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화학1 물부분.. 정화단물센물 이런거 질문 많음..

고등학교 화학1 물부분.. 정화단물센물 이런거 질문 많음..

작성일 2005.08.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상수가 어떤걸 말하나요? 강물 이런건가요? 설명부탁드림..

 

2. 정수기와 수돗물의 정수과정을 비교해보자도 있는데 어떤건지..

 

3. 가정에서사용하는염소계표백제와산정세정제를섞어서욕실이나화장실청소를하면안되

 

는이유는 무엇인가?

 

4. 철수 : 수돗물속에는물이공급되는과정에서번식할수있는박테리아같은미생물의증식을억제하기위해넣은일정농도의염소성분이녹아있기때문에끓여먹는것이좋아

영희 : 그래도물을끓이면물속에녹아있는산소가모두없어지잖아산소가녹아있는물이더좋은물아니겠니물에산소가없어봐물고기들도살수가없잖아

 

4.1.이게 대화인데요.. 질문이 물을끓이면 염소성분이 사라진다는 것을 확인 할수있는방법을 찾아 실제로 실험해보자 인데.. 어떤 실험을 할수있나요??

 

4.2.그리고 진희주장에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자 라는데?? 어떤걸 내걸수 있는건가요??

 

4.3. 근데 철수가 말하는거는 우리가 먹는물인데 끓여 먹으면 된다는거고 영희는 우리가 먹는물이 아닌데 그냥 물고기사는물인데 저 대화가 말이되는건가요?? 서로 다른 물에 대한 얘기를하는거같은데.. 어떤가요?

 

5. 이건 그냥 질문 있는거 같은데 수돗물을 어떻게 마실것인가?

(위에 꺼랑 관련된거같은데)

 

6. 어떤방법으로거품발생정도를비교할것이가장적절할까?(이거는 막 여러 용액들 있고 그런데 거기에 비누를 잡아 넣는거거든여.. 단물센물할때 하는거염.. 비교 어떻게 해야하나요 막 시험관에 넣어서 흔들던데 그냥 눈으로 비교하는건 아니겟죠?)

 

7. 발전소에서는바닷물을냉각수로사용하는데냉각과정에서온도가높아진물이바다로흘러나간다온도가높은물이바닷물을어염시키는이유는무엇인가?

 

8. 장마철폐수방류가 안좋은 이유는 무엇인가?

 

9. 석회암지대가 많은유럽에사는사람들은물을끓여먹는다 그이유는?

 

10.센물에비누를더많이 넣게 되면 어케될까 센물을 사용하여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뻣뻣해진다고한다 그이유는?(이거는 수돗물은 단물이잖아요 근데도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뻣뻣해지잖아요 근데 센물로 감아도 그렇다는건가요 무슨말인가요?)

 

11. 그리고 책에 있잖아요 물맛은 센물이 단물보다 맛있다던데 교과서에서요

그럼 마실물은 단물대신 센물을 마셔도되는건가요? 센물이 안좋은 이유는 단지 비누가 안풀리는 그 이유하나인가요?

 

12. 그리고 우리가 먹는 물이 상수정화 뭐 침사지 침전지 염소소독 이런거 한거도 수돗물로 사용하고 하수정화한거 포기조 하고 염소소독이런거 하는거 잇잖아요 그거도 수돗물로 사용하고 그러나요?

 

13. 그럼 우리가 수돗물 받아서 끓여 먹는거도 다 저런물인지 보리차 이런거는 왜 넣나요 물맛 좋으라고하는건지? 그리고 우리가 생수 사먹잖아요? 그건 어떻게 정화된건가요 위에 방식대론가여?

 

물 종류가 많아서 헷갈리네요 성실하게 제가 묻는거에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해주신분에게 내공 드리겠습니당..


#고등학교 화학1 #고등학교 화학1 교과서 pdf #고등학교 화학1 목차 #고등학교 화학1 실험 #고등학교 화학1 화학2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상수가 어떤걸 말하나요? 강물 이런건가요? 설명부탁드림..

상수는 수돗물을 말합니다. 

