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물법이 무엇인가요~~~~~~

주물법이 무엇인가요~~~~~~

작성일 2006.10.15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무엇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효 전 ♠♠초등학교 초딩입니다    오늘 한국민속촌에 다녀왓는데요 글쎄  님과 같은 숙젤 내주질 멉니까?????  글서 전  이미 다 마치고 이거 쓰고 있어여      썩소짓는중 ㅋ                           .....보니까       

 

 

주물법 : 주물을 부어 모양을 만들어 내는 것              이라고      

 

         적엇어여 ㅋ  

 

                                  

방짜법 : 질좋은 놋쇠를 녹여 거푸집에 부은 다음 불을 달구어 가며 두드리며  그릇을 만드는 것             

 

도움 대셧으면 합니다      먼가 좀 이상하게 적엇죠?   저 인터넷 잘 못다뤄서여  이해점여  

 

 

                                       이모디콘좀 써보고 싶다 ㅎ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주물법은 갯벌 흙을 이용해 틀을 만들고 그 공간에 물건재료에 따라 용융점까지온도를 높여 녹인 쇳물을 붓는 것. 아직까지 주물법은 처음부터 끝까지 사람 손을 거치고 있습니다.

원하는 물건에 형상을 흙에다 찍어서 쇳물을 녹인다음 그곳에 부으면 그 형상돼로 물건이

생산되는 공정을 말하는 겁니다.

사람이 하는 주물공정은 힘이들어 대량생산이 어렵죠.

그래서 기계적인 방법으로 지금은 주물을 붓습니다.

자동차 부품등 이루셀수없는 많은부분에 주물법의 공정이 발전되어 적용되고 있습니다.

대량생산에 발전된게 사출 작업이지요

사출은 금속 비금속 불문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해 인류가 필요로하는 많은 제품을 생산해 냅니다.

지금도 변하지 않은 주물법이 있죠

주물법 생산이 전수되어 오는 것이 공예부분이거나 방짜유기 주물법정도로 사람이 직접하는 작업은 대단히 한정되어 가고 있습니다.

조금은 답변이 되셧는지요?

 

참조 주물사진;

시원한 샘

http://blog.daum.net/bangzza/9442215

 

주물작업 [방짜78*22%]완성   주물형태임


 

원본과 주물현품

무게900정도

 

 

 

방짜 단조 열처리후 이제 가공하면됨





 

 

 

 

참조;사출사진

시원한 샘

http://blog.daum.net/bangzza/9930935

 

 

출처:웰빙 방짜공방

http://www.bangzza.co.kr/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금 공방에서 만들어지는 유기는 주물법과 단조법,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주물은 말 그대로 틀에 주물을 부어 모양을 만들어 내는 것이고 단조는 두드리며 늘리는 방법이다. 단조는 ‘방짜(방자) ’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방짜가 되기 위해서는 가장 첫 번째로 22%의 주석과 78%의 동을 정확 히 혼합해야 한다. 여기서 단 1%라도 함량에 차이가 나면 두드리는 동안 깨져버리기 때문에 첫 단추를 제대로 끼워야 되는 것. 주석과 동을 녹인 뒤 사각 혹은 원 모양의 판을 만들어낸다. 이 판에 그릇이 나 수저, 잔 등의 모양을 찍어낸 뒤 두드리면서 모양을 잡아내는 것 이다. 분명 처음엔 둥글납작했는데,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밥그릇도 술잔도 되는 것을 보니 미다스의 손이 따로 없는 것 같다. 이 과정을 성형이라고 한다.

성형을 끝낸 유기들은 표면 깎기 과정을 거치면서 투박한 모습에서 좀더 정교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제야 금빛 유기가 제 색깔을 나 타내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광택실에서 광을 내면 유기는 제 모습을 갖추게 된 것. 매장에서 다시 한 번 닦은 후 포장을 하면 모든 공정은 끝이다. 유기 를 만드는 과정의 90% 이상은 모두 손으로 해야된다. 쇠를 녹이거나 판을 찍어내는 것은 기계로 하게 되어 예전보다 그 속도는 빨라졌지 만 정말 사람이 해야되는 것은 변하지 않았다.

반면, 주물법은 갯벌 흙을 이용해 틀을 만들고 그 공간에 섭씨 1,200 도 이상에서 녹인 쇳물을 붓는 것. 아직까지 주물법은 처음부터 끝까 지 사람 손을 거치고 있는데, 이 방법이 바로 김근수 옹이 고수해 온 방법이다. 주물법으로 만드는 것은 주전자와 같이 불에 올려놓아야 되는 것들인 반면, 방짜는 식기류와 같이 직접적으로 불이 닿지 않는 것들이다.

우리나라에서 불교와 천주교 문화가 동시에 뿌리를 내린 곳을 찾아보 기란 쉽지 않다. 수천 년 동안 전해진 불교에 반해 천주교가 이 땅에 들어온 것은 100년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 이마저도 박해로 얼룩 져 있어 드러내놓고 성지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도 얼마 되지 않는 다. 그렇지만 한국 천주교 최고의 성지로 꼽히는 미리내 성지는 이미 많은 신자들이 다녀갔고 지금도 그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

미리내 성지는 한국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유해를 모신 곳이다. 시골의 작은 성당을 연상케 하는 경당에는 김 신부를 비롯한 3명의 묘가 안장되어 있다. 입구 오른편을 지키고 있는 큰 건 물은 미리내 성지의 본당이다. 이곳의 성당 제대에는 김대건 신부의 아래턱 뼈를 모시고 있어 그 의미 또한 남다르다.

