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물의 전기분해

중2 물의 전기분해

작성일 2024.04.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문제집에 물의 전기분해 실험이 나오는데
빨대 2개를 각각 (-)극과 (+)극에 연결하면 각각 수소, 산소가 발생한다고 해요
이때 (-)극과 연결된 빨대에선 전기분해를 한 후 기체는 수소만 발생하고 남은 물질은 분해안된 물과 수산화나트륨?인걸로 아는데 그럼 분해 이전에 전기분해 후에 발생한 수소와 결합해있던 산소는 어디에 있는건가요...........?
공기중에 수소랑 산소가 같이 기체상태로 존재하는건가요....? 너무궁금해요........ .. ....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되는데....

물이 전기분해되어 수소가 발생하면,

나머지 부분은 수산화이온이 됩니다.

2H2O + 2e- → H2 + 2OH-

중2 물의 전기분해

문제집에 물의 전기분해 실험이 나오는데 빨대 2개를 각각 (-)극과 (+)극에 연결하면 각각 수소, 산소가 발생한다고 해요 이때 (-)극과 연결된 빨대에선 전기분해를 한 후...

중2 물의 전기분해

문제집에 물의 전기분해 실험이 나오는데 빨대 2개를 각각 (-)극과 (+)극에 연결하면 각각 수소, 산소가 발생한다고 해요 여기서 둘다 전기분해를 하고 나면 기체는 수소만...

과학 중2 물의 전기분해 실험

... 혹시 전기 분해 실험에서 물의 양을 보고 판단한 것은 아닌지요. 기체는 물의 윗부분에 모이기 때문에 물의 높이가 아니라 빈 공간처럼 보이는 곳의 부피를 보고 판단해야...

중2 물 전기 분해 실험 관련 질문

전기 분해 실험에서 -극에선 수소 +극에선 산소가 발생하는데 왜 수소가 산소보다 2배 더 많이 발생한 건가요? 물의 분자는 수소 원자 2개, 산소 원자 1개로 이루어져 있고...

전기 분해 중2

전기분해를 하기 위해서 물에 수산화 나트륨을 녹이잖아요 그 이유가 순수한 물은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잘 흐르게 하기 위해서로 나와있는데 수산화 나트륨에는...

물의 전기 분해 실험

중2 과정에서 나오는 물의 전기 분해 실험에서 전류를 흘려주면 수소는 (-)극에, 산소는 (+)극에 모이는지 궁금합니다! 물이 전기분해되면 수소는 H+형태로 산소는 O2-형태로...

중2 과학 전기분해 실험 비상교과서

... 물의 전기분해 실험이라는 내용이 나왔는데 문제는 선생님이 단 한번도 언급한적이 없고 교과서에도 자습서에도 안나와서요.... 풀이를 보니 천재랑 미래엔 교과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