 

2. 정수기와 수돗물의 정수과정을 비교해보자도 있는데 어떤건지..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해서 정화합니다. 또 수돗물은 스크린, 침전지, 침사지, 약품첨가, 침전지등을 이용해서 정화됩니다. 스크린은 물에 떠있는 큰 이물질을 제거하고 침전지는 비중이 물보다 큰 큰 입자들을 떨어뜨립니다. 침사지는 그 보다 더 작은 입자를 제거하고 약품첨가(응집제) 미립자를 응집시켜 침전시킵니다. 약품첨가(염소가스)는 살균작용입니다.

 

3. 가정에서사용하는염소계표백제와산정세정제를섞어서욕실이나화장실청소를하면안되

 는이유는 무엇인가?

두 약품이 반응해서 염소가스가 발생됩니다. 독성가스죠. 이걸...세계대전에 화생방 무기로 사용되기도 했을정도입니다.

 

4. 철수 : 수돗물속에는물이공급되는과정에서번식할수있는박테리아같은미생물의증식을억제하기위해넣은일정농도의염소성분이녹아있기때문에끓여먹는것이좋아

영희 : 그래도물을끓이면물속에녹아있는산소가모두없어지잖아산소가녹아있는물이더좋은물아니겠니물에산소가없어봐물고기들도살수가없잖아

 

물을 끓이면 염소성분과 산소성분이 날아갑니다. 하지만 인간의 경우 산소는 호흡을 통해서 충분히 얻어집니다. 이로운 물질은 호흡을 통해 충분히 얻을수 있으므로 해로운 물질인 염소를 날려버리는게 더 좋겠네요. 하지만 물고기의 경우 염소가 있어서도 안되고 산소가 없어서도 안됩니다. 따라서 수돗물을 사용하면 안되겠죠. 끓여서도 안되겠구요. Tip으로 어항에 물을 갈아줄때는 수돗물을 큰 통에 담아 3~4일간 햇볕에 방치해두면 물고기가 살기 좋은 조건이 된다는군요.

 

4.1.이게 대화인데요.. 질문이 물을끓이면 염소성분이 사라진다는 것을 확인 할수있는방법을 찾아 실제로 실험해보자 인데.. 어떤 실험을 할수있나요??

 염소는 Ag+(은이온)과 만나면 AgCl(염화은)을 형성하여 하얀색 입자로 떨어지니다. AgNO3와 같은 화합물을 구해서 수돗물에 넣어 잘 저어주세요. 흰색입자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4.2.그리고 진희주장에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자 라는데?? 어떤걸 내걸수 있는건가요??

영희 주장을 말하는거겠죠? 4번질문 답으로 설명해드렸습니다.

 

4.3. 근데 철수가 말하는거는 우리가 먹는물인데 끓여 먹으면 된다는거고 영희는 우리가 먹는물이 아닌데 그냥 물고기사는물인데 저 대화가 말이되는건가요?? 서로 다른 물에 대한 얘기를하는거같은데.. 어떤가요?

질문에 동의합니다. 사람이 사용할물과 물고기가 사용할물은 조금 다릅니다. 사람이 먹을 물에 산소는 있으면 좋지만 그리 중요한 요소가 되는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만 물고기는 사느냐 죽느냐문제죠 ^^;

 

5. 이건 그냥 질문 있는거 같은데 수돗물을 어떻게 마실것인가?

상수도(수돗물)은 사람이 바로 먹을수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그냥 먹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염소소독에 대한 문제점으로 휴믹산이라는게 있는데요. 염소와 조류에서 나오는 물질이 반응해서 발암물질인 휴믹산이 나오게되는데요. 혹시 수돗물에 미량이라도 들어있다면 좀 그렇죠? 특히 수돗물에 비린내가 난다면 이 물질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걱정마세요. 휴믹산은 온도에 약해서 물만 끓여준다면 쉽게 제거됩니다. 따라서 물을 끓여드시는걸 추천합니다. 또 보리차 같은 물질을 첨가해 드시면 향 또한 좋아지겠죠?

 

6. 어떤방법으로거품발생정도를비교할것이가장적절할까?(이거는 막 여러 용액들 있고 그런데 거기에 비누를 잡아 넣는거거든여.. 단물센물할때 하는거염.. 비교 어떻게 해야하나요 막 시험관에 넣어서 흔들던데 그냥 눈으로 비교하는건 아니겟죠?)

