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토비 일반화학 562 563 매우급함!!!!

옥스토비 일반화학 562 563 매우급함!!!!

작성일 2023.05.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동차 엔진에 있는 메탄올은 반응하기 전에 기체 상태여야 한다. 액체 메탄올의 몰 열용량은 81.6 K^-1mol^-1 이다.

액체 메탄올의 온도를 25.0℃로부터 정상 끓는점인 65.0℃로 높이기 위해 가해야 할 열을 계산해보면 102 kJ 이다.

 

메탄올이 일단 끓는점에 도달하면 증발하게 된다. 메탄올의 몰 증발 엔탈피는 38 kJmol^-1 이다.

1.00kg의 메탄올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열은 약 1.186*10^3 kJ 1.2*10^3 kJ 이다.

 

=> 1000g ÷ 32.04g/mol × 38 kJ/mol = 1.186*10^3 kJ

 

일단 메탄올이 증기 상태가 되면 메탄올은 공기 중의 산소와 다음 식에 따라 반응한다.

CH3OH(g) + 3/2O2(g) → CO2(g) + 2 H2O(g)

평균 결합 엔탈피를 사용하여 이 반응식에서 1mol의 메탄올이 반응했을 때 엔탈피 변화를 계산해보면 -508 kJ 이다.

 

65.0℃에서 엔탈피 변화는 25.0℃에서와 같다고 가정한다. 위 반응의 실제 엔탈피 변화는 -676.49 kJ 이다.


기체 메탄올 1.00kg이 일정한 압력하에서 공기 중에서 연소할 때 발생한 열을 계산해보면 2.11*10^4 kJ 이다.

(실제 엔탈피 변화 이용)

 

65.0℃에서 기체 메탄올 1.00kg이 연소하여 기체 CO2 H2O로 산화될 때 엔탈피 변화와 내부 에너지 변화의 차이를 계산해보면 H - ∆U = 43.9 kJ 이다.

 

이제 메탄올을 자동차의 실린더 내에서 연소시킨다고 생각.

실린더 반지름을 4.0cm라 하고 한 행정(stroke)에서의 피스톤의 동작 거리를 12cm라고 할 때 외부 압력 1.00atm에 대해 팽창하는 한 행정이 기체에 대하여 행한 일을 계산해보면 -0.60 L atm = -61 J 이다.



이거 풀이과정 좀 상세하게 알려주실 분?? 매우 급합니다...


#옥스토비 일반화학 #옥스토비 일반화학 pdf #옥스토비 일반화학 8판 #옥스토비 일반화학 7판 pdf #옥스토비 일반화학 7판 #옥스토비 일반화학 7판 솔루션 #옥스토비 일반화학 목차 #옥스토비 일반화학 답지 #옥스토비 일반화학 원서 #옥스토비 일반화학 7판 한글 pd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풀이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액체 메탄올의 열량 변화 계산:

온도를 25.0℃에서 65.0℃로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계산합니다.

ΔT = 65.0℃ - 25.0℃ = 40.0℃

q = m × C × ΔT

여기서, m은 메탄올의 질량이고, C는 메탄올의 몰 열용량입니다.

q = (1000 g / 32.04 g/mol) × (81.6 J/mol·K) × (40.0 K) = 1.2 × 10^3 kJ

메탄올의 증발 열량 계산:

1.00 kg의 메탄올을 증발시키기 위한 열량을 계산합니다.

q = m × ΔH_vaporization

여기서, ΔH_vaporization은 메탄올의 몰 증발 엔탈피입니다.

q = (1000 g / 32.04 g/mol) × (38 kJ/mol) = 1.186 × 10^3 kJ

메탄올의 연소 열량 계산:

기체 메탄올이 공기 중에서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계산합니다.

q = (1000 g / 32.04 g/mol) × (-676.49 kJ/mol) = -2.11 × 10^4 kJ

여기서, 엔탈피 변화 값인 -676.49 kJ/mol은 평균 결합 엔탈피를 사용한 값입니다.

실린더 내에서의 일 계산:

실린더 내에서 메탄올이 연소할 때, 한 행정(stroke)에서 행한 일을 계산합니다.

일은 외부 압력과 부피 변화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 = -P × ΔV

여기서, P는 외부 압력이고, ΔV는 부피 변화량입니다.

일 = -1.00 atm × (-0.60 L) = 0.60 L·atm = 61 J

엔탈피 변화와 내부 에너지 변화의 차이 계산:

메탄올이 연소하여 기체 CO2와 H2O로 산화될 때 엔탈피 변화와 내부 에너지 변화의 차이를 계산합니다.

ΔH - ΔU = 43.9 kJ

여기서, ΔH는 엔탈피 변화, ΔU는 내부 에너지 변화입니다.

이렇게 주어진 문제의 계산과정을 따라서 풀면 됩니다. 각 단계마다 주어진 값과 식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하면 됩니다.

제 블로그에 질문자님께서 찾으시는 지식이 많답니다^^ 놀러오세요!

https://taegy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