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특강 생명과학1 흥분의 전도

수능특강 생명과학1 흥분의 전도

작성일 2016.10.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해설지에는 세포 외액의 K+ 감소가 세포 안과 밖의 농도 차를 증가 시켜(이까지는 이해 됩니다.) 휴지 전위를 낮추어 (가)와 같은 그래프가 나온다는데, 농도 차가 많이 나면 세포막 바깥쪽은 훨씬 +를 띠고 안쪽은 훨씬 -를 띠게 되어 휴지 전위가 증가하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저희 학교에서 물리1을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화,생,지 과목을 하다보니 제가 '전위'와 '전위차'라는 것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전위의 개념을 휴지전위와 연관지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능특강 생명과학1 pdf #수능특강 생명과학1 #수능특강 생명과학1 답지 #수능특강 생명과학1 pdf 2025 #수능특강 생명과학1 오류 #수능특강 생명과학1 2025 pdf #수능특강 생명과학1 2025 #수능특강 생명과학1 답지 2025 #수능특강 생명과학1 목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반적으로 세포 외액에 K+이 5개가 존재하면 세포 내액에는 150개가 존재합니다.

또한 K+의 막을 통한 투과성은 Na+에 비해서 훨씬 좋습니다.농도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막을 통해서는 세포 내액의 K+이 세포 외액으로 나가고자 합니다.

그러나 만약 세포 외액에 K+이 줄어들게 되어 1~2개가 존재하게 된다면

세포 내액과의 농도 차이가 더 커지게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세포 내액의 K+이 세포 외액으로 나가고자 하는 힘이 더 커지겠지요.

따라서 K+의 방출이 정상인보다 많아져 내부의 K+이 감소하게 되어

세포 내부가 과분극이 일어날때처럼 휴지막 전위가 감소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세포 외액에 K+이 늘어나게 되어 8~9개가 존재하게 된다면세포 내액과의

농도 차이가 줄어들게 됩니다.그렇게 된다면 세포 내액의 K+이 세포 외액으로 나가고자

하는 힘이 줄어들어 K+의 방출이 정상인보다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세포 내부의 K+이 많아지게 되어 휴지막 전위가 증가하게 됩니다.

수능특강 생명과학1 흥분의 전도

... 그러나 만약 세포 외액에 K+이 줄어들게 되어 1~2개가 존재하게 된다면 세포 내액과의 농도 차이가 더 커지게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세포 내액의 K+이 세포 외액으로...

수능특강 생명과학1 질문

흥분 전도 속도가 2cm/ms 인 신경에서 d1에 역치 이상의 자극을 주고 4ms가 경과되었을 때 d2에서mV인 이유를 모르겠어요.. 어떻게 해서 나온 결과인지 과정 자세히...

2025수능특강 생명과학1 pdf로 구할 수...

급해요ㅠㅠㅠ 생명과학1pdf파일 구할 수 있는 방법 없나요? EBSi 홈페이지를 통해 전용리더기 설치하시면 수능특강 pdf파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아래 블로그...

생명과학1 흥분전도

... 이동 시간 1ms 만에 간 거니까 B의 속도는 8cm/ms가 됩니다. 따라서 답은 B의 흥분 전도 속도가 A보다 더 빠르다가 되며, 흥분 전도 속도는 A: 4cm/ms B: 8cm/ms 가 됩니다.

생명과학 1 흥분 전도전달

... 네, 생명과학에서 흥분의 전달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화학적인 신호 역시 흥분 전달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신경 세포 간의 화학적 시그널링...

생명과학 1 흥분의 전도

Na+ 농도는 세포밖이 안보다 항상 더 높다고 하는데 탈분극일 때는 Na+ 이온이 밖에서 안으로 유입돼서 세포밖은 (-) 전하를 띠잖아요... 그럼 탈분극일 때는 더 낮거나...

수능특강 2025 생명과학1 pdf

... 저희 학교 생명과학 내신이 어렵다고 들어서 수특 여러번 풀어보려고 pdf파일을 찾는데 없더라고요ㅠ 생명과학1 수특 pdf 주실 분 계신가요ㅠ https://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