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잠 준비를 하는 동물들

겨울잠 준비를 하는 동물들

작성일 2024.02.12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겨울이 오기 전에 음식을 많이 먹고, 식량을 가져와 저장해 둔다고 들었어요. 
그러면 자기 전에 평소보다 많이 먹어야 하는데 먹다보면 너무 배부르지 않을까요? 배부르다는 느낌을 잘 못 느끼나요? 아니면 한 번에 많이 먹는 게 아니라 사는 곳에 많이 가져다 놓고 배고플 때마다 먹는 건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겨울잠 자는 동물들 동생태계의 턱없이 부족한 먹이 때문이에요. 눈 쌓인 겨울에는 동물들이 먹이를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먹이사슬의 균형이 심각하게 무너진 상태이기 때문에 겨울잠을 자지 않으면 춥고 기나긴 겨울을 날 수 없고. 굶어죽기 쉽습니다.

그래서 먹이가 절대 부족한 겨울에는 아예 활동을 멈춰 버리는 것입니다. 동물들의 진화의 결과이고 자연에서의 생존비법이라 할 수 있고, 동물들이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먹이가 없는 상태에서 활동을 하면 에너지만 소모될 뿐입니다. 이를 줄이는 절대적인 방법이 바로 겨울잠을 자는 것 인데 잠 잘 동안은 최소한의 에너지만 소모되기 때문입니다.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것은 에너지 보존의 중요한 수단”이라고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대개 늦가을에 먹이를 풍부히 저장합니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전부 해당하는 건 아니지만 다람쥐나 뱀, 개구리, 곰 등은 특히 추위에 못 견딥니다. 그래서 아예 따뜻한 장소를 찾아 속 편하게 잠을 자 버리는 것입니다. 이들이 주로 긴 겨울 동안 잠을 자는 장소는 나무 밑둥 아래 뿌리나 나무 속, 바위틈이나 속, 땅 속과 같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소들이 해당합니다. 다시 말해, 양서류·파충류와 같은 변온동물은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이 될 때까지 죽은 듯이 완벽한 형태로 겨울잠에 빠져듭니다. 반면 곰과 같은 항온동물은 얕은 겨울잠을 잡니다. 곰의 체온은 저하되지 않고 얕은 수면상태로 가을에 저장한 지방을 소모하며, 암컷은 이 기간 동안 새끼를 낳아 봄까지 먹지 않고 젖을 먹입니다.

배변 같은 경우 겨울 잠을 자는 곰은 전혀 배변을 하지 않습니다. 항온 동물인 곰은 반 휴면 상태로 체온을 항상 30℃ 정도로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먹이를 먹지 않지만 에너지 대사를 하고 있다는 증거인데 인간이 체온을 항상 37℃ 내외를 유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곰도 먹이만 먹지 않을 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합니다. 이는 최소한의 에너지 대사를 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만약 곰의 체온이 30℃ 이하로 더 떨어지면 저체 온증으로 죽는데 북미 곰의 경우 먹거나 마시지 않고, 소변이나 배설을 하지 않은 채 5~7개월 잠을 잘 수 있다고 합니다. 곰은 신장의 벽을 통해 자기 배설물을 흡수해서 주요 성분인 질소 화합물을 자기 영양분으로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의 배설물을 자면서 재활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동물원의 곰은 따뜻한 온도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 주기 때문에 겨울잠을 자지 않고 따라서 곰은 활동 중일 때 배설을 합니다. 동면 중일 때는 배설을 하지 않거나 배설물의 절대량이 감소합니다. 곰과 같은 포유류 중에 동면하는 동물들은 정기적으로 깨어나 배출 및 섭식활동을 합니다.

동면하는 또 다른 포유류인 다람쥐도 겨울잠을 자는 동안 가끔 일어나 먹이를 먹거나 배설을 합니다. 다람쥐가 도토리를 저장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데 다람쥐는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겨울잠을 자지만 중간중간에 깨기 때문에 그때 일어나서 가을에 저장해 둔 도토리를 찾아 먹고 난 후에 이때 배설을 하고 그리곤 다시 겨울잠을 잡니다.

반면 개구리나 뱀과 같은 양서류·파충류는 완벽한 수면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배설도 하지 않고, 따뜻한 봄이 되면 스스로 기온 변화를 느껴 잠에서 깨어난다. 이때 먹이를 찾거나 배설을 합니다.

주변에 자극이나 여러 이유로 가끔씩 깨는 동물들도 있습니다.

온도가 조금 높아지면 깨서 활동도 한다고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배불러 터질 것 같을 때까지 먹는 거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평상시보다 많이 먹어서 살을 찌우는 겁니다.

그래서 겨울잠을 자면서 안먹어도 그동안 몸에 비축해둔 영양분으로 버텨내는 겁니다.

겨울잠 준비를 하는 동물들

...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전부 해당하는 건 아니지만 다람쥐나 뱀, 개구리, 곰 등은 특히 추위에 못 견딥니다. 그래서 아예 따뜻한 장소를 찾아 속 편하게 잠을 자 버리는...

깨어난 동물들이 가장 먼저 하는일...

겨울잠에서 깨어난 동물들이 가장 먼저 하는일은 무엇인가요? 상세하게... 육지에서 따뜻하게 생활하게 될 준비를 채비하게 되는 임무와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에 대해서...

... 이런 생체시계 장치가 준비된 동물만이 겨울잠을 잘 수... 곰들은 겨울잠을 잘 필요가 없습니다 7.잠자는 동물들은 몸부림을 칠까요>? 곰이나 뱀처럼 월동을 해야 하는 경우...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왜 겨울에만...

... 겨울잠 이외에 동물들이 겨울을 나는 방법으로는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 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새와 같이 이동이... 나라로 날아가는 것도 모두 겨울을 나기 위한 준비입니다

동물원 곰도 겨울잠을 자나요???

... 겨울잠준비하려는 본능은 남아 있다는 얘기다. 먹이 조절로 겨울잠을 자지 않게 되는 것은 체온이 일정한 동물들 뿐이다.뱀이나 개구리처럼 체온이 변하는 동물은 날씨가...

다람쥐와 청설모는 겨울잠을 잡니까?

... >다람쥐가 특히 좋아하는 곳은 쓰러진 나무가 겹쳐져... 다른 동물들에게 신호를 합니다. >다람쥐에게는 양쪽... >가을이 되면 다람쥐는 겨울잠 준비를 하기 위해 여름에 살던...

겨울잠 잘자는 동물?

... 이런 생체시계 장치가 준비된 동물만이 겨울잠을 잘 수 있고... 곰들은 겨울잠을 잘 필요가 없다. 7.잠자는 동물들은 몸부림을 칠까? 곰이나 뱀처럼 월동을 해야 하는 경우...

겨울잠을 자는 곰이 어떻게 항상성을...

... 유지를 하는 가요? 곰이나 뱀 등과 같이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겨울잠을 자는 것은... 동물은 겨울잠을 잘 준비를 합니다. 겨울잠이란 먹이를 구하기 힘든 겨울에, 동물이...

생물들은 어떻게 겨울잠을 보내나요?

... 보낼 준비를 한다. 무엇보다 겨울의 큰 문제점인 추위와... 바 겨울잠을 선택하고 있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은 체온을 유지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겨울철과 같이...

겨울잠 자는 동물...알켜주센

... 이런 생체시계 장치가 준비된 동물만이 겨울잠을 잘 수... 곰들은 겨울잠을 잘 필요가 없습니다 7.잠자는 동물들은 몸부림을 칠까요>? 곰이나 뱀처럼 월동을 해야 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