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산 강염기 중화점의 pH를 계산해보니 8.7 정도 나오는데 이렇게 나오는...

약산 강염기 중화점의 pH를 계산해보니 8.7 정도 나오는데 이렇게 나오는...

작성일 2023.02.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약산(아세트산)과 강염기(수산화나트륨)의 당량점의 pH를 계산해보니 8.7이 나왔어요.
전공 서적이나 인터넷을 보면 값이 9.2정도 나오던데.. 
계산해서 8.7이 나오는 경우도 있나요? 약산과 강염기 모두 0.1M 20mL로 해서 pH를 구했어요.

그리고 혹시 아세트산 무수물과 강염기의 pH를 구할 땐 어떻게 하나요? 그냥 아세트산에 비해 강염기의 부피가 2배 더 필요하다는 것은 아는데.. 그러면 아세트산 무수물의 부피를 반 줄이고 아세트산처럼 구해도 되나요? 아니면 아세트산 무수물의 Ka가 따로 있나요?


#약산 강염기 적정 #약산 강염기 적정곡선 #약산 강염기 #약산 강염기 중화반응 #약산 강염기 적정 당량점 #약산 강염기 적정 지시약 #약산 강염기 당량점 #약산 강염기 적정 그래프 #약산 강염기 중화적정 #약산 강염기 중화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세트산의 농도에 따라 당량점에서 생성될 수소이온의 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당량점의 pH는 다를 수 있습니다.

아마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구하셨을 겁니다.

그결과 pOH는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서 0.05는 중화점에서의 CH3COO-의 농도입니다.

만약 중화점에서 CH3COO-의 농도가 0.5 M이었다면

pH는 9.2정도가 나옵니다.

아세트산 무수물의 경우 당량점에서의 pH 구하는 방식은

아세트산의 농도가 2배인걸로 보고 구하시면 됩니다.

만약 0.1M의 아세트산무수물이 있다면,

0.2M의 아세트산이 있는 것으로 보고 푸시면 됩니다.

질문자님 말씀대로 아세트산무수물 용액의 부피를 반 줄이고 (농도가 2배로 증가되는 효과)

아세트산처럼 푸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