에 해당하는 incubator 내부는 습한 환경이 아니므로 배양 용기 내의 물분자가 조금씩 증발했을 것 같습니다.

또한, 37℃ 근처로 설정하셨을텐데,

저는 shaking incubator 대신 shaking water bath를 사용합니다. 37℃로 overnight culture를 진행할 경우

아침에 가서 열어보면 뚜껑 안쪽에 상당히 물방울이 많이 맺혀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그래서 그냥 아예 뚜껑을 열어둡니다. water bath라서 물 온도가 유지되면 충분한거라..

아마 37℃ 만으로도 액체가 증발하는데에 충분히 도움되는 것 같습니다.

결론은.. 제 생각일 뿐이지만,

습도, 회전에 의한 분자운동, 온도 등 환경 조건에 의한 수분 증발이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액체 배지배양

미생물 관련 실헝을 해보고픈 고등학생인데요, 이번에 액체 LB배지를 구입해서 대장균을 배양해보려 합니다. 제가... 주변에서 직접 채취 분리해냈을 수도 있고, 특정...

미생물 배양

... 배양 접시의 콜로니 수 - 고체 배지배양 콜로니의 수를 세어 샘플 내 미생물 농도 측정 가능합니다. 2. 액체 배양의 탁도 측정 - 분광광도계를 사용해 광밀도를...

LB배지 배양 방법 (내공 1000)

LB 고체 한천배지를 구매했는데요,, 구강 내 미생물 배양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구강 가글 용액을 배지에... 도포 시 너무 많은 양을 부은것이 아니라면 배지액체를 잘...

미생물배양배지

... 가장 많은 미생물배양할수 있는 배지좀 추천해 주세요. 그리고 한천으로 만드는... yeast extract내에는 대부분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argar를 이용해서 액체 배지를...

미생물배양배지

... 가장 많은 미생물배양할수 있는 배지좀 추천해 주세요. 그리고 한천으로... yeast extract내에는 대부분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argar를 이용해서 액체 배지를 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