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cell의 양성선택(positive selection)과 이식거부반응

T cell의 양성선택(positive selection)과 이식거부반응

작성일 2023.08.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면역학 필기를 읽어보다가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우선 제가 아는 것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
0. Tc cell은 세포의 MHC I이 제시한 항원을 인식해서 비자기 항원인 경우, 감염된 이 세포를 제거한다.

1. T cell의 성숙과정에서 양성선택이 일어나면 자신의 MHC에 대해서만 반응하고 비자기의 MHC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
따라서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할 때,(발그림첨부..)
A쥐에게 바이러스를 감염시켰을 경우, A쥐의 T cell은 감염된 A쥐의 세포에만 반응하여 세포독성면역반응 및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키고, 감염된 B쥐의 세포(실험실에서 분리)는 제거하지 않는다.(B쥐의 MHC에는 T cell이 반응하지 않으므로)
즉, 최종적으로 자기세포(MHC)가 제시한 비자기 항원에 대해서만 반응한다.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2. 이식거부반응의 경우(숙주대이식편반응) 수여자의 APC가 공여자의 항원을 수여자의 T cell에 전달하여, 수여자의 T cell과 항체가 공여자의 세포 및 항원들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수여자의 APC가 수여자의 Th cell을 활성화하고, 이후 Tc cell과 B cell이 활성화되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Th cell이 APC의 MHC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또한, 활성화된 B cell에서 생성된 항체가 공여자의 항원을 제거하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질문!
<<그러나, 수여자의 Tc cell이 공여자의 세포를 공격하고 제거할 때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나요?
1.에서 설명한 양성선택에 의하면, 공여자의 세포가 나타내는 MHC는 수여자의 MHC와 달라서 수여자의 T cell이 공여자의 세포에 반응을 하면 안되는 것 아닌가요?>>
혹시1) 공여자의 MHC와 수여자의 MHC가 유사할 때 이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여자의 T cell이 공여자의 MHC를 자기로 인식하는 것일까요? 항원은 비자기로 인식하고?? (그래서 '아, 우리세포가 감염됐구나. 제거해야겠다.' 이렇게 되는건지)
혹시2) 제가 잘 몰라서, Tc cell은 비자기MHC 자체를 항원으로서 인식해서 공격하기도 하나요? 근데 만약 그렇다면 양성선택 증명실험에서 감염된 B쥐의 세포가 제거되지 않는게 이해가 잘 안 갑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 cell의 종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저도 순간적으로 사진을 보고 혼동이 와서 이것저것 찾아보았는데요.

우선 Tc cell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종류는 인식하는 항원과 특징입니다.

이들은 positive selection과 negative selection 반응 등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positive selection은 자기의 MHC class I에 반응하는 T cell을 남기고

Negative selection에 의해 자기 항원과 반응하지 않은 T cell을 남깁니다.

이 selelction의 목적은 self MHC에 대한 반응입니다.

외래 MHC와 같은 반응과 결합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이렇게 생성된 Tc cell 중에서 non-self MHC class I과 반응하는 Tc cell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장기가 이식되면 다양한 APC들이 반응하며 동시에 Th cell도 반응하게 되고 연쇄적으로 Tc cell의 반응도 시작됩니다.

(바이러스가 감염된 상황과 장기이식한 상황을 같은 상황이라고 고려하긴 힘듭니다)

ㅡ 면역 조직 이식 거부 반응 질문 드려요

... 활성화하고 T cell을 활성화시키고 하는데 위에 나온 선택 때문에 APC가 자기항원을 제시해도 자가면역반응이... 수여자에게 이식할 경우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면역관용 사이토카인 작용

... 면역관용은 주로 self cell에 일어나는 반응입니다.... (정확히는 Positive/Negative selection) 우선 관용을 하면 T... 따른 선택을 받게 됩니다. 이를 clonal selection이라고...

세포독성 T림프구

... [MHC class1 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식 시 문제가... 항원과 반응한 애들만 살립니다. (양성 선택) 2차... 우선 T림프구 수용체 (T cell receptor) 이는 MHC class 1 위에...

신장이식 질문좀 부탁드립니다

... (1) 신수여자의 선택 신장이식 예정자는 가능한 자신을... 임파구 교차검사(Lymphocyte T cell B cell cross matching test)... 항체검사결과가 양성인 경우 이식 후 초급성 거부 반응이...

사체이식 수술이 어떤거예요

... 반응양성으로 나타나는 예가 10~20%에 있으면 이런 경우에는 이식을 하지 못한다. 좋은점으로는 교차반응이 음성인 나머지 환자들은 수혈을 받지 않은때 보다도 거부반...

MHC에 대해서 질문이요!!

장기이식거부반응 중에서 direct pathyway에 뭔가 문제가 있는것 같아요 일단 공여자의 Antigen Presenting Cell이 수혜자의 T Cell을 활성화 시킨다고 하는데 이때 공여자의...

질병 종류

... 등 -흉선종: 양성/악성 -급성 세로칸염 -세로칸... lymphoma -Adult T-cell leukemia/lymphoma -호지킨 병... 누출 -장피누공 -욕창 -초급성 이식 거부 반응 -급성...

질병, 희귀병, 유전병 종류

... 등 -흉선종: 양성/악성 -급성 세로칸염 -세로칸... lymphoma -Adult T-cell leukemia/lymphoma -호지킨 병... 누출 -장피누공 -욕창 -초급성 이식 거부 반응 -급성 이식...

병에 대해서 거의 다 알려주세여

... 등 -흉선종: 양성/악성 -급성 세로칸염 -세로칸... lymphoma -Adult T-cell leukemia/lymphoma -호지킨 병... 누출 -장피누공 -욕창 -초급성 이식 거부 반응 -급성 이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