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100ml의 표면에 있는 물분자 갯수는?

물 100ml의 표면에 있는 물분자 갯수는?

작성일 2003.05.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컵에 물이 100ml 담겨있다면 그 담겨있는 물의 표면에 있는 물 분자의 갯수는요?

표면장력을 배우다가 물의 표면에 있는 물분자의 갯수를 구하는 과제가 있어서요.

물의 분자량과 옴?을 이용한다던가..그렇던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물 분자의 크기 임니다

알칼리수
- 54hz

장수촌
- 68 ~ 80hz

온천수(미네랄수)
- 80 ~ 94hz

수돗물
- 90 ~ 122hz

우물물
- 105~117hz

증류수
- 118hz

빗 물
- 119hz

나머지는 보조 자료임니다.


1. 물의 구조
물은 두 개의 수소와 한 개의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화학식은 H2O이며 분자량은 18이며
수소(원소기호 1, 원자량 1) 2개
산소(원소기호 8, 원자량 16) 1개
두 개의 수소원자 사이에는 105도 각도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고체, 액체, 기체상태의 세가지 물의 성상을 우리가 생활하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각각의 성상에서 물분자의 존재 상태는 여러 형태로 달라 집니다. 고체상태인 얼음결정 속에서
는 수소결합에 의한 육각결정구조를 기체상태인 수증기 속에서는 각각의 독립된 분자로 존재
하는 특성이 있으며 액체 상태에서의 물은 공유결합과 수소결합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소결합은 물이 아주 다양하고 특이한 성질을 갖게 합니다.



2. 물의 형태
물은 3가지 형태로 존재합니다. 고체 상태인 얼음, 액체 상태인 우리가 보통 이야기하는 물,
기체 상태인 수증기로 존재합니다.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는 것을 융해, 반대로 물이 얼음으로 되는 것을 응고, 물이 수증기가
되는 것을 기화, 반대로 수증기가 물이 되는 것을 액화, 얼음 표면을 눈 여겨 보면 적은 양의
수증기가 보이는데 이와 같이 고체에서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되는 것을 승화,
반대로 기체에서 바로 고체로 되는 것도 승화라고 합니다.
물의 세가지 형태를 서로 변화하게 하기 위해서는 열이 필요하며 변화 용어에 '열'자을 붙여
사용합니다. 물이 수증기가 되는 데 필요한 열을 기화열, 얼음을 녹이는 데 필요한 열을 융해열
이라 하며 융해열은 80Kcal/Kg℃로 매우 크기 때문에 이 세상에 존재하는 생물체들이 쉽게 얼어
버리지 않고 살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물은 0℃의 어는 점과 100℃의 끓는 점 사이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온도의 범
위가 매우 넓어 많은 생물들이 생활하기에 아주 적합한 매체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



3. 물의 성질
우리가 매일 쓰고 있는 물은 참으로 많은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1) 녹이는 성질
물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물질 중에서 가장 우수한 용매라 할 수 있습니다. 물 속에는 많은
물질들이 녹아 있으며 사람이나 모든 생명체들은 자신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그것을 이용합
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은 모든 생명체의 생명을 유지하는 원천이며 그래서 우리는 많은 곳에
서 라는 글귀를 보게 됩니다.
물이 모든 물질을 다 녹일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물질들이 아주 적은 양이나마 물
에 녹으며 이렇게 물이 모든 물질의 용매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물의 분자 구조상 두 개의 수소
원자가 105도의 각으로 결합되어 한쪽은 양의 전하가 세고 한쪽은 음의 전하가 세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하수에는 많은 양의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는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드는 동안 토양 속에 들어 있는 미네랄 물질들을 물이 용매로 작용하여 녹여
들어간 까닭입니다.

2. 표면장력(Surface tension)
이 세상의 모든 물질들은 서로 당기는 힘이 있습니다. 물에서도 물 분자사이에는 물 분자끼
리 모든 방향에서 서로 끌어당기는데 이 힘을 응집력이라 하며 물 분자와 과 다른 분자사이에
당기는 힘을 부착력이라 합니다. 그런데 이 응집력과 부착력은 같지 않기 때문에 이 힘의 차이
로 생기는 힘이 표면장력입니다.
이른 아침 나뭇잎에 이슬방울이 맺혀있는 것을 종종 봅니다. 이슬 방울이 동글동글한 것은
물 분자 사이에 당기는 힘인 응집력과 물 분자와 공기 분자가 당기는 힘인 부착력 중 응집력이
훨씬 크기 때문에 이슬 방울이 동글동글한 것입니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물이나 물 위로 튀어오르는 물방울이 다 같은 성질때문입니다.

