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결합물질 수소와 플루오린

공유결합물질 수소와 플루오린

작성일 2024.03.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소와 플루오린이 만나서 공유결합물질이 되는거는 알겠는데요 저 위에 -가 의미하는건 무엇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는 음이온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BC-=[OH]- 입니다.

HF의 총 원자가 전자수도 8개(1+7)이지만 음이온이므로 OH-(6+1+1)이 맞습니다. 즉,

BC- 에서 B는 플루오린(최외각 전자 7개)이 아니라 전자 1개가 늘어난 산소(원자 상태에서는 6개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나, 자기 몫의 전자가 7개로 늘어나므로 - 1의 형식 전하 발생)입니다.

공유결합물질 수소와 플루오린

수소와 플루오린이 만나서 공유결합물질이 되는거는 알겠는데요 저 위에 -가 의미하는건 무엇인가요? -는 음이온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BC-=[OH]- 입니다. HF의 총 원자가...

극성물질공유,수소결합

... '물은 극성물질이고, 공유결합을 하며, 수소결합도 한다.' 여기서 시작되었는데요. 수소결합을 하는 물질들의 특성이 '수소이온과 전기음성도가 강한 플루오르, 질소...

공유결합 물질의 전기전도성

... : 염화수소 기체인 HCl같은 공유결합 물질은 위 "1)"의 예외에 해당하는 거의 예외적인 공유결합물입니다. 즉, HCl이 기체일 때는 이온이 아니나, 물에 녹는 순간, (용해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