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장내 CO2 분압이 떨어질경우

혈장내 CO2 분압이 떨어질경우

작성일 2014.02.2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혈장내 co2 분압이 떨어지면 적혈구에서는 H2CO3가 CO2와 H2O로 분해되는 반응이 일어나고 조직에서는 반대방향으로 일어난다 라고 되어있는데 조직에서는 왜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나요?
캠벨책읽으면서 순환계 공부하는데 이해가 안되네요..혹시 몰라서 그림첨부해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에 과정은 적혈구가 CO2를 운반하여 폐를 통해 배출하는는 과정인듯하네요

 

조직세포에서 생긴 노폐물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폐를 통해서 밖으로 내보는 과정입니다.

 

그림 밑에 폐로 이동이라는 글씨가 있지요?

 

요약하자면

 

혈장(즉 혈액)의 CO2분압이 떨어졌다는 것은 산소 분압이 높아졌다는 뜻으로

 

폐로 CO2를 내보낸 직후라고 할수 있습니다.

 

우리몸은 균형을 좋아 하므로 이산화탄소와 산소 분압의 균형을 맞추기위해

 

조직에쌓인 CO2를 가져와 이 분압차를 메꾸려할겁니다. 

(위의 그림의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라고 할수있지요)

 

조직세포의 CO2가 적혈구의 탄산 무수화효소에 의해

 

위 과정이(기체교환 적혈구내에서 넘치는 산소를 공급해주고 조직에서 이산화 탄소를 받아오는 과정)

일어 납니다.

 

그리고 적혈구가 폐포까지 이동한 후 조직에서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 다시 CO2가 되어

 

날숨으로 CO2가 배출되는 겁니다.

 

그리고 다시 산소를 받아오는것 으로 이 반복의 과정이 호흡입니다.  

 

즉 CO2를 폐로보내 내보내기 위해 역(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겁니다.^^

 

 

내용 보충했습니다 설명이 부족했던것 같네요 ㅠㅜ

 

 

 

 

제가 전문가가 아닌 학생이다보니 잘못된점이 있을수 있습니다.

열심히 적었으나 실수한 점이 있다면 지적해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 생각으로는.. 다른분의 답변도 틀린것은 아닙니다만 조금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혈장을 크게 2개로 나눠보죠. 폐포 근처의 혈관에 있는 혈장과 조직세포 근처에 있는 모세혈관의 혈장으로요.

 

co2는 우리몸에 노폐물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체내에서 어느정도의 분압을 유지해줘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co2자체가 물에 녹는다면 h2co3가 되어 h+이온이 1개 떨어지는데요 이 h+이온에 의해서 혈액의 pH가 조절이 되기 때문이죠. 물론 co2와 h2o의 반응이 매우 잘 일어나는 반응이 아닌, 헤모글로빈 내의 효소에 의해서 촉매되는 반응이 많다는게 조건이긴 하지만요.

 

즉, o2는 세포호흡의 재료이니 무조건 많이 필요하고, co2는 노폐물이니 무조건 없어여한다가 아니라, 산소와 이산화탄소 모두 적정선의 분압을 유지하는게 가장 좋은상태가 된다는겁니다.

 

이런측면에서 보면 폐포 근처의 혈장에서는 co2가 빠져나가는 작용이 활발하겠죠? 그렇다면 일정부분 혈장에서 co2를 다시 내보내줘야 일정한 분압이 유지될 겁니다. 그러면 어떻게 할까요? h2co3를 h2o와 co2로 분해하지않을까요?

 

마찬가지로 조직세포 근처에서의 혈장은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co2가 방출이 되고 있으므로, co2를 일정부분 소모해 줄 필요가 있겠죠. 그래서 h2o와의 반응을 효소가 촉매해 h2co3로 합성을 한 후 이것이 h+ 이온과 hco3-이온으로 되는겁니다.

 

제가 말한대로 생각을 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왜 굳이 co2의 분압을 언급을 했는지는 잘모르겠네요.. 이부분을 이해시키는데 있어서 각 기체별 분압을 언급을 하면 더 복잡해지기만 할텐데요.. 캠벨 생명과학에 저런내용이 있었나....??;;

혈장내 CO2 분압이 떨어질경우

혈장내 co2 분압이 떨어지면 적혈구에서는 H2CO3가 CO2와 H2O로 분해되는 반응이 일어나고 조직에서는 반대방향으로 일어난다 라고 되어있는데 조직에서는 왜 반대방향으로...

체내에 co2가 증가하면 어떻게 되나요?

... 존재하고 혈장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반응은... 경우고. 어떤 사람이 폐질환으로 CO2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결과적으로 동맥 내 CO2 분압이...

적혈구와 혈장 그리고 이산화탄소 운반

... 나와 혈장에의해 운반되어 다시 적혈구로 들어가... CO2 + H2O ↔ H+ + HCO3- 물에 잘 녹지 않으니 이 경우는 빼고, 적혈구 탄산무수화효소를 거치면 H+가 많아지니...

Co2란 무엇인가! 그것이 궁금하다

... 분압이 1atm일 때, 1부피의 물에 녹는 이산화 탄소의 상대적인... 접해있을 경우의 pH는 3.7이다. 고압의 조건에서 포화 수용액을 냉각하면 수화물 CO2·8 H2O가 생성된다....

생물I에 관한 내용 질문이요 ^^

... 그 '기체 분압'의 범주에 헤모글로빈과 결합되어 있는 O2나 CO2의 기체들도 포함이... 같은 경우에는 혈장 내 이산화탄소 분압이 감소할 경우 평형을 이루기 위해 즉시...

산소운반에 관한 질문있습니다.

... 첫째 질문,,, CO2분압이 높은 경우 산소의 해리가 일어나는 것은 헤모글로빈에... 또한 우리의 혈장(액체)속에 O2나 CO2가(기체) 용해되는 것에도 온도가 영향을...

고등학교 생물 수행평가좀 도와주세요...

... ( )-혈압 조절 혈압이 감소했을 경우 부신 피질에서... (반대 ),CO2분압( 반대),pH( 반대),온도 ( 반대) 6.이산화탄소의 운반 주로 ( 혈장 )과 ( 적혈구 )에 의해 운반된다....

생물1 질문 입니다

... 산소의 분압이 외부산소의 분압보다 낮은 이유를... 이외 pH가 낮거나 온도가 높은 경우에 산소는 잘 떨어져... 감소되고 혈장은 산성이 되겠죠? 따라서 CO2는 적혈구 속의...

산소해리곡선에 대한 발표를 해야합니다.

... 낮아지고(CO2분압은 높아지고) 때문에 Hb는 CO2와... 즉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4개의 산소분자중(100%일경우)... 참고로 온도는 우리의 혈장(액체)속에 O2나 CO2가(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