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1 탈분극 막전위 관련 질문

생명과학 1 탈분극 막전위 관련 질문

작성일 2021.05.2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탈분극 때 막전위가 +35mV 정도까지 치솟는다고 하던데 이해가 잘 안 갑니다
탈분극 때 Na+ 이 좀 들어온다고 해도 바깥의 Na+ 농도가 더 높은 데다가 세포막 내부에 (-) 전하를 띠는 단백질도 계속 있는데 어떻게 막전위 값이 +가 될 수 있나요?
-70에서 -10 이런 식이라면 나트륨이 들어왔으니 그렇겠지, 할텐데
그게 +까지 오른다는 게 이해가 잘 안됩니다..ㅠㅜ


#생명과학 1 #생명과학 1 교과서 #생명과학 1 목차 #생명과학 1타 #생명과학 1 2 차이 #생명과학 1타 오르비 #생명과학 1 문제집 #생명과학 1 수능특강 pdf #생명과학 1등급 만들기 답지 #생명과학 1등급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평형 전위란 전기화학적 평형 상태일 때 세포막에 걸쳐 발생되는 전위를 의미합니다. 세포가 안정 막전위를 유지할 때 보통 Na+ 이온은 세포 밖과 세포 안에 약 10:1의 비율로 존재하며, 그 농도는 각각 세포 밖에서 145 mM, 세포 안에서 5~15 mM입니다. 이 농도에 의한 Na​+ 이온의 평형 전위 ENa는 37℃에서 61 mV입니다. 한편, 안정 막전위에서 K+ 이온은 세포 밖과 세포 안에 1:28의 비율로 존재하며, 그 농도는 각각 세포 밖에서 5 mM, 세포 안에서 140 mM입니다. 이 농도에 의한 K+ 이온의 평형 전위 EK는 37℃에서 −89 mV입니다.

전체적인 막전위는 이런 평형 전위뿐만 아니라 이온들의 세포막 투과성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결정되며, 막전위는 세포막 투과성이 큰 이온의 평형 전위와 가까운 값을 가지게 됩니다. 세포막은 K+ 누설 통로에 의해 K+ 이온에 대한 세포막의 투과성이 Na+ 이온의 투과성보다 훨씬 높습니다. 따라서 세포의 안정막 전위는 K+의 평형 전위(−89 mV)와 가까운 −70 mV를 유지합니다. 세포의 막전위는 아래와 같은 골드만 방정식을 이용해 구할 수 있으며, 이때 EM은 막전위,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 온도, F는 패러데이 상수, P는 이온의 상대적인 투과성, 대괄호는 이온의 몰 농도입니다.

한편, 활동 전위가 발생하면 탈분극 때 Na+ 이온이 전압 개폐성 Na+ 통로를 이용해 세포 내부로 전기화학적 기울기에 의해 빠르게 확산해 들어옵니다. 이때 순간적으로 Na+ 이온에 대한 세포막 투과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막전위는 Na+의 평형 전위(+61 mV)와 가까워지도록 약 +35 mV까지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세포막 내부의 Na+ 이온 농도도 약간 증가합니다. 그러나 전압 개폐성 Na+ 통로는 한 번 열린 이후 빠르게 닫히기 때문에 막전위는 Na+의 평형 전위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35 mV 부근에서 최댓값을 찍은 뒤 다시 하락하게 됩니다. 이때 세포 밖과 안에서 10:1의 농도 비율을 유지하던 Na+가 세포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국소적으로 세포 내부의 Na+의 농도가 조금 높아질 수 있지만, 빠르게 닫히는 Na+ 통로와 세포 내부로 들어온 뒤 빠르게 주변으로 확산하는 Na+ 때문에 Na+ 농도는 여전히 세포 밖이 높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냥 상댓값입니다 예를 들면 +35라면 밖보다 안이 35만 큼 더 +35라는 뜻이죠

생명과학1 막전위 자극지점 관련 질문

... d2 막전위도 -70이잖아요 근데 어떻게 4ms 지난 후 B의 d1 막전위도 -70이죠???? b의 d1까지 도달하는 시간 2/3초 총 시간 4초 4초-2/3초=10/3초인데 막전위 그래프를...

생명과학1 이온의 이동과 막전위 변화

K+-Na+펌프는 항상 열려있는데 그럼 탈분극,재분극 등이... 크게 관련 없습니다 휴지막전위(안정막전위)는... 돌아가는걸 말하는거에용 궁금한점 있으면 추가질문해주세요

생명과학1 질문이요!!

흥분의 전도 과정이 분극-탈분극-재분극-분극•••이잖아요 그럼 막전위도 -70mv +30mv -80mv -70mv•••이 순서 아닌가요..?왜 자극이 Q부터 시작하는 건가요..? 자세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