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세포분열 햇는데 염색체 분열 변화 왜없어요??? ㅠㅠ

체세포분열 햇는데 염색체 분열 변화 왜없어요??? ㅠㅠ

작성일 2010.02.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중3으로 O2 과학책으로 생물 부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뭐 화학이랑 물리는 화2 물 1 끝내서 괜차는데 ㅠㅠ

생물이 너무 딸려서 혼자 공부하는중이에요

질문할게요 

1. 염색분체도 염색체로 취급하나요? 염색체모양이 X 랑 I  랑은 뭔차이에요? 상관없나요? ㅠㅠ

         

2. 세포 분열 결과 딸세포 2개가 생기는데 염색체수 변화 없나요?

             제가 책보니까 모세포 하나가 2개의 딸세포로 바뀌는데 딸세포와 모세포 모양이 같더라구요

             그런데 딸세포는 2갠데 모세포랑 모양이 같으니까 모세포에 염색체가 2n개 잇으면

             모세포와 모양이 같은 딸세포가 2개니까 4n 아닌가요?

        

3.감수 제 1분열에서 후기 →말기 로 갈때 염색체수가 반감한다고 하자나요

            왜그런지 모르겟어요 감수 제 2분열이랑 연관지어서 설명해주세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에 앞서 핵상에 대하여 알아보겟습니다.

세포분열에서는 기준점이 항상 세포1개속에 존재하는 염색체수입니다. 핵상은 n, 2n 등으로 표시하며 구체적으로는 염색체수(염색체종류수)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예로서, 어떤 생물 A의 체세포 수가 18개일 때 체세포이니까 핵상이 2n입니다. 구체적으로는 2n =18개 라고 표시합니다. 또한  어떤 생물 B의 체세포 수가 28개일 때 체세포이니까 핵상이 2n입니다. 구체적으로는 2n =28개 라고 표시합니다.

여기서 생물 A와 생물 B의 체세포 핵상은 모두 2n이지만 구체적으로, 생물 A의 염색체수는 18개이고 생물 B의 염색체수는 28개이기 때문에 생물 A와 생물 B의 핵상은 서로 다르다고 하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로 핵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n이란 서로 다른 이형의 염색체로 이루어진 염색체수를 말합니다. 즉, 난자의 핵상은 n이고 난자를 구성하는 모든 염색체는 모양과 크기가 서로 다릅니다. 즉, 모양과 크기가 다른 염색체가 5개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2n이란 n값에 해당하는 염색체가 2벌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정자의 염색체수가 5개이면 n=5입니다. 난자도 n=5입니다.

그리고 수정되면 n이 2벌이기 때문에 2n이 됩니다. 즉, 수정란은 2n=10입니다.

 

핵상을 쉽게 설명하면 상동염색체가 1쌍씩 존재하면 2n이고, 상동염색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n입니다.


정자

 

난자

 

수정란

☆ ● ◎ ◇ ▲

 

★ ● ◎ ◆ △

 

☆ ● ◎ ◇ ▲

★ ● ◎ ◆ △

정자의 핵상은 n입니다.

서로 다른 염색체가 5개입니다.

즉, n=5개 입니다.

 

난자의 핵상은 n입니다.

서로 다른 염색체가 5개입니다.

즉, n=5개 입니다.

 

수정란 핵상은 2n입니다.

서로다른 염색체가 5개이고

2세트이기 때문입니다.

즉, 2n=10개 입니다.





[질문1]. 염색분체도 염색체로 취급하나요? 염색체모양이 X 랑 I  랑은 뭔차이에요? 상관없나요?

 

[답변1] 염색체는 염색체종류수를 의미합니다. 염색분체수는 DNA량(무게)의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동원체수와 염색체(종류)수는 비례합니다.


따라서, X 랑 I 의 차이점은 염색분체수(DNA 무게=염색체무게)의 차이입니다.



[질문2]. 세포 분열 결과 딸세포 2개가 생기는데 염색체수 변화 없나요? 제가 책보니까 모세포 하나가 2개의 딸세포로 바뀌는데 딸세포와 모세포 모양이 같더라구요. 그런데 딸세포는 2갠데 모세포랑 모양이 같으니까 모세포에 염색체가 2n개 있으면 모세포와 모양이 같은 딸세포가 2개니까 4n 아닌가요?


