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생명과학1 신경계 질문입니다.

고등 생명과학1 신경계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9.06.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신경계의 정의에서 기존에는 말초신경계는 체성과 자율로 나뉘고 체성에는 감각뉴런과 운동뉴런이 있다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15개정 완자책에는 체성뉴런은 운동뉴런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대뇌의 지배를 받아 의식적인 골격근의 운동을 조절한다고 적혀있더라구요. 이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15개정으로 바뀌면서 정의가 바뀐건가요? 정확하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2. 만약 위에서 말씀드린 체성신경의 정의가 대뇌의 지배를 받아 골격근에 명령을 전달하는 운동뉴런만 포함된다고 친다면 척수반사(무릎반사)에서 무릎을 망치로 쳤을때 무릎이 올라가도록 척수가 명령을 내리면 그 명령을 척수(연합뉴런)와 골격근사이의 운동뉴런에 의해 올라가게 되는데 그 운동뉴런은 대뇌의 지배가 아닌 척수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체성신경이 아니게 된셈인가요? (위에서 말한 체성신경의 정의가 맞다면 by 완자)


답변 감사드립니다.


#고등 생명과학1 교과서 #고등 생명과학1 #고등 생명과학1 목차 #고등 셀파 생명과학1 답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신경분류체계에 많은 관점이 있는데
첫번째는 질문자님이 원래 알고 있던 것이고
두번째는 구심성뉴런(감각)이 중추로 들어와 원심성뉴런(운동)으로 나가는데 그 원심성뉴런을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으로 나눕니다. 아마 완자는 후자의 분류체계를 따라서 체성신경이 운동뉴런에서 나온 것이라고 본 것 같습니다.

2. 체성신경은 의식적인 명령뿐 아니라 무의식적으로도 움직입니다. 척수반사는 감각뉴런을 통해 운동뉴런으로 전달되어 나타나는데 완자에서는 많은 부분을 생략하여 나타낸 것 같네요. 체성신경의 중추에는 대뇌와 척수가 있습니다. 척수반사도 체성신경의 작용입니다.
이런 점을 종합해보면 완자가 신경계에 관한 내용을 많이 빼먹은 것 같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이해하고 계신 것이 맞으니
완자는 그러려니 하세요
많은 지식 갖고 있어서 손해보는 일 없습니다.^^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추가질문 주세요

고등학교 생명과학1 신경계 질문

눈은 중간뇌, 방광 척수, 나머지는 연수 연결 이렇게 외웠는데 이건 부교감신경만 해당되나요? 교감신경은 죄다 척수이기 때문에 '동공 크기를 조절하는 자율신경은 척수에서...

고등학교 생명과학1 중추 질문

모든 질문생명과학1을 기준으로 합니다 교감 신경에서의 중추가 대부분 척수인걸로... 교감신경의 중추와 중추신경계의 역할에서 써있는 중추로서의 척수의 역할은 다르게...

생명과학1

생명과학1 고등교육과정 내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 인가요? 1. 역치 이하의 자극이라도 빠르게 연속적으로... 애초에, 예를 들어 신경계 단원과 방어 작용 단원도...

고등학교 3학년 생명과학2 질문이요

... - 항상성과 몸의 조절: 생명과학2에서는 항상성 유지에 필요한 호르몬과 신경계의 작용을 자세히 다루기 때문에, 생명과학1에서 항상성의 개념과 조절 기작을 이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