 거품을 만들어보세요. 눈으로 쉽게 확인할수 있습니다.

 

7. 발전소에서는바닷물을냉각수로사용하는데냉각과정에서온도가높아진물이바다로흘러나간다온도가높은물이바닷물을어염시키는이유는무엇인가?

발전소에서 바닷물을 냉각수로 이용하나요? 염이 많은 바닷물을 냉각수로 이용한다는건 처음 듣는 소리군요 ^^; 공업용수를 사용할텐데.....

여튼 답변입니다. 온도가 높은 물이 바닷물을 오염시키는 이유가 정확한 질문이겠죠? 오염이란 기존 생태계를 깨트리는것입니다. 뭐 더러워지고 냄새나고 그런것도 오염이지만 있어야할것들을 죽이는것도 오염이죠. 온도가 높은 바닷물이 그대로 바다에 유입되면 주위 온도가 높아져 바닷물의 용존산소량이 작아지게됩니다. 즉 물속에 산소가 자가진단느거죠. 따라서 물고기나 미생물들이 질식하게됩니다. 작년 어느 도시 천에서 잉어들이 집단 질식사가 일어났었는데요 그 이유는 한여름 온도가 너무 높아져 물속 용존산소량이 줄어들었기때문이라는군요.

 

8. 장마철폐수방류가 안좋은 이유는 무엇인가?

정화작용하시죠? 자연스스로 오염을 정화한다는것입니다. 물의 경우 강에 최대한 오랫동안 머물러야 정화가 잘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동서고도차가 커서 물이 빠르게 육지에서 바다로 빠져나갑니다. 그만큼 정화할수있는 시간이 짧아져 바다로 오염물질이 쉽게 유출되는데요. 장마철이면 비가 한번에 많이 내리게되어 잛은 정화시간이 더 짧아지게됩니다. 따라서 장마철 폐수방류는 정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곧 바로 바다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것이기 때문에 쉽게 바다를 오염시킬수 있는 원인이됩니다. 

 

9. 석회암지대가 많은유럽에사는사람들은물을끓여먹는다 그이유는?

석회암지대의 물은 탄산칼슘이 많이 녹아 있는 센물입니다. 센물을 단물로 바꾸기 위해서 끓여주면 됩니다. 그러면 온도가 높아진 물에 칼슘이 녹아있지 못하고 용기 바닥에 가라앉게되는데요. 그렇게되면 단물로 되는거죠. 냉온수기에 있는 석수등을 한번 오랫동안 끓여보세요 물에 녹아있는 Ca이 빠져나와 바닥에 가라앉아있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10.센물에비누를더많이 넣게 되면 어케될까 센물을 사용하여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뻣뻣해진다고한다 그이유는?(이거는 수돗물은 단물이잖아요 근데도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뻣뻣해지잖아요 근데 센물로 감아도 그렇다는건가요 무슨말인가요?)

 글쎄요 이건 잘 모르겠군요.

 

11. 그리고 책에 있잖아요 물맛은 센물이 단물보다 맛있다던데 교과서에서요

그럼 마실물은 단물대신 센물을 마셔도되는건가요? 센물이 안좋은 이유는 단지 비누가 안풀리는 그 이유하나인가요?

 복통 및 설사를 유발합니다.

 

12. 그리고 우리가 먹는 물이 상수정화 뭐 침사지 침전지 염소소독 이런거 한거도 수돗물로 사용하고 하수정화한거 포기조 하고 염소소독이런거 하는거 잇잖아요 그거도 수돗물로 사용하고 그러나요?

수돗물은 우리가 먹기위한 물입니다. 하수란 축산폐수, 공장폐수, 생활폐수등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더군다나 거의 대부분 포기조를 이용한 미생물처리를 하는데 미생물이 득실대는 그런물을 먹기는 좀 꺼림직하겠죠?  질문자께서는 똥물 정화해서 먹으라고하면 드실수있겠어요? ^^ 전 못 먹습니다!!

정화된 하수는 곧바로 강으로 방류되거나 공업용수로 활용됩니다. 

