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ma 벌크중합 관련 질문요

pmma 벌크중합 관련 질문요

작성일 2009.03.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2. 본 반응은 연쇄중합형의 단량체를 이용한 벌크중합이다. 만약에 축합형 고분자를 벌크중합 한다면 어떠한 차이점이 있겠는가?

 

3. 연쇄이동은 단량체, 고분자, 용매, 개시제, 단량체 등에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식을 찾아 그 의미를 이해하라.

 

 

6. 메르갑탄 화합물이 특히 라디칼중합에 있어서 연쇄이동제로 많이

쓰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렵네요 알려주세요 아는것만이라도;; ㅠㅠ

 


#pmma 벌크중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먼저 답변하신분이 3번은 잘 설명하셨네요.

3번은 생략하고

 

2번.

축합형 고분자란 HO------OH의 모양을 갖는  모노머를 반응시켜서

H2O가 생성되면서 고분자가 되는 겁니다. 라디칼 반응이 아니죠.

중합법중 벌크,솔루션,서스펜션,에멀젼 중합은 라디칼반응이지만

축합중합은 라디칼중합이 아닙니다.

즉, 벌크중합반응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라디칼 개시제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단, 축합형모노머만 모아놓고 적절히 가열처리하면 

H2O가 빠져나오면서 올리고머는 생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H2O를 제거해주는 과정이 없으면 고분자로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3번.

mercaptan, thiol 류는 말단에 -SH group이 붙어 있습니다.

황때문에 냄새가 많이 나죠. 지상에서 냄새가 나지만 몸에 좋다는 것들에 많이 포함된 화합물입니다.

은행이나 마늘이 좋다는건 이 성분때문인데 우리 몸에서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활성산소는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불안정한 구조를 띠는데...

이건 개시제라든지 중합중인 고분자의 라디칼과 근본이 같습니다.

즉, 활성산소에 의해 세포내 다른 생체고분자가 반응되어 원래 기능을 잃게 되죠.

 

우린 몸에서 이런 활성산소(라디칼)을 제거하는 건 코엔자임 Q10이라는 건데.. 시중에 많이 나와있죠.

이러한 물질이 라디칼을 잡을 수 있는건 -SH 때문입니다. 다른 어떤 그룹보다 라디칼을 쉽게 잡습니다.

황과 관련된 물질을 검색하면 알겠지만 가교반응을 쉽게 일으킵니다. 반응성이 좋다는 거죠.

하지만 ceiling temp이 낮기 때문에 황이 반응에 참여하면 고분자로 가지 않습니다.

고분자에다가 황을 넣고 반응시키면 가교되어 분자량이 증가하지만...

정작 중합반응에 황성분이 들어가면 분자량이 감소합니다.  재밌죠???

자세한건 Polysulfone이나 Polyethersulfone 같은 축합형 고분자를 찾아보세요.

그리고 벌크중합에서 SO2를 넣어서 S를 넣는 반응도 찾아보시구요.

Ceiling Temp과 S의 관계를 찾아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분자량과 관련있거든요.

 

즉, 어느정도 성장한 고분자에 다른 모노머대신에 -SH가 붙어서 반응을 종결하는 주반응과

올리고머라디칼과 붙어서 라디칼을 없애주는 역할을 조금 합니다.

 

덧붙이자면 S-H결합과 C-H 결합을 비교하면 S-H 결합이 약해서 H가 쉽게 떨어지기때문에

반응성이 좋다고 말할수 있겠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고분자 공학을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질문하신내용 잘 보았습니다.

 

우선 벌크중합은 아시죠?

중합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으나 고분자에서는 기본적으로 라디칼, 축중합을 주로하고

 

간혹 벌크나, 개환, 계면 등을 사용하긴하는데 벌크중합의 경우에는 고분자를 만들어야하는

 

모노머와 개시제로 중합을 진행하죠

 

특이한점은 물이나 여타 다른 solvent없이 반응을 시켜 중합이 되었을때

 

한순간에 점도가 급상승 한다는 것이지만 고분자의 분자량에는 차이가 심해 잘 사용하지 않는 중합입니다.

 

그런데 축합형 고분자를 벌크중합을 한다.

(고분자는 만들어진것이므로 재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가 아니라면 중합을 할 수 없습니다.)

 

축합중합을 공부하셨다면 아시겠지만 말단의 작용기가 결합을 하면서 수화물이나 여타 다른 물질을

 

배출합니다.

 

나일론 6.6의 경우 아민기로 합쳐지면서 H2O물이 빠지는 대표적인 축중합의 예지요...

 

이와같은 고분자를 합성한다면 고분자와 물층이 분리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벌크중합의 경우 앞에 설명드린대로 단량체와 개시제로 인한 여타 다른 solvent없이 반응을 시켜

 

중합으로 인한 점도상승과 함께 고분자로 되버리는데(PMMA중합같은) 수화물이 나오는 축합 고분자로서

 

벌크중합을 한다고는 못들어 본것 같아서요.

