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수와 분자수 구하는거요:)

원자수와 분자수 구하는거요:)

작성일 2004.01.0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책에 있는 문제인데요..

1. 수소 1g속의 수소 원자수

2. 질소28g속의 질소 원자수

3. 산소 16g속의 산소 분자수

4. 염화나트륨 58.5g속의 Na+수

5. 이산화탄소 22g 속의 탄소 원자수

여기서요//

답이 1. 1/2mol 2. 2mol 3. 1/2mol 4. 1mol 5. 1/2mol

이라고하는데요-

원자수항 분자수는 어떻게 구하는거에요?답이 어떻게 나온건지 모르겠어요ㅠ_ㅠ

3번같은 경우에-분자수는 1/2mol이고 원자수는 1mol이라고 하는데ㅠ_ㅠ

에긍,,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 ^


#원자수와 분자수 차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원자량과 분자량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봅시다..
원자량은.. 그 원자의 수가 1mol(아보가드로 수.,.6.02×10²³개..)일때 그 원자의 질량이구..
분자량 역시 마찬가지구 입자수가 1mol개일때 질량입니다..

기본적인 몇개의 원자량과 그것이 분자를 이룰때의 분자량 정도는 알아두는게 좋죠..
수소 원자량(1) 분자량(2) : 수소는 원자 2개가 모여서 1개의 분자를 이룹니다..
산소 원자량(16) 분자량(32) : 산소역시 원자 2개가 모여서 1개의 분자를 이루죠
질소 원자량(14) 분자량(28) : 질소도 마찬가지죠.
탄소 원자량(12) : 탄소는 보통 원자상태로 존재하며..다른 원소와의 화합물로 존재하구.. 탄소끼리는 일정한 수로 결합하지 안으므로.. 원자량만 알믄 됩니다.
염소 원자량(35.5) 분자량(71) : 염소 역시 2원자가 1개분자를 이룹니다.
나트륨 원자량(23) : 나트륨은 탄소처럼 다른 원소와 결합한 상태가 많죠.. 분자량은 의미가 없습니다.

그럼 천천히 뜯어봅시다.
1. 수소 1 g의 원자수
수소 1 g 은 기체상태로 존제하는것이죠..
수소 1 mol 이 2 g 이니까...(분자량을 보죠.)
수소 1 g 의 분자수는 0.5 mol 이구요..
수소1분자는 2원자로 이루어 졌으므로.
수소 1 g 속에는 원자가 1 mol 이 있는 것이죠..
(이건 문제가 틀린듯한... 1/2mol이 나오려면.. 원자수가 아니구 분자수를 묻던가 해야 하는데... 원자수를 묻는다면 1mol이 맞습니다..)

2. 질소 28g의 질소원자수
질소 28g는 분자 1 mol입니다
질소분자는 2개의 질소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속에는 2mol의 질소원자가 존재합니다..

3. 산소 16g의 산소분자수
산소 16g에는 1/2mol의 산소분자가 존제하죠,,,(산소 원자량이32이니까요.)

4. 염화나트륨 58.5g 속의 Na+수
염화나트륨은 1개의 나트륨과 1개의 염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나트륨 원자량은 23이구. 염소 원자량은 35.5인데..
이것이 한개씩 결합할때 그 결정의 화학식량(분자량, 원자량 말구 여러개 잇습니다만,, 이것은 시간관계상 생략,,,)은 58.5.이므로..
염화나트륨 58.5g에는 나트륨이 1mol, 염소가 1mol 존재합니다..

5. 이산화탄소 22g의 탄소원자수
이산화탄소는 1개의 탄소와 2개의 산소원자가 모여 이루어진 화합물로,.
1개 분자의 분자량은 12 + 16 + 16 = 44이므로..
22g속에는 1/2mol개의 이산화탄소 분자가 존재하구
1분자당 탄소원자가 1개씩이니..
1/2mol의 탄소원자가 존재합니다...