요즘 큰 건물이나 아파트에서 생활하수를 정화해 2차 상수로 사용된다고 하더군요. 이 2차상수는 먹는식수로 사용되는것이 아니라 화장실 변기에 사용되는 물로만 사용하는것입니다. 이렇게되면 수돗물 많이 아껴지겠네요^^

 

 

 

13. 그럼 우리가 수돗물 받아서 끓여 먹는거도 다 저런물인지 보리차 이런거는 왜 넣나요 물맛 좋으라고하는건지? 그리고 우리가 생수 사먹잖아요? 그건 어떻게 정화된건가요 위에 방식대론가여?

수돗물 받아놓은것은 무조건 상수도입니다. 하수처리된 물은 집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간혹 요즘 설치된 큰 건물이나 아파트에는 간단한 하수처리장치를 마련해 생활하수를 제 2 상수도로 사용됩니다만 이 물은 변기용으로만 사용되게 파이프를 설치합니다.

보리차는 조상님들게서 맛이 좋게하기위해 쓰신거지만 연구결과 보치차는 맛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성질이 뛰어난것을 나타났습니다. 일반 보리보다 살짝 구운 보리가 더 오염물질 흡착능력이 뛰어나다고 하더군요. 물속에 있는 미생물이나 오염물질을 보리가 잡아둔다고하니 보리차드실때 혹시라도 보리알갱이는 드시지 마세요~~

생수는 보통 암반수를 사용합니다. 빗물이 땅속에 스며들어가면서 정화가 되어 물속에는 이미 깨끗한 물로만 존재하게됩니다. 또한 지하수는 암반속에 갇혀있기때문에 쉽게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깨긋한 상태로만 유지됩니다. 하지만 이런 암반수도 너무 많은 관을 뚫어놓고 제대로 막아두지 않아 흙을 정화과정을 통하지 않고 관을 통해 오염물질이 바로 들어와 오염된 것이 많다고 하더군요. 따라서 요즘 시판되는 물은 간단한 필터를 통해 정화과정을 거친다고 알고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상수가 어떤걸 말하나요? 강물 이런건가요? 설명부탁드림..

상수는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말합니다. 

 

2. 정수기와 수돗물의 정수과정을 비교해보자도 있는데 어떤건지..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해 물을 정화시키고, 수돗물은 자연정화 및 몇가지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정수합니다.

 

3. 가정에서사용하는염소계표백제와산정세정제를섞어서욕실이나화장실청소를하면안되

 는이유는 무엇인가?

정확히 어떤 화학반응인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 두가지를 섞을경우 화학반응을 합니다.  그래서 인체에 유해한 기체가 발생합니다. 

 

4. 철수 : 수돗물속에는물이공급되는과정에서번식할수있는박테리아같은미생물의증식을억제하기위해넣은일정농도의염소성분이녹아있기때문에끓여먹는것이좋아

영희 : 그래도물을끓이면물속에녹아있는산소가모두없어지잖아산소가녹아있는물이더좋은물아니겠니물에산소가없어봐물고기들도살수가없잖아

 

4.1.이게 대화인데요.. 질문이 물을끓이면 염소성분이 사라진다는 것을 확인 할수있는방법을 찾아 실제로 실험해보자 인데.. 어떤 실험을 할수있나요??

 오래되어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만....염소와 반응하여 침전하는 염으로 확인할 수 있을꺼 같습니다.

 

4.2.그리고 진희주장에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자 라는데?? 어떤걸 내걸수 있는건가요??

안타깝지만 진희의 주장이 없군요..-0-

영희의 주장대로라면...물론 산소가 있으면 좋을지 모르지만, 유익한거 보다는 유해한 성분을 없애는것이 좋고, 어짜피 물고기는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기때문에 끓이지 않은 물이라도 산소의 공급이 필요합니다.

 

4.3. 근데 철수가 말하는거는 우리가 먹는물인데 끓여 먹으면 된다는거고 영희는 우리가 먹는물이 아닌데 그냥 물고기사는물인데 저 대화가 말이되는건가요?? 서로 다른 물에 대한 얘기를하는거같은데.. 어떤가요?

철수가 끓여먹어야 한다는 말을 하자 영희는 끓이는 도중에 산소도 증발하기 때문에 산소증발을 막기 위해서 끓이면 안된다는 말을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5. 이건 그냥 질문 있는거 같은데 수돗물을 어떻게 마실것인가?

