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숫자 덧셈뺄셈 질문

유효숫자 덧셈뺄셈 질문

작성일 2018.04.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유효숫자 덧셈 뺄셈시에는 소수점 이하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계산하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예를들어 33.21 + 5.002 이 두개가 있다면 
전체 유효숫자는 둘다 4개이고 
소수점 이하로 하면 33.21은 2개고
5.002는 몇개가 되는건가요? 0이 중간에 있어서 5.002면 4개인데 소수점 이하로보면 002로 유효숫자가
한개가 되는게 맞는건가요? 


#유효숫자 덧셈뺄셈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33.21+5.002를 하시면 38.212가 되는 데 소숫점 아래가 적은 수에 맞추는 거기 때문에 38.21가 되어야 하고

33.21의 유효숫자는 4개 5.002의 유효숫자 또한 4개입니다.

유효숫자 덧셈뺄셈 질문

(Tf-32°F)×5°C/9°F=Tc 식을 이용해서 계산하는데 만약 Tf가 98.6°F 이면 결과값의 유효숫자를 어떻게 표시해야되나요? 책에서는 37.0°C라고 하던데 저는 계산에 참여한...

유효숫자 덧셈 뺄셈 질문

... 제가 어느 부분에서 잘못생각하고 있는건지 도저히 알 수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도와주세요 소숫점 상관없이 최소 유효숫자로 계산해야 하는것 아닌가요??...

유효숫자 덧셈뺄셈 질문

유효숫자 덧셈 뺄셈시에는 소수점 이하의 자리수가 가장 적은 유효숫자로 계산하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예를들어 33.21 + 5.002 이 두개가 있다면 전체 유효숫자는...

유효숫자 덧셈 뺄셈

... 추가 질문(의문) 사항이 있으면, ‘1:1질문’ 또는 ‘추가질문’ 해 주세요. ( 만약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라고 뜨면, “새로고침 (F5)” 해 보세요. )

덧셈,뺄셈에서의 유효숫자 질문이요

1) 뺄셈에서 소수점 이하 자릿수가 적은 쪽에 맞춰서 최종 유효숫자를 결정한다고 배웠는데요 예를 들어서 24000 - 50 이런 경우는 둘 다 소수점 이하 자릿수가 없잖아요??...

유효숫자 질문

#2에서 #3을 넘어갈 때 덧셈 뺄셈은 가장 적은 소숫점 자리수까지를 유효숫자로 본다고 했으니 732.1을 통해 소수점 첫번째 자리수까지만 유효숫자로 본다고 생각을...

유효숫자 곱셈 질문

유효숫자 덧셈뺄셈에서는 가장 정밀도가 낮은 숫자에 맞춰야 한다는 건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왜 곱셈에서는 유효숫자가 가장 적은 수와 맞춰야 하는 건가요? 네, 유효숫자...

유효숫자 질문

... 곱셈 나눗셈일 때 - 유효숫자가 가장 적은 수에 맞춤 2. 덧셈 뺄셈일 때 - 소수점 아래 자릿수가 가장 적은 값에 맞춤 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열기관의 효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