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미 역설중에서

페르미 역설중에서

작성일 2023.07.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외계생명체는 존재할 가능성이 높지만 외계인, 즉 지적생명체까지는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무생물 → 단세포 생물 → 다세포 생물 → 지적 생명체의 과정에는 아주 넘기 힘든 3개의 고비가 있다. 이중 한두 개는 어찌어찌 가능하더라도 세 개의 고비를 모두 넘은 종은 인류가 유일할 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라는 문장을 나무위키에서 보았는데
고비가 있는이유는 무엇이고, 그 고비라는것은 무엇 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해당단계에 대한 인류의 지식이 완전하지 못하다. 즉 우리가 아직까지 밝혀내지 못할만큼 힘든 과정이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무생물에서 생명이 나오는 과정.. 논란이 많은 과정이고 단계별로 무기물에서 유기물이 합성되는 것 RNA가 자기복제를 하는 전사물질을 만들수도 있다 뭐 이런식으로 부분부분 연구가 되어있으나 그마저도 논란이 많습니다. 실제 우리가 있는걸로 보아 어디선가 생명이 시작되었고 합성도 할 수 있으나 그것이 자연적으로 어떻게 되는가 규명된바가 없으며 정말 우연히 된 것일 확률이 높습니다.

단세포들이 뭉쳐서 다세포가 되는 것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단 세포들이 어떻게 처음 의사소통을 하였고 협력을 하고 어떤 이익이 있었는가.. 이 뿐 아니라 원핵생물에서 진핵생물이 된 것도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딱 이것이다ㅏ 하는 그런 매커니즘이 밝혀지진 않았죠

지적생명체의 출현.. 또한 우연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과정입니다. 이 기나긴 세월의 시련을 겪으면서 무사히 그런 지적생명체가 나타나고 우주로 나아가는 과정이 거의 유일한거같다 라고 볼 정도의 확률인거죠.. 하지만 반대로 우주가 그만큼 넓으니 어딘가는 있을거라는 말도 틀린건 아닌거같습니다. 이 둘이 소통하고 접촉하고 하는것은 또 별개의 문제라고 볼 수 있겠죠?

페르미 역설중에서

“외계생명체는 존재할 가능성이 높지만 외계인, 즉 지적생명체까지는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무생물 → 단세포 생물 → 다세포 생물 → 지적 생명체의...

페르미 역설이 뭐죠?

페르미 역설이 뭐죠? 외계인의 존재를 논할 때 주로 거론되는 이론이며... title = wT; } 페르미는 1950년 과학자들과 식사를 하던 우연히 외계인에 대한 얘기를 하게...

페르미역설 수행평가

지구과학(해양,지질,기상,천문) 주제로 수행평가 발표하는데요.페르미역설로 발표할까 고민중인데 연관이 있을까요? 페르미역설은 외계 지적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페르미역설

... "라고 얘기해서 페르미역설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그것이 외계인이 없다는 가장 논리적 증거로 쓰인다는데 제가 이과가 아니라 그런지 이해가 안가거든요. 저 사람이...

올베르스의 역설 내공다검

... 올베르스의 역설중 우리가 멀리있는 천체를 모두 보지 못하는 이유는 성간물질... 쉽게 얘기해서, 보존입자와 대칭적인 의미를 가진 입자가 페르미입자라는 것이 있는데...

외계인은 정말 단 한 번도 발견된 적이...

... 또한, 외계 지적 생명체가 있다면 우리에게 성간 인사를 보내고 있을 텐데 왜 아직 만나지 못하고 있을까에 대한 질문은 '페르미역설’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우주 에 대해 ppt 작성

... "페르미 역설"과 관련된 주제 탐구. 우주 기술 혁신: 우주 탐사에 사용되는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논의. 우주 비행, 로켓 기술, 우주 슈트 및 로봇 기술의 발전 동향과 미래...

인이 있나요?

... 하지만 지금까지 인류는 외계 생명체에 대한 그 어떠한 단서도 찾지 못했고, 이 때문에 일부는 페르미 역설과 같이 외계인의 존재에 대해 회의적인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추상적사고로 문제해결하는거 중에...

... 페르미 문제에 대해 참조할 만한 책 한국에 나온 것은 다음 2권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위에서 설명한 페르미 역설에 관한 책인데 앞쪽에 페르미 문제 이야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