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산화수법

화학1 산화수법

작성일 2023.12.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사진까지는 풀었는데
구리(Cu) 1몰이 충분한 양의 질산(HNO3)과 완전히 반응할 때, 이산화 질소(NO2) 기체 몇 몰이 발생하는지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의 식을 보시고 각 화학식 앞의 계수를 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과량의 질산, 그리고 1몰의 구리가 있다면

1몰의 구리, 1몰의 질산이 반응해 이산화질소 역시도 1몰 발생하게 됩니다.

계수비에 따라 반응하는 것입니다.

화학1 산화수 질문

... 알려주신다고 산화수를 배웠는데요(학교쌤) 근데 과산화물이랑 금속수소화물은 산화수가 -1이더라구요... H2O2 에서 O의 산화수를 보면 보통 O는 -2 로 되지만...

화학1 산화수 질문이요

산화수를 공부 인 학생입니다. 산화수를 풀다 니 이해가 어려운 부분들이 있어서... so4가 전체로 -2의 산화수를 가진다고 하는데 이게 어떤 원리인지를 모르겠습니다....

화학1 산화수질문

HClO3의 산화수는 왜 H는 +1 Cl은 +5 O는 2- 인가요 특히 Cl이 어떻게 +5가될수있죠???? 산화수 정확히 아는법좀 가르켜 주세요! 산화수를 결정하는 데에는 1. 단체를 구성하고...

(화학1) CCI4 산화수 구하는법

이거 산화수 구할 때 염소의 산화수가 (-1) 이라는데 왜 그런거죠? 답변 달아드리면... 염소하나당 산화수 -1을 가져야 곱하기 4해서 탄소의 산화수인 +4랑 합쳐서 0이 되겠죠?...

화학1 산화환원 반응

... 산화수가 변하지 않으므로 산화 환원 반응이 아니라고 하네요 산화수가 변하지 않는 걸 어떻게 아나요?... 반응은 산화수를 따지면 되는데, 탄산칼슘에서 칼슘과 탄소, 산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