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에 따른 DNA의 발현과 비활성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전문지식 있으...

나이에 따른 DNA의 발현과 비활성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전문지식 있으...

작성일 2023.02.1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생명공학에 관심이 많습니다.

논문 뒤지는 것 보다 전문가의 정제된 정보로 제 니즈를
채우는게 효율적이라 생각해서 지식인에 올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DNA에서도 활성화, 비활성화 되는게 구분되어 있고 나이가 들수록 변이되는 양상이 크다는 겁니다.

제 지식은 고교 생명과학 1 ,생명과학 2 수준입니다. 대충 코돈까지는 알고있어요. 저는 그 이상의 전문지식을 통해서 이해하고 싶습니다. 쉽게 설명해준다고 대충 넘어가지 말아주세요. 전문 용어와 전문 지식을 인과적으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비활성화 상태인 유전자가 나이가 지남에 따라 특성 컨디션을 만족시키면 발현되는 경우가 있나요?

예를 들어 유동 지능에 도움을 주는 유전자가 비활성 상태에 있다가 나이가 지나거나, 특정 영양소를 다량 섭취하는등의 조건을 갖췄을때 활성화 되어서 지능에 도움을 주는 케이스 같은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건 예시일 뿐이에요. 관련 사례나 이론을 인과관계에 따라 설명해주세요. 너무 궁금합니다.

2. 단순히 나이를 먹는 것 자체로 비활성 상태였던 유전자가 활성화 될 수 있나요? 이론에 근거해서 설명해주세요!

3. 활성화된 DNA가 다시 비활성화 되는 경우도 있나요?
사고나 트라우마등의 이례적 케이스가 아닌 보통 사람이 보통 삶을 살 때를 가정합니다. 그냥 우리가 가지고 있던 재능이나 적성이 시간이 지남에짜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는건가요? 어떻게 보면 인지과학적 접근이기도 하겠네요.


#나이에 따른 혈압 #나이에 따른 호칭 #나이에 따른 인구수 #나이에 따른 수면시간 #나이에 따른 심박수 #나이에 따른 차별 #나이에 따른 얼굴 변화 #나이에 따른 키 #나이에 따른 신체변화 #나이에 따른 언어 변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유전자의 비활성화 상태가 나이가 지남에 따라 특정 컨디션을 만족시키어 발현되는 경우는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이가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생물학적 변화(예를 들어, 감소하는 세포의 기능)나 여러 환경적 요인(예를 들어, 가스 오염, 알코올 섭취 등) 등이 유전자의 비활성화 상태를 깨뜨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서 유전자의 표적 염색체가 변형되거나,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기전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갖는 전사 상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전자의 비활성화 상태가 나이가 지남에 따라 특정 컨디션을 만족시켜 발현되는 경우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것이며,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2.비활성화된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나이를 먹는 것 자체로는 유전자의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유전자의 활성화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체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유전자의 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유전자의 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성 질환, 스트레스, 환경 가스, 약물, 방사선 등이 그것입니다.

하지만 나이를 먹는 것 자체로는 유전자의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나이를 먹을수록 유전자의 비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3.예, DNA는 활성화 된 후 다시 비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유전자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및 조절 단백질의 결합을 포함한 조절 과정의 복잡한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됩니다.

이러한 규제 프로세스는 노화, 환경 노출 및 질병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화는 DNA의 후성 유전 학적 표시에 변화를 일으켜 일부 유전자의 비활성화와 다른 유전자의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사하게, 환경 독소에 노출되면 DNA 메틸화 패턴이 변화하여 유전자 발현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환경 요인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본 DNA 서열을 직접 변경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유전 코드 자체는 환경 노출에 의해 변경되지 않지만 코드의 발현은 규제 메커니즘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예,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유전자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활성화되어 특정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조건부 활성화"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유전자 변이를 통해 뇌 세포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단백질인 CREB를 활성화시키는 실험이 있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특정 시간동안 미로를 해결하는 쥐들에게 전기 충격을 주는 등의 스트레스를 가하면, CREB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뇌의 기억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조건부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예, 단순히 나이를 먹는 것 자체로 비활성 상태였던 유전자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에피지놀 메모리"라는 현상으로, 개인이 경험하는 외부 환경 요인이나 생활 습관이 유전자의 활성화나 억제를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장 호르몬 수치가 낮아지면서 노화가 진행되는데, 이때 유전자 활성화에 관여하는 인자들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활성화된 유전자들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3.예, 활성화된 DNA가 다시 비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실크로마틴 리모델링"이라고 하는데, 이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들이 유전자 주변의 DNA에 결합하여 DNA의 구조를 조절하면서 일어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전자가 다시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포 내에서 특정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들이 DNA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면서 유전자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대해 알려주세요 (전문지식 있으신...

... 전문 용어와 전문 지식을 인과적으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비활성화 상태인 유전자가 나이가 지남에 따라 특성 컨디션을 만족시키면 발현되는 경우가 있나요?...

전자파의 않좋은점

저기요 전자파의 안좋은점알려주세요 ■ 프롤로그... 위험성에 대해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을 것이라... 분들은 지식검색도 가려서 해야 할 것입니다. 최근...

에이즈가뭐에요

... 기회감염에 따른 질환이 발생한 사람을 말한다. 다시... 혈액에 대해 주로 항원검사를 실시하고 있음... 바로 비활성화 되거나 사멸하게 됩니다. 또한 열에도 약하여...

과학의 역사

과학의 역사 10개를 알려 주세요 구체적으로 적어 주세요... 과학적 지식(scientific knowledge)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연세계에 대해서 당시로서는 전부라 할 수 있을 만큼의...

사이언스 북 - 도킨스 외

... 전통적인 지식에서는 완전히 별개인 두 체계가 서로... 가속되고 있으면, 결과는 어떤 시간 간격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에 대해...

인하대 인식 질문

... 객관적인 인식좀 알려주세요. 전 인하 소개합니다. 합격하신... 이용하고 있으며, 대학원 석사 시절부터 30년 이상 청소년에 대해 연구해 왔다. 박 교수는 "청소년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