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생물,유전자변형식품

유전자변형생물,유전자변형식품

작성일 2010.04.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유전자변형생물과 유전변형식품이

사회적으로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고있는데 어째서 문제가 되는지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GMO와 관련하여 일반인들이 가장 우려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는 바로 식품 분야입니다. 식품 자체 혹은 그 소재로 사용되는 GM작물은 특정 생물체에서 추출한 유용한 형질의 유전자를 작물에 도입하여 이를 재배함으로써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개발과정을 놓고 일부 과학자들은 “종을 넘나드는 유전자변형의 과정에서 유전자 간의 예측 불가능한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아래 표와 같은 우려와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편의 과학자들은 “제기되고 있는 우려사항들을 반영하여 GM작물, 그리고 GM식품에 대한 안전성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GM식품은 안전하다”며, 다음 표와 같은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우려의 근거

안전성의 근거

섭취한 유전자들이 장내에서 항상 분해․소화되는 것이 아니며, 소화되지 못하고 남아 있는 유전자가 장내 박테리아에 전이되어 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미 우리는 기존 식품을 통해서 생물체의 DNA, 항생물질 유전자,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류 등을 섭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위장과 소장을 거치는 과정 중 duj 효소에 의해서 거의 대부분 분해되며, GM작물이나 GM식품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식물과 미생물 유전자 간의 대사 매커니즘이 서로 다르므로 식물의 유전자가 장내 미생물에 이전되어 발현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도입하고자 하는 유전자가 식물체(혹은 숙주)의 어느 부위에 삽입되고 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식물대사에 영향을 미쳐 독성이나 알레르기 등이 생성될 개연성을 부정할 수 없다.

GM식품은 오랜 식경험을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 기존 식품의 주요 영양성분의 차이나 독성 및 알레르기 유발성 등을 섭취형태(가공조리 등) 및 예상 섭취량 토대로 평가하므로 일반식품과 같은 수준의 안전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국제적인 GMO의 안전관리와 위해성평가 수행을 법적으로 규정한 ‘바이오안전성의정서’는 2003년부터 발효되었다. 즉, 그전에 상업화된 LMO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평가 체계를 통과한 것이므로 재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안전성평가는 자체 실험이 아닌 개발사가 제출한 안전성 실험 자료를 검토하는 수준으로 이루어지므로 불충분하다.

각 국가의 규제기관에서는 자료가 신뢰성이 있는지, 과학적으로 타당한지를 제출자료와 다른 관련 논문 결과를 고려하여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출자료의 검토를 통해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식은 LMO뿐만 아니라 의약품이나 농약 등의 안전성평가와 마찬가지이다.



 

인체위해성에 관한 과학자 간의 의견 차이와 상이한 연구결과가 일반 대중에게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인체위해성과 관련된 각 연구들이 말하는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곤란하지만, 비판이나 반박이 제기된 논문이라 하여 그 논문이나 연구의 의의를 무가치화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것입니다.

 

이외에도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포탈사이트(www.biosafety.or.kr)의 발간자료에 있는 BIOSAFETY Vol.10 No.4 - LMO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평가를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http://www.biosafety.or.kr/bbs/mboard.asp?exec=view&strBoardID=bsn_006&intPage=1&intCategory=0&strSearchCategory=|s_name|s_subject|&strSearchWord=&intSeq=51145

 

1. 인체위해성☞ http://www.biosafety.or.kr/LIB_DATA/biosafety/2009(vol.10)/No.4/2-2.pdf

 

2. 환경위해성☞ http://www.biosafety.or.kr/LIB_DATA/biosafety/2009(vol.10)/No.4/2-3.pdf

 

3. 안전관리☞ http://www.biosafety.or.kr/LIB_DATA/biosafety/2009(vol.10)/No.4/2-4.pdf

 

유전자변형생물,유전자변형식품

유전자변형생물과 유전변형식품이 사회적으로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고있는데 어째서 문제가 되는지좀 알려주세요 GMO와 관련하여 일반인들이 가장 우려하고...

최초의 유전자변형 식품이 뭔가요?

최초의 유전자변형 식품 알려주세요 급해요 ㅠ 안녕하세요. 네이버 지식iN 질환영양 전문 상담영양사 문미란입니다 최초의 유전자변형 식품은 1990년대에 개발되는데요...

유전자 변형 식품은 생명? 화학?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해 찬반 주장을 만드려고 하는데요, 그 전에 유전자 변형 식품인... 이를 위해 유전자 조작 기술이 사용되며, 이는 생물체의 유전 정보를 조작함으로써...

유전자 변형 식품

유전자 변형 식품의 장점과 단점 좀 알려주세요 유전자 변형 식품유전자 조작 기술을... 생태계 침해: 유전자 조작 기술이 적용된 식물이 다른 생물종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유전자 변형 식품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한 의견 정리해주세요ㅠㅠㅠㅠ 최대한 빨리요!!!!!!!!! 안녕하세요. 필요한 정보의 핵심만 알려드리는 BlueJay입니다. <질문>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한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