기본적으로.. 화학에서 원자량 분자량은..
많이 나오는 것들의 수치만 알구..
한개의 분자는 몇개의 어떤 원자루 이루어 졌는지만 알면.
쉽게 구할수 있습니다..
이상.. 화학공학과 지망생인 학생의 답변입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원자수나 분자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원자량과 분자량만 알면 되요.
원자량은 원자의 질량이고 분자량은 분자의 질량입니다.
1.수소의 원자량은 1이니까 수소 1그램은 1몰입니다. 답이 잘못된것 같군요.
수소는 공기중에 H2로 존재하죠. 즉 분자로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분자량은
2이고, 1그램은 0.5몰입니다. 그러니까 원자는 H를 말하고, 분자는 H2를 말합니다.
참고로 수소를 뺀 나머지의 원자량은 원자번호에 두배만 하면 거의 맞습니다.
2.질소는 7번, 원자량은 14죠. 근데 28그램이니까 2몰입니다.
질소도 분자는 N2니까 분자량은 28이 돼겠죠. 그래서 28그램은 1몰입니다.
3.산소는 8번, 원자량은 16이죠. 16그램이니까 1몰입니다.
산소의 분자도 O2니까 분자량은 32이죠. 16그램은 0.5몰입니다.
4.염화나트륨은 NaCl이죠. 나트륨의 수를 알려면 나트륨의 원자량과 염소의 원자량을
알아야 합니다. 나트륨의 원자량은 정확하게 22.99이고, 염소의 원자량은 35.45입
니다. 그러므로 염화나트륨 58.5그램 속의 나트륨은 1몰이 들어있습니다.
5.이산화탄소는 CO2죠. 산소는 16번이니까 32이고, 탄소는 6번이니까 12입니다.
즉 이산화탄소 1몰의 분자량은 44가 되어야 하지요. 근데 22그램이니까 이것은
이산화탄소 0.5몰에 해당합니다. 탄소의 수는 이산화탄소의 분자수와 같으므로
탄소의 수는 0.5몰입니다.
잘 이해가 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원자수와 분자수 구하는거요:)

... 1/2mol 이라고하는데요- 원자수분자수는 어떻게 구하는거에요?답이 어떻게 나온건지 모르겠어요ㅠ_ㅠ 3번같은 경우에-분자수는 1/2mol이고 원자수는 1mol이라고...

원자수 분자수 구하는방법

... 원자수는 저렇게해서나온 분자수x총원자수 인가요? 총원자수는 분자식에서 있는 수 세면되는건가요? 각 질문에 알기쉽게 답변좀 해주세요 ㅜㅜ 간단히 말씀드려...

몰수는 원자수,분자수와 같은 건가요?

... 1g안에 있는 원자수, 분자수 구하는 방법과 풀이 좀 해주세요 몰 수는 원자수 분자수와 같은게 아닙니다. 하지만 화학 식 속에 있는것들을 계산할때 몰, 원자수...

단위부피당 원자수 질문이요ㅜ

단위부피당 원자수는 어떻게 구하는 건가요? 원자수를 부피로 나눈 값입니다.... 원자수=분자수×분자 하나당 원자수 예를 들어 0도, 1기압에서 CO2 1몰이라 하면...

몰수랑 분자수는 같은 건가요

... 분자량이고 분자수도 질량/분자량인데 그럼 같은 ... (입자수에는 원자수도 있고, 분자수도 있음) 다만... 따로 구하는 것입니다. 44g 안에는 C가 12g, O가 32g 들어...

원자수와가전자수

... 체적당결정 실리콘내의 원자수구하는 것입니다.. 좁 도와주세요... 398*10^-15g 1몰의 분자수 = 28.1g 이므로 1.398*10^-15/28.1 =4.975*10^-17 mole 1몰의 원자수...

0도 1기압에서 CO2 1몰의 수소 분자수...

... 수소 원자수 구하는 방법은 알겠는데 분자수는 이해가 안돼요... 물 분자 자체가 1덩어리인데 수소분자라고 따로 분리를 해서 구할 수가 있는거예요...?ㅠㅠ CH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