[답변2] 염색체수의 기준은 세포 1개입니다.

따라서, 체세포분열은 분열 전후 세포 1개속에 들어있는 염색체수가 분열전과 동일합니다.

        


[질문3]. 감수 제 1분열에서 후기 → 말기 로 갈때 염색체수가 반감한다고 하자나요. 왜그 런지 모르겟어요 감수 제 2분열이랑 연관지어서 설명해주세요.

 

[답변3] 염색체와 염색분체의 개념을 다시 상기하셔야 합니다.

감수    제 1분열은 상동염색체가 분리되기 때문에 염색체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제 2분열은 염색분체가 분리되기 때문에 분열 전 후 염색체수는 동일합니다.



참고로, 

체세포 분열을 예로 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2n은 2개이고, DNA무게는 20㎍인 세포가 체세포 분열을 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입니다.


S기 이후 염색체수는 동일합니다. 즉 염색체의 종류수는 동일합니다.

 

그러나 염색분체수가 증가했습니다. 즉, 염색분체수는 DNA량(염색체 무게)의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S기 이후 DNA량이 증가 한 것이지요. 체세포 분열은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각 염색체에서 염색분체가 분리됩니다.

(즉, 염색분체수가 증가하면 dna량도 증가하고, 염색분체수가 감소하면 DNA량도 감소합니다.

다시말해, DNA량이 증가하면 염색분체수도 증가하고, DNA량이 감소하면 염색분체수도 감소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체세포 분열은 분열 전후에 염색체수의 변화가 없습니다.



다음은 감수 분열을 설명해보죠.

 

감수 분열은 2번의 핵분열을 합니다.


 

제1분열에서 체세포와는 달리 상동염색체가 나누어집니다(이형분열이라 합니다). 즉, 상동염색체가 나누어지게 되니까 염색체수가 반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이지요. 즉, 핵상이 2n → n으로 됩니다.


제 2분열에서는 체세포처럼 염색분체가 분리됩니다(동형분열이라 합니다). 즉, 분열전후에 염색체수는 동일하고 염색분체수(염색체무게)만 다르지요. 즉, 핵상이 n → n으로 됩니다.

 

 


답변은 여기까지입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햇는데 염색체 분열 변화 왜없어요???...

... 뭐 화학이랑 물리는 화2 물 1 끝내서 괜차는데 ㅠㅠ 생물이 너무 딸려서 혼자... 따라서, 체세포 분열분열 전후에 염색체수의 변화가 없습니다. 다음은 감수 분열을...

체세포 분열할때 염색체변화 질문

그림에서 말기때 염색 분체가 4개 있는데 각각 두개씩 합치면 말기에서는 염색체가 두개고 전기는 4개..아닌가요.. 염색체수가 변화가 없는지 모르겟어요.. I자 모양도...

생물 체세포분열

체세포 분열 전기 과정에서 염색체가 두꺼워지고 짧아진다는 내용이 있는데 그렇게 변화하는 건가요?̄̈?̄̈ 체서포분열 전기에는 핵막과 인이 소실되면서 방추사를...

체세포분열에서 항상 상동염색체

체세포분열에서 항상 상동염색체가 쌍으로 있나요?? 처음 모세포의 염색체 수가... 살아있을수가없어요. 체세포분열은 상동염색체가 서로 짝을찿아 쌍을 이뤄야합니다. M기...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염색체변화

... 게다가 감분 제 2분열체세포분열하고 똑같은데 체분은 2n-2n이고 감분 2분열은 n... 1분열 전기에서 염색체 수가 다른데 똑같이 2n과 2n인지는 모르겠어용...(1번...

감수분열염색체수 및 DNA의양 변화과...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염색체수 및 DNA의양 변화과정비교해주세요 간 단 히 요! 부탁드려요ㅠㅠ 안녕하세요. 늘입니다. 자, 그럼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을 알아보도록...

체세포분열,감수분열 염색체

그..체세포분열과정에서는 체세포염색체수가... 분열과 머가 다르길래 염색체수가 반감하나요??ㅠㅠ... 1:1... DNA양의 상대적 변화염색체의 부피(면적)의 비의 감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