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간 인력과 밀도와의 관계

분자간 인력과 밀도와의 관계

작성일 2004.07.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생각을 잘못 하고 있는 지는 모르겠지만....
분자간 인력이 크면 부피는 상대적으로 작으니깐.. 밀도는 커진다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잘못되었다면 어디가 잘못되었고 밀도는 부피분의 질량이니깐 부피를 결정하게되는 원인이 무엇인지 자세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이해할수 있을 정도로 설명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밀도와 분자간의 인력간의 관계는 굳이 연결시키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분자간 인력은 주로 분자간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액체내에서 관찰하는데(기체나 고체에서 분자간인력을 논하지는 않습니다)

분자간 인력은 액체내에서 용액의 안정성과 비례합니다.
분자간 인력이 크면 용액의 안정성도 증가하지요..

그런데 밀도를 결정하는 인자는 부피와 질량이고 액체상태에서 분자간 인력이
이 두가지 인자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분자량이 커서 상대적으로 분자간 인력이 크다면 부피변화에 비해 질량변화가 훨씬 크므로 밀도가 증가하긴 하겠지만 이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치이므로 밀도와 분자간 인력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은 상관관계라고 생각됩니다..

보통 분자간 인력의 중요성은 용액의 증기압, 총괄성과 중요하게 연결됩니다

아 그리고 부피를 결정하는 인자는 기체상에서는 V=nRT/P 라는 공식에 의해서
결정되고요... (압력 온도 입자수의 영향) 액체나 고체상에서는 보통 온도에 따른 열팽창에 의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분자간의 인력이 커지면, 분자간의 간격도 조밀해져서 밀도가 커지는 것은 거의 사실입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물의 경우에 액체 상태인 4도씨에서 가장 밀도가 높고, 오히려 고체 상태의 밀도는 그경우보다 낮습니다. 이처럼 고체상태는 액체상태보다 분자간의 인력이 크다고 볼수 있지만, 물에서 본것 처럼 밀도가 반대인 경우가 종종 있구요. 그것은 물질고유의 특성이라 볼수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물질들이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피가 커짐으로 인해 같은 질량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밀도가 커진다고 알고 있구요. 물의 경우가 좀 특이한 경우 인것 같군요.

분자간 인력과 밀도와의 관계

... 이치이므로 밀도와 분자간 인력관계는 중요하지 않은 상관관계라고 생각됩니다.. 보통 분자간 인력의 중요성은 용액의 증기압, 총괄성과 중요하게 연결됩니다 아 그리고...

분자간 인력과 밀도 관계..

... 분자간 인력.. 밀도로 비교할수 없는건가요? 고체의 경우, 비교가 난감할 때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고체는 격자, 즉 결정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는 분자간 힘말고도 격자에...

분자 간 인력과 끓는점의 관계

분자 간 인력에 따라 끓는점이 바뀌는데 왜 그롷기 되늕 구채적으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1. 쌍극자 쌍극자 힘이 분자 간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분자 사이에는 원자 ...

분자의 운동과 분자 간인력관계

... 알려주세요ㅜㅜ 분자 운동의 활발함과 분자 간 인력은 서로 반비례하지 않습니다. 사실, 일반적으로 분자 운동이 활발할수록 분자 간 인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20]비열과 분자간 인력은 무슨관계죠?

분자간 인력이쌔다고 비열이 높다는건 아닌것같습니다 일단 예로 물은 기름보다 인력이약해서 끓는점은 낮으나 비열은 높습니다 도대체 비열과 분자간인력은 무슨관계일까???...

분자간인력이 강할수록 무거운가요??

... 다만 밀도분자간 인력이랑 관계가 있는거져. 그리고 무게는 밀도보다는 그 물질의 분자량에 비례한다는 말이 더 맞는 말이것 같아요ㅎㅎ. 아 맞다 그리고 고체보다 무거운...

분자간인력과 비열의 관계에서..

... 그리고 '분자간인력'과 '표면장력' 그리고 '비열' 의 상관관계를 알려주세요. 분자간 인력이 세다면 그만큼 많은 열에너지가 있어야 분자간 결합이 끊어지게 되는 것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