미리내 성지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경당길을 한 바퀴 돌아 나오는 경당길 순례와 갯세마네 동산길 순례다. 신자가 아 닌 사람들에게는 굳이 순례가 아니더라도 호흡을 가다듬을 수 있는 단아한 길이다. ‘미리내’는 ‘은하수’라는 뜻의 우리말. 은하수 성지를 대충 돌아보는 데만 해도 두 시간 이상은 족히 걸린다. 안성 의 북쪽 끝에 동떨어져 자리하고 있는 탓에 은밀함만은 보장되었지만 최근에는 코앞까지 모텔 등의 유흥시설이 들어서면서 눈살을 찌푸리 게 하고 있다.

한편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칠장사는 칠현산 기슭에 자리 한 아담한 고찰이다. 단청을 칠하지 않아 옛 멋이 그대로 살아있는 대웅전을 비롯해 칠장사에서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은 ‘나한전’과 ‘ 혜소국사비’다. 이곳의 나한이 다른 곳과 달리 7나한인 이유는 혜소 국사가 도적 7명을 교화한 후 그들이 불자가 되어 나한의 경지에까지 이르렀기 때문이란다.

어사 박문수가 나한전에서 기도를 드린 후 과거에 급제했다는 전설이 전해져 수능 시험 전에 이곳을 찾는 부모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고 한다. 한 가지 재미있는 모습은 7나한 앞에 그득히 쌓여있는 과자 . 나한들이 과자를 좋아한다는 이야기에 생겨난 풍경이다.

▷안성 3·1운동 기념관◁

안성이 평북 의주, 황해도 수안과 함께 3대 항쟁지로 꼽힌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전국적으로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 3월 11일 안성에서도 대대적인 만세 시위가 벌어졌다. 안성에서의 최초 시위는 남진우와 고원근이라는 학생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으며 이 후 , 3월 25일 원곡면, 4월 1일 양성면과 원곡면의 연합시위로까지 이어 지면서 경찰관 주재소와 우편소를 습격해 서류와 집기, 일장기 등을 불태웠다. 당시 시위에 참여한 사람들의 수만 해도 2,000여 명에 이 르며 순국자는 24명이나 되었다.

지금의 3·1운동 기념관이 세워진 곳은 대대적인 만세운동이 전개된 만세고개로 순국선열 사당과 3·1운동 기념탑, 전시관, 무궁화동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시관은 각종 자료를 전시한 호국정신관, 만세고개 이야기를 입체적 으로 담은 매직비전, 고문체험관, 영상실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모두 센서로 작동이 되고 있다. 고문을 체험할 수 있는 것으로는 벽관(서 있는 채로 벽에 가두는 것), 나무상자(몸을 1/3로 접은 채 쪼그리고 앉음) 등이 있지만 너무 섬뜩해 체험실에 들어가는 것조차 망설이게 될 정도다.

영상실에서는 안성만세운동에 대한 내용을 18분 분량으로 만들어 한 국어, 일어, 영어로 서비스하고 있다.
(출처 : '주물법이뭐죠' -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주물법은 갯벌 흙을 이용해 틀을 만들고 그 공간에 물건재료에 따라 용융점까지온도를 높여 녹인 쇳물을 붓는 것. 아직까지 주물법은 처음부터 끝까지 사람 손을 거치고 있습니다.

원하는 물건에 형상을 흙에다 찍어서 쇳물을 녹인다음 그곳에 부으면 그 형상돼로 물건이

생산되는 공정을 말하는 겁니다.

사람이 하는 주물공정은 힘이들어 대량생산이 어렵죠.

그래서 기계적인 방법으로 지금은 주물을 붓습니다.

자동차 부품등 이루셀수없는 많은부분에 주물법의 공정이 발전되어 적용되고 있습니다.

대량생산에 발전된게 사출 작업이지요

사출은 금속 비금속 불문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해 인류가 필요로하는 많은 제품을 생산해 냅니다.

지금도 변하지 않은 주물법이 있죠

주물법 생산이 전수되어 오는 것이 공예부분이거나 방짜유기 주물법정도로 사람이 직접하는 작업은 대단히 한정되어 가고 있습니다.

조금은 답변이 되셧는지요?

 

참조 주물사진;

시원한 샘

http://blog.daum.net/bangzza/9442215

 

주물작업 [방짜78*22%]완성   주물형태임


 

원본과 주물현품

무게900정도

 

 

 

방짜 단조 열처리후 이제 가공하면됨





 

 

 

 

참조;사출사진

시원한 샘

http://blog.daum.net/bangzza/9930935

 

 

출처:웰빙 방짜공방

http://www.bangzza.co.kr/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dd

주물법이 무엇인가요~~~~~~

무엇인가요 주물법은 갯벌 흙을 이용해 틀을 만들고 그 공간에 물건재료에 따라 용융점까지온도를 높여 녹인 쇳물을 붓는 것. 아직까지 주물법은 처음부터 끝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