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공부(양자역학..)~

물리학 공부(양자역학..)~

작성일 2009.02.1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고3 문과 학생 입니다.

문과 학생이지만 양자역학이라는 분야를 꼭 공부하고 싶은데요.

모의고사 성적은 전국 상~최상위 입니다.

그런데 나중에 어떤 일을 할지 뚜렷한 목표가 없어서 소위 일류대학을 가도 뭘 해야 할지 모르며 살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목적의식 없이 공부해왔는데 양자역학이라는 학문이 생애 처음으로 제 마음을 끕니다.

이런 마음은 처음이에요..

지금와서 전과를 할 수도 없고.. 하지만 이 학문을 배우기위해 꼭 해야한다면 하겠습니다.

아니면 혹, 문과 대학을 가서 양자역학이라는 학문을 대학에서 전문적으로 배울 수 방법이 있나요?

 

이 상황에서 조언좀 부탁드려요(조언은 양자역학을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 방향으로 해주셨음 합니다.)..

감사내공까지 드릴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양자역학은 물리학과 3학년에서 두 학기 동안 배우는 전공과목입니다. 만일 물리적 현상에 대한 이해능력이 어느 정도 된다면 그냥 물리학과 과목을 수강하면 양자역학을 배우기는 충분합니다.

 

그런데 양자역학을 왜 배우기 원하는지에 따라 조언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양자역학은 오늘날 첨단 과학기술의 기반이 되는 분자, 원자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운동법칙입니다. 이제 양자역학 이론체계는 완성되어서 물리학의 기초과목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양자역학이 뭔지 잘 이해하고 싶다면 앞에서 말한 것처럼 물리학과로 가서 그 과목을 수강하면 됩니다. 모의고사에서 전국 최상위 정도의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그냥 가서 들어도 됩니다. 물리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양자역학을 듣기 전에 역학, 전자기학 등의 과목을 먼저 수강하지만, 그냥 양자역학이 궁금해서 수강하는 거라면 바로 들어도 상관없습니다. 양자역학 이론체계가 고전역학이라고 알려진 뉴턴역학 이론체계와 전혀 다른 새로운 아이디어이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바로 시작해도 상관이 없지요.

 

그런데 혹시 양자역학을 졸업후 무슨 목표로 세운 것이라면 조금 방향이 안맞습니다. 양자역학은 미시세계를 설명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법칙체계이지요. 양자역학 자체가 목적이 되지는 않습니다. 물리학을 전공하려면 양자역학을 모르면 절대로 안되지만, 공대의 전공을 공부할 때는 양자역학을 겉핥기로만 알아도 상관없답니다. 만일 양자역학을 잘 이해하고서 공대 공부를 한다면 아주 기초가 튼튼한 사람이 될 수가 있겠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먼저 현존하는 최고의 물리학자중 한사람으로 일컫어지고 있는 에드워드 위튼에 대해 소개드리고 싶네요.

 

"이론물리쪽 전공자를 만나면 한결같이 얘기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에드워드 위튼이다.
프린스턴대 물리학과 모 교수가 하버드, 프린스턴, MIT 등등의 잘나가는 교수들을 모아놓고
강연할 때 "여기있는 분들도 모두 뛰어나지만, 넘을 수 없는 신의 경지에 오른 인물"이라
소개했던 인물.

그의 경력또한 기이하다. 그는 20세의 나이에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언어학과 역사학을 전공
했다.(그는 문과출신이다.-_-) 졸업 후 저널리스트로도 활동했으며 대통령 선거 참모로도 활
동했다. 그러다 21세에 물리학으로 전향하여 Bradeis Univ.에 입학하지만 1년만에 학부수준의
모든 물리와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졸업, 교수의 추천을 받아 Princeton에 가서 다시 3년만에
이론물리로 박사학위를 받는다.(25세)
(믿거나말거나이지만 그 때 당시 추천서에는 이렇게 쓰여있었다한다. "이 학생은 천재다. 이
학생을 받든지말든지는 당신 학교 마음이다.")

그리고 3년 후 단번에 프린스턴 정교수로 임용된다. 이과로 전향한지 딱 7년만의 일이다.(28세)

물론 양자역학에 대해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싶으시다면 어느 시기엔가는 물리 전공을 하셔야 합니다.

본인의 능력이 되고 의지가 확고하다면 그 시기가 조금 늦어지는 것은 큰 상관은 없습니다.

 

정말 양자역학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시다면 지금이라도 방향을 바꾸세요. 물리라는 것이 고도의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만큼 수학적인 기초는 미리 다져 놓는 것이 좋습니다. 고등학교 수준이라고 해도 문과와 이과에서 배우는 수학의 수준은 꽤 차이가 납니다. 대학입학시 지금과 똑같은 고민을 다시 해야한다면 본인에게도 낭비겠죠.

 

이 길이 정말 내길인지 아직 확신이 부족하시면 대학 입학후에(아마도 문과계열) 다시 고민해 보셔도 나쁘지 않습니다. 물리학과 청강하시면서 확인해 보실 수도 있구요. 그 때 결정해도 꼭 늦은 것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물리학 공부(양자역학..)~

... 지금까지 목적의식 없이 공부해왔는데 양자역학이라는 학문이 생애 처음으로 제... 먼저 현존하는 최고의 물리학자중 한사람으로 일컫어지고 있는 에드워드 위튼에 대해...

중학생 양자물리학(양자역학)

... 이제 중1올라가는 남학생이 읽을만한 양자물리학(혹은 양자역학이라고도 하나요?음...... 더군다나 양자역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철학적 공부도 반드시 해야합니다....

물리학중에 양자역학에 대해 공부하고...

... 등 양자역학)을 진심으로 알고싶어지게 돼서 그쪽으로 나가기로 했어요 그런데 그쪽이 물리학과로 가야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굳이 박사학위까지 따서 공부해야되나요?...

양자역학? 양자물리학?

... 상태의 물리학이었고 이후 양자역학을 이해하거나 공부하기 너무 어려워 양자역학을 조금 쉽게 다루는, 복잡한 수학과 시스템을 생략하고 현대물리학양자역학의...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천체물리학...

... 저는 현재 대학교 3학년 물리학과재학중인데 저역시 양자역학공부하고있는 중입니다만 이만한 책은 못봤어요 꼭 탐독하시길 빌겠습니다. 2.상대성이론에 관한 책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