(어디까지나 가정입니다. 이와같은 실험은 해본적이 없기때문에)

 

 

3번

 

연쇄이동의 경우 개시제 (I)

 

개시제의 경우는 반응 초기 단계에 작용을 합니다.

반응성이 없는 반응물을 반응성이 있도록 만들기 위해 전자를 하나 제거하여 라디칼을 만들어 반응을 시키는등 생성물이 생성할 수 있도록 반응물의 에너지 상태를 극단적으로 높여주는 역할만 해줍니다.

 

적용시기 목적

개시제 반응 초기 단계 반응물의 활성화 (에너지 높여줌)

 

위에 설명드린대로 개시제가 분리되어 (AIBN이나 BPO를 주로 사용하지요)

 

I' 라디칼이 형성되면 모노머(M)와 반을을 합니다.

 

즉 속도식을 따시면 다음과 같겠네요

 

I' + M  ===>>> M' (개시반응)

 

여기서 알아야 할것은 개시단계 즉 속도를 결정짓즞 kd의 값을 아셔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모노머간에 라디칼이 이중결합을 깨면서 결합을 형성하는 성장 매커니즘으로

 

M1' + M' ====>> M2'

M2' + M' ====>> M3'

 

성장의 경우 ri = -d[R']/dt  =  2fkd[I]

즉f의 값은

 고분자 반응에 참여한 라디칼 / 생성된 라디칼이 되겠구요

 

마지막으로 정지반응은 고분자를 공부하셨다면 아시겠지만 머리머리 결합이나 머리 꼬리 결합으로

 

불규칙 적으로 끝나게 됩니다.

 

Mm' + Mn' ====>> Mm+n

 

앞에 말씀드렸겠지만 정지반응은 가역적이 아닌 불규칙적이므로 두가지 모두를 고려하여

 

속도식에도 두가지를 적용합니다.

 

rt = -d[M'] /dt  = 2kt[M']제곱

 

여기서 알수 있는 것은 개시제가 증가하면 반응속도는 증가한다.

그러나 반대로 분자량은 감소한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고분자 화학이라는 책에 중합반응 속도식편을 보시길 바랍니다.

 

 

마지막 질문이신 메르갑탄이라는 화합물은

 

제가 알기로는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할때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부족한 답변이지만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pmma 벌크중합 관련 질문요

... 질문하신내용 잘 보았습니다. 우선 벌크중합은 아시죠? 중합방법에는 몇가지가... 되버리는데(PMMA중합같은) 수화물이 나오는 축합 고분자로서 벌크중합을 한다고는...

벌크중합 질문이요

개시제와 단량체를 넣고 중합 할때 온도 설정 할때 어떤 기준으로 온도를 설정... 고분자합성관련논문들을찾아조건들을살펴보시기를권해드립니다!

고분자 중합 관련 질문 드립니다.

중합 반응에서 벌크, 서스펜션, 솔루션 등. 이있는데 그것에 관해서 잘 모르겠어서요.. 예를 들면. -PEK -ETFE 같은 경우 어떤 중합을 하고 있는지.. 딱 보면 아는 방법...

mma와 pmma 차이점 및 가공

mma 와 pmma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lcd 관련 일을 이번에... PMMA중합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 하나이고... 벌크 중합을 casting 방법으로 중합했다고...

아크릴에 관련질문입니다 고수님...

... 아크릴에 관련된것좀 물어볼께요 ㅠ 1. MMA의 중합방법종류와... 4_/%EC%8B%A4%ED%97%98%201%20(PMMA%20%EB%B2%8C%ED%81%AC%EC%A4%91%ED%95%A9).doc 여기에 보시면 벌크 중합 scheme 이...

아크릴에 관련된 MMA,PMMA 질문입니다....

... ㅠ 질문 4개만 드릴께요 ㅠ 제발도와주세요 ㅠㅠ 1. MMA의 촉매제는 어떤것들을... 줄여서 PMMA라고 합니다. 1.MMA의 촉매제라는 것은 중합할대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아크릴(mma,pmma)원액은 어디서...

미술관련 작업관계로 질문 올립니다. 원액 이외엔 자유자제로 성형이 안될것... 이를 촉매의 첨가와 일정한 중합조건에서 polymerization한것이 pmma입니다. pmma는 고체원료로...

소프트렌즈 하드렌즈

... 그래서 질문해요! 1. 소프트렌즈 하드렌즈 의 차이점... 고분자 중합을 통해 렌즈를 만들게 됩니다. 그로인해... 관련 논문들을 읽어보았는데요 우리나라엔 아직이지만...

아크릴에 관련질문입니다ㅠㅠ...

... 아크릴에 관련된것좀 물어볼께요 ㅠ 1. MMA의... PMMA, PS 분말 Emulsion M,E,I,W 분자량-중합도 조절, 저온반응 제품에 유화제-전해질 포함 PS, PVAc, Acryl의 EM [벌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