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성유전학

후성유전학

작성일 2023.08.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후성유전학이 DNA에 변형이 일어나 그게 후손에게까지 유전된다는 개념 맞나요?
그러면 그 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은 개인의 생활습관에 따라 다른 건가요?
후성유전학과 전통적인 유전 원리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후성유전학 #후성유전학 사례 #후성유전학 비판 #후성유전학 논란 #후성유전학 dna 메틸화 #후성유전학 뜻 #후성유전학 책 #후성유전학 암 #후성유전학 원리 #후성유전학이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도움되실 내용으로 답변드립니다.

후성유전학은 정확히 자손에게 전달되는 DNA의 변화에 ​​관한 것이 아니라 기본 DNA 서열에 대한 변경을 포함하지 않는 유전자 발현의 유전적 변화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유전자가 켜지거나 꺼지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성과 질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후생유전학적 변화가 자손에게 전달될 수 있지만 DNA 서열 자체를 변경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그들은 유전자가 세포에 의해 활용되는 방식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후생유전학적 변화는 실제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식이, 스트레스, 독소에 대한 노출, 심지어 사회적 상호 작용과 같은 요인은 후생유전학적 표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고 잠재적으로 건강 및 질병 감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후생유전학과 전통적 유전 원리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그들의 초점에 있습니다. 전통적인 유전학은 돌연변이, 재조합 등 DNA 염기서열 자체의 변화를 통한 유전 정보의 유전을 다룬다. 이러한 변화는 세대에 걸쳐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으며 유전적 변이의 주요 동인입니다. 반면, 후성 유전학은 DNA 서열을 변경하지 않고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DNA 분자 및 관련 단백질에 대한 변형을 포함합니다. 후생유전학적 변화는 일반적으로 더 가역적이고 환경적 영향에 반응하며 특정 발달 단계나 환경 단서에 반응하여 유전자가 켜지거나 꺼지는 방식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 후생유전학은 DNA 서열 자체의 변경이 아니라 DNA 분자 및 관련 단백질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자 발현의 유전적 변화를 포함합니다.

-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유전자 발현과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전통적인 유전학은 DNA 서열의 변화를 통한 유전 정보의 유전을 다루며 유전 변이의 주요 원인입니다.

- 후성유전학과 전통적인 유전학은 상호보완적인 개념으로, 형질과 질병이 유전되고 표현되는 방식의 복잡성에 함께 기여합니다.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표현형 가소성과 후성유전학이 진화와...

... 후성유전학으로 통합과학 보고서를 쓰고 싶은데 그게 진화와 관련이 있을까요? 표현형 가소성과 후성유전학은... 후성유전학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상속할...

후성유전학 이해가 안 돼요 ㅠㅠ

... 왜 후성유전학에선 유전이 된다는 식으로 얘기를 하는 건가여… 글구 나무위키에 후성유전학은 얼핏 보면... 나무위키에 있는 얘기론 후성유전학은 라마르크 주장에 근거가...

후성유전학도 유전자 가위의 한...

후성유전학도 유전자 가위의 한 종류인가요? 후성유전학은 유전자 가위를 사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지만, 후성유전학 자체가 유전자 가위는 아닙니다.

후성유전학적 변화

정확하고 쉽게 설명해주세요 후성유전학적 변화란 DNA메틸화, 히스톤변형 등 원래 가지고 있던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후성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현상입니다. 예를...

기독교에서 보는 후성유전학

제목 그대로 기독교에서는 후성유전학을 어떻게... 후성유전학(後成遺傳學, epigenetics) 또는 후생유전학... 즉, 후성유전학은 발생 과정이 끝난 성체에서 발생하는 유전자 발현...

후성유전학 질문 있습니다

1. Dna의 염기서열은 변하지 않은 채로 특정 조건 등에 의해 유전자발현이 조절된다고 하는데요 그러니까 예를 들다면 인간에게도 상어나 악어처럼 치아재생과 관련된 유전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