(위에 꺼랑 관련된거같은데)수돗물은 정수기를 사용해서 정화시켜서 먹거나 반드시 끓여 먹는것이 좋습니다. 정부에서는 수돗물을 그냥 먹어도 크게 지장이 없다고 하지만, 조금이라도 안전하게 드시려면 끓여 먹는것이 좋습니다.

 

6. 어떤방법으로거품발생정도를비교할것이가장적절할까?(이거는 막 여러 용액들 있고 그런데 거기에 비누를 잡아 넣는거거든여.. 단물센물할때 하는거염.. 비교 어떻게 해야하나요 막 시험관에 넣어서 흔들던데 그냥 눈으로 비교하는건 아니겟죠?)

 단물 센물은 눈으로 비교해도 뚜렷이 구분이 됩니다. 아니면 시험관을 이용하여 거품의 높이를 측정하는거도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7. 발전소에서는바닷물을냉각수로사용하는데냉각과정에서온도가높아진물이바다로흘러나간다온도가높은물이바닷물을어염시키는이유는무엇인가?

바다 주변의 물에는 많은 미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온도가 높은 물이 유입되면서 그 주변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미생물이 살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되겠죠...

 

8. 장마철폐수방류가 안좋은 이유는 무엇인가?

장마철이 아니래도 폐수방류는 좋지 않습니다.-0- 하지만 장마철에 물이 불어나고 유속이 빨라지게 되면 하천의 바닥에 있던 오염물질들이 올라오게 됩니다.

뉴스등을 보셔서 알겠지만, 물이 흙탕물이되죠.. 그렇게 되면 물은 정화능력이 줄어들게 되고(정화해야할것들이 늘어나게되죠) 그때 폐수의 방류는 설상가상의 상황이 되는것이죠... 그래서 더 않좋습니다.

 

 

9. 석회암지대가 많은유럽에사는사람들은물을끓여먹는다 그이유는?

석회암지대의 물은 탄산칼슘이 많이 녹아 있는 센물입니다. 센물을 지속적으로 마실경우 복통등을 유발할 수 있기때문에 센물을 단물로 바꾸어 마시는것이고, 끓이는 이유가 이 센물을 단물로 바꾸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10.센물에비누를더많이 넣게 되면 어케될까 센물을 사용하여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뻣뻣해진다고한다 그이유는?(이거는 수돗물은 단물이잖아요 근데도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뻣뻣해지잖아요 근데 센물로 감아도 그렇다는건가요 무슨말인가요?)

 

 

11. 그리고 책에 있잖아요 물맛은 센물이 단물보다 맛있다던데 교과서에서요

그럼 마실물은 단물대신 센물을 마셔도되는건가요? 센물이 안좋은 이유는 단지 비누가 안풀리는 그 이유하나인가요?

 9번에서 말한것 처럼 센물을 마시게 되면 복통 및 설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12. 그리고 우리가 먹는 물이 상수정화 뭐 침사지 침전지 염소소독 이런거 한거도 수돗물로 사용하고 하수정화한거 포기조 하고 염소소독이런거 하는거 잇잖아요 그거도 수돗물로 사용하고 그러나요?

 

 

13. 그럼 우리가 수돗물 받아서 끓여 먹는거도 다 저런물인지 보리차 이런거는 왜 넣나요 물맛 좋으라고하는건지? 그리고 우리가 생수 사먹잖아요? 그건 어떻게 정화된건가요 위에 방식대론가여?

보리차를 넣는 이유는 여러가지겠지만, 보통 수돗물은 끓여서 그냥먹을 경우 맛이 그리 좋지 못합니다. 특유의 냄새가 나기때문에 보리차를 넣어서 그 냄새를 없애는것이기도 하고, 끓이는 김에 건강을 생각해서 넣기도 하는거라 생각됩니다.

또한 생수는 수돗물과는 다른 처리를 하지 않아도 깨끗한 물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쉽게 말하면 약수터의 약숫물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하지만 약숫물과는 조금 다르게 수질오염이 없는 지하수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화학1 물부분.. 정화단물센물...

... 센물이 안좋은 이유는 단지 비누가 안풀리는 그 이유하나인가요? 12. 그리고 우리가 먹는 물이 상수정화 뭐 침사지 침전지 염소소독 이런거 한거도 수돗물로 사용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