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상수 결정 실험

기체 상수 결정 실험

작성일 2024.03.2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사진과 같은 장치로 기체 상수 결정 실험을 할 때, 시약병과 비커에 있는 물의 수면 높이를 같도록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 과정이 시약병 내부의 기압을 외부 기압과 같게 하기 위해서라는데 어떻게 수면 높이를 같게 해주는 것만으로 시약병 내부와 외부의 기압을 같게 만들 수 있는건가요? 설령 수면 높이를 같게 만들더라도 외부와의 기압을 맞추려면 시약병과 비커에 담긴 물의 깊이?(혹은 길이?)가 같아야 할 것 같은데 실험에서는 그냥 적당한 높이의 물체에 비커를 올려놓는 것으로 해결하더라고요. 말이 장황했는데 결국 정리하자면 단순히 비커를 높은 위치에 올려 시약병과 수면 높이를 맞춤으로써 기압을 맞출 수 있다는 게 이해가 안 됩니다.


#기체 상수 #기체 상수 단위 #기체 상수 측정 실험 #기체 상수 측정 #기체 상수 구하기 #기체 상수 0.082 #기체 상수 r 단위 #기체 상수 단위 변환 #기체 상수 실험 #기체 상수 측정 및 탄산염 분석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물의 높이가 같다는 것은 내부와 외부의 평형이 맞았다는 것인데 만일 압력이 틀리면 물의 높이가 오르거나

내려가게 됩니다. 누르는 힘이 생기면 그압력에 의해 물의 높이가 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물의 높이를 다르게 해보면 압력이 차이가 생기는데 외부의 대기압과 같게 하려면 높이만 맞춰주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밀폐된 용기에 물을 넣고 위에서 진공으로 공기를 뽑으면 물이 차올라오게 되고

대기압으로 누르는 물의 높이는 무려 10m 에 이르게 되기 때문에 높이를 갖게 맞추면 아주 세밀하게 압력을

맞춘것이 됩니다.진공으로 된 유리관에 수은을 넣고 관으 높이를 높이면 76cm 에서 빈공간이 생기는데

이부분은 진공이 되고 압력이 대기압과 같은 760mmHg 가 되는데 이것을 물로 바꾸면 13.6배가 올라가기

때문에 10m 가 넘는 것입니다.(10332mmH2O)

이해가 되셨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기체 상수 결정 실험

사진과 같은 장치로 기체 상수 결정 실험을 할 때, 시약병과 비커에 있는 물의 수면 높이를 같도록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 과정이 시약병 내부의 기압을 외부 기압과 같게...

기체상수 결정실험(NaHCO3)

... 기체상수 결정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난관에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우선 NaHCO3를 가열해서 물과 이산화탄소를 생성되는건 알고 있습니다.다음에 어떻게 해야 할지...

기체 상수 결정 실험

다름이 아니라 기체 상수 결정 실험에서 다음 사진에서의 질문에 답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ㅠ 아시는 분은 빨리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 블로그에 정리해둔...

기체상수 결정실험이 무엇인가요

... 또, 기체상수결정실험 이란 것이 나와서 인터넷을 뒤지다가도 잘 모르겠어서 질문을 올립니다. 기체상수 결정실험이 무엇인가요? 또 그 과정을 상세히 설명해 주세요....

기체상수결정실험에서

기체 상수 결정 실험에서 산소 기체의 부분압력을 계산할 때, 대기압에서 물의 증기압을 빼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상포집했으니, 포집된 기체 안에는 산소뿐만...

기체상수결정실험에 대해서

기체상수결정실험을했는데 저희 조교가 PV = nRT에서 n값을 부피랑 질량 두가지방법을 이용해서 구해보고 부피가 더 가까운값이 나올거라고 했는데 정말로...

기체상수 결정실험 질문좀요

기체상수결정하는 실험을 하는데 pV=nRT 의 식을 가지고 계산을 할때 이상기체가 아닌 실제기체로 계산을 한다면 기체상수의 값은 이론값인 0.082보다...

기체상수 결정 실험

... 여기에서, R은 기체상수이다. 이실험에서는 산소 기체의 압력P, 부피VM물수N그리고 T를 측정하여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으로부터 기체 상수R을 계산한다. KCIO3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