그런데 물이 담긴 그릇에 쇠못을 담그었다가 위로 당기면 물이 못에 달라붙는데 이러한 현상
이 표면장력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물과 공기사이의 표면장력은 본질적으로 물 단독
의 성질이 되는 셈입니다.

3. 모세관 현상
물 속에 가느다란 관을 세워 놓아보면 관속으로 물이 따라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관 속에 들어 있는 물의 무게보다 관 표면과 물 분자 사이에 발생하는 부착력이 크기 때문에 생
기는 현상이며 이를 모세관현상이라 합니다.

4. 밀도(Density)
"솜 1Kg과 쇳덩어리 1Kg 중 어느 것이 무거울까?"
가끔 이런 질문을 장난 삼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떨결에 쇳덩어리가 무겁다고 대답하
는 사람들을 종종 보는데 그것은 같은 크기에서 쇠가 무겁다는 인식이 깊이 박혀있기 때문입
니다.
밀도란 일정한 크기에서의 물체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로 즉 다른 물체의 질량과 부피사이
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물체들은 온도에
올라감에 따라 부피가 커집니다. 따라서 부피와 질량의 관계인 밀도도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물의 경우에는 4℃에서 밀도가 1.0Kg/ℓ로 가장 큰 값을 나타냅니다. 즉 4℃에서의 물이 얼음
보다도 그 보다 온도가 높은 물보다도 무겁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물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현상들을 우리는 일상에서 종종 보게 되는데 남극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나 겨울이 되면 강에 얼음이 강 표면에서부터 얼기 시작하는 것 등이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물은 4℃까지 밀도가 상승하다가 다시 온도가 높아질수록 밀도가 낮아집니다.그러므로
여름에 호수의 물은 밑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 안정화되어 있습니다. 가을을 지나 겨울이 다가
오면 호수 표면의 물의 온도가 점점 낮아져 물이 무거워지면 표면의 물들은 호수 바닥으로 움직
이고 아래의 물들은 상대적으로 가벼워져 표면으로 올라오는 물의 순환을 한번 일으킵니다.
이러한 자리 바꿈 현상을 Turn Over라 합니다.

물 100ml의 표면에 있는 물분자 갯수는?

컵에 물이 100ml 담겨있다면 그 담겨있는 물표면에 있는 물 분자갯수는요? 표면장력을 배우다가 물의 표면에... 빗 - 119hz 나머지는 보조 자료임니다. 1. 물의 구조 물은...

물의 표면장력

... 이때 물이 넘치지않을때까지 넣을 수 있는 동전의 갯수도 다를까요? 3. 물의 표면... 되는데 속에 원래는 물 분자 - 물분자간 인력때문에 표면장력이 강한데, -소금(Na+와...

표면과 전체상태의 물분자갯수비율..

... 표면에 있는 물분자 갯수가 극히 작아서 전체 물분자 갯수에 비해 무시될수 있다고 하는데.. 각각의 물분자갯수를 어떻게 구하나요? 전체 물분자 갯수는 물의 질량 나누기...

[화학전공하신 분들] 물과 그밖에 화학...

... 깨진 물분자()속에 육각형구조를 이루고 있는 물분자... 밀폐된 공간에 1기압,20℃의 물 100ml가 있을때, 그냥... 물은 100도씨에서 끓습니다만은, 물의 표면에서는...

물질의 상태변화(중1과학)

... 50mL와 에탄올 50mL를 그림과 같이 혼합하여 부피를 측정하였더니 전체 부피가 100mL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이 실험 결과를 알 수 있는 사실은?답: 3번 1 물과 에탄올은 잘...

고3-화1- !! 내공 20드려요~

... 순물질과 혼합물의 차이는 그 물질을 이루고 있는... 수소의 갯수가 적습니다. 따라서 물이 에탄올보다 강한... 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분자간의 인력에 의해 그 표면적을...

화학2 문제 질문

... 물분자는 몇개나 들어 있는가? (참고, 물의 밀도는 1.0g/mL, 지구 반지름은 6400km로 하고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 있는 시약 4가지로 같은 농도의 용액을 각각 100ml...

고등학교 <화학1>수준의 화학질문인데요...

... 뭐 이놈들하고 반응하는것들은 전부 물에 녹을수있는것... 원자의 갯수와 종류는 변하지 않잖아요.. 만약 중간에... 따라서 표면에서의 물분자의 수소결합을 약하게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