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과 강염기의 중화반응 중화열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반응 중화열

작성일 2020.08.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에서 실험을 했는데요 강산인 HCl은 1.5몰로 납두고 강염기인 NaOH를 섞어서 반응을 보는 실험이였는데요 여기서 NaOH의 농도를 0.25몰 부터 2몰 까지 0.25몰 씩 높여가면서 온도의 변화를 보고 엔탈피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는 실험이였는데요 질문이 있습니당
1) 강산과 염기성의 반응에선 중화열은 산과 염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항상 같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2) 실험을 할때 NaOH의 농도와 엔탈피의 관계가 뭐에요?
3) HCl이 1.5몰이였기때문에 NaOH가 1.5몰 이상이 되면 그 이후로부터는 엔탈피의 변화가 없다는데 이건 무슨 얘기인가요?
좀 바보같긴한데 잘 설명해주세요ㅠㅠ


#강산과 강염기의 적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일어나는 반응은 H+ + OH- → H2O로 똑같기 때문입니다.

산과 염기의 다른 성분이 반응하지 않는 이상, 중화반응은 항상 똑같은 방식으로 일어나지요.

2. 같은 부피의 HCl, NaOH를 넣는 경우로 설명합니다.

NaOH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중화반응하는 물질의 양이 늘어나 총 반응 엔탈피가 증가합니다.

다만 HCl이 모두 반응하게 되면 그 이상 총 반응 엔탈피가 증가하지는 않지요.

3. 2번에서도 설명하였듯이, HCl과 NaOH의 부피와 농도가 같으면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일어납니다.

더 이상 반응할 HCl이 없게 되지요.

따라서 NaOH의 농도를 더 진하게 해도 반응이 더 일어나지 않아 총 반응 엔탈피의 변화도 없습니다.

중화열의 정의

"산 + 염기 -> H20 + 염 + 중화열" 이라는데 여기서 중화열의 뜻이 뭔가요? [설명] [1]... 그러므로 중화반응에서 1몰의 물이 생성된다면 강산, 강염기의 중화 반응에서...

문제 풀어주세용

... X 설명 [4] :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 반응에서 중화점이 액성은 중성이다 ㄷ. X 설명 [4] : 중화열은 산의 H+, 염기의 OH- 가 반응 H2O 를 생성할 때...

중화반응에서 탄산칼슘을 대체할 수...

제가 친환경 제설제 만들기 탐구활동으로 중화열을 이용하기 위해 구연산과 탄산칼슘을... 중화반응에서 발열이 가장 큰 경우는 강산과 강염기가 만났을 때입니다. 두 강산과...

중화반응

중화반응하면 중화열이 나오잖아요 근데 반응을 많이하면... 강산이랑 강염기를 각각 페트병 큰거 양만큼 반응시키면 중화열로 밥도 지어먹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물론...

중화열이 항상 같은 이유:???

산이랑 염기의 종류랑 상관없이 중화열이 같은 이유가 뭔지 궁금해요.. 강산 강염기를... A-와 M+는 실제 중화반응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산인지..어떤염기인지는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