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의 화학적 성질

물질의 화학적 성질

작성일 2024.03.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물의 분자식은 H2O이고, 과산화 수소의 분자식은 H2O2로 산소원자가 하나 더있는데 왜 물은 우리 몸에 무해하고 과산화수소는 우리 몸에 유해한가요? 화학적 성질이 바뀌면서 아예 다른 물질이 되어 그렇다고는 하는데 산소원자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물질의 화학적 성질 #물질의 화학적 성질 예 #물질의 화학적 변화 #물질의 특성 화학적 성질 #화학적 물질의 특성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히려 산소 원자가 추가 되었기때문에

반응성이 더 좋아진겁니다.

산소가 다른 물질을 태울때 필요한 원소잖아요.

같은 원리로 주변 세포를 화학적으로 태워버리기 때문에

산소가 추가된 과산화수소가 우리몸에 위험한 겁니다.

이런 식으로 원자 하나하나에 성질을 부여해서 해석하면,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식으로 해석이 다 가능합니다.

왜냐면 원자 그 자체로는 물질의 성질을 결정하지 않으니까요.

산소는 전기음성도가 높아서 전자를 뺏으려는 성질이 강한데,

물분자의 경우 산소 1개당 수소 2개가 붙어있어서,

전자를 충분히 뺏어서 만족한 상태입니다.

과산화수소는 산소 1개당 수소 1개가 붙어있다보니,

전자를 좀더 뺏고 싶어하는 상태죠.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전자를 가져오고 싶어하는데,

그 과정에서 세포의 구성물질을 파괴하기 때문에 우리몸에 해로운 것이죠.

화학적 성질

용해도, 산성중성, 화학반응참여 이런건 어떤 물질의 화학적 성질이 아닌가요? [설명] 1. 용해도 [1] 물 100g에 녹을수 있는 최대양(포화 용액) [2] 이는 그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 이런게 화학적 성질입니다. 어떤 물질과 만나서 다른 물질이 되는게 전부 화학적 성질입니다. 비금속 중에서 할로젠 원소는 1가 음이온을 형성하지만, 칼코젠 원소(16족)는...

들어가면 물질의 화학적 성질이 변하는...

... 정확히 표현하자면, 나노입자가 되어 화학적인 특성이 바뀌었다기보다는 나노입자의 '표면특성'이 바뀌어 벌크 상태의 물질과는 다소 다른 성질을 보인다 가 맞습니다.

물질의 화학적성질에 대해서

... "가 화학적성질인가요 물리적성질인가요? 화학적 성질이요. 물리적 성질은 모양이 바뀌는 거고 화학적 성질물질의 상태가 반응해서 변하는 거에요.

물질의 결정구조와 그 화학적 성격의 제어

... 물질의 화학적 성질은 성분이 아니라 결정구조라고 들었는데요, 제가 읽은 책에서는 결정구조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그 물질의 화학적 작용이 결정된다고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