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4년제 기계 공학과 대학

한국의 4년제 기계 공학과 대학

작성일 2007.04.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리나라 4년제 기계 공학과 대학 중 요즘 잘 나가고 알아주는 좋은 대학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되도록 많은 대학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실수록 채택해드리겠습니다.


#한국의 4년제 대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대가 좋은 주요 대학으로는

1.카이스트

2.포항공대

3.서울대

4.한양대

5.연세대

6.고려대

7.부산대

8.경북대

9.인하대

10.성균관대

이 정도 되겠구요.

 

부산대 기계과 들어갈려면 2등급 정도면 충분히 합격합니다.

 

부산대 공대 괜찮습니다.

 

그 중에 기계공학과와 조선해양공학과는 전국적인 수준이죠.

 

LG전자와 현대중공업 과장급 이상 임원의 2/3가 부산대 기계공학과 졸업생입니다.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는 전국1위 수준으로 국내 4대 조선업체인

현대,삼성,대우,한진조선의 대졸 인력의 30%가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졸업생입니다.

 

부산대에서는 가장 알아주는 학과는 기계공학부입니다.

국가 지정 대학이고 35년이 넘게 기계분야 특성화 지정되어 있으며,국책대학입니다.
또한 BK지원도 받고 있고 대한민국 기계,중공업,자동차 중견 인재를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이죠.

기업체선호1위,인지도1위,졸업생수1위,인성1위,대학,대학원 최우수평가등의 화려한 평가를 받고있고 해외에서도 부산대 기계는 인지도가 상당합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는 2004년도 학문분야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기계공학분야, 생물⋅생명공학분야 그리고 신문방송⋅광고홍보학분야이며, 평가대상 대학은 설립 후 6년이 경과하여 3회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학으로, 평가대학수는 기계공학분야 81개교(대학원 55개교), 생물⋅생명공학분야 75개교(대학원 70개교), 신문방송⋅광고홍보학분야 58개교(대학원 27개교)이었다. 대교협은 2004년 11월에 이들 학문분야에 대한 서면평가와 현지방문평가를 실시하였다.

종합결과는 평가영역별 점수를 합산하여 최우수, 우수, 인정, 개선요망으로 구분하여 발표하며, 최우수 대학의 순위를 발표하였다."

"하지만, 평가영역별 결과를 살펴보면 학부, 대학원 전 영역별로 모두 최우수인 대학은 고려대와 부산대 두 곳 뿐이다."


 

세계 3대 엔진, 동력장비 메이커이자 세계최고급 자동차메이커인 롤스로이스가 유일하게 산학을 맺은 학교가 부산대 기계죠. (3대 메이커는 미국 GD와 독일 벤쯔, 그리고 영국의 롤스로이스입니다.)
서울대 포항공대 한양대가 아니라 부산대입니다.

 

훌리건이 어디가 좋다 어디가 좋다는데... 솔직히 웃깁니다.. 우리나라 산업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수도권에서 알수가 있나요? 재대로 실험이라도 많이 했을까요?

기계관련 기업이 수도권에 있지 않고 부산경남권에 삼성전자, 삼성SDI, LG전자,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대우GM, 대우중공업, 르노삼성, SK, 한진중공업, 삼성중공업, 한국우주항공, 로템(한국철도차량)등 대기업이 몰려있는 현실에서 수도권이 일할 곳이 많을까요?


이런 대학이 수도권에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단지 부산이라는 수도권을 제외한 대한민국 최대지역에 있을 뿐  오히려 산업분야와 연구에 대해서는 서울,수도권이 지방입니다... 부산, 동부경남이 산업에 있어서는 대한민국의 중심입니다.

울산에 사신다고 하셨는데... 울산의 분위기 잘 아시겠네요... 자동차, 중공업,조선의 도시이죠?? 바로 그 베이스가 기계공학이고 그 도시에 가장 많이 있는 졸업생이 부산대 기계공학 출신자들입니다.
뭐 창원, 마산, 거제쪽도 부산대 기계공학 출신자들이 휘어잡고 있는 실정이라 이런 설명은 안하겠습니다.

 

이 내용은 여기서 접고 부산대의 타 유명학과는 관련기업이 주변에 몰려있는 조선공학과, 화학,재료분야, 건축토목분야등 공대 전계열이 우수한 학교입니다.
LG전자가 국내 최초 산학연구 주문식 교육을 체결한 학교가 부산대입니다. 그 다음이 인하,한양인걸로 압니다.
삼성전자 또한 부산대에 산학연구를 하고 있고 우수인력을 스카웃해가려 하고 있으며 주변에 기업에서 졸업예정자들에게 취업제의를 상당히 많이 하는 등의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학교입니다.

 

또한 부산대 상대는 국내 최초의 상학분야를 도입하였고 국내최초 상공회의소가 120여년전부터 부산에서 시작했을만큼 상업적 도시였던 부산은 그 중추대학인 부산대상대의 상당히 높은 수준을 알게 해줍니다.
실제로 부산대 상대는 서울 서강대나 성균관대 한양대이상의 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산대 나노학과는 세계적인 나노분야 연구소인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국내유일 연구협정을 체결하고 연구할만큼 비젼이 있는 학과입니다.(한양대가 유치하려 했는데 프라운호퍼 측이 거절하고 대신 부산대와 협정하자고 해서 부산대가 받아들였습니다.. )

 

또 밀양대와의 통합과 함께  생명과학단지가 신설되고 양산의 2 캠퍼스의 완공과 더불어 국내유일의 의료전문 대학단지가 생성되는 등 부산장전캠퍼스, 양산제2캠퍼스, 밀양생명과학캠퍼스등 대규모 캠퍼스의 건립으로 산학연구단지를 지을 부지를 확보하는등 명실상부한 부산,동부경남권 산업연구시설단지화됩니다.

 

또 지방최고의 사법고시합격(전국 5위권)에 걸맞게 부산대 로스쿨의 설치가 확정적이고 부산경남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사범대 또한 부산대에 있습니다.

 

1953.04

공과대학 설립과 동시에 기계공학과 개설

1973.12

기계계열 특성화대학으로 지정

1994.03

전국 기계공학과 평가에서 전분야 우수학과로 선정

1994.08

국책지원 공과대학으로 기계공학부 지정

1996.03

기존 기계계열 5과학과를 통합. 기계공학부로 출범

1997.09

기계공학연구정보센터 설립

1997.09

전국 기계공학부 평가에서 성품 및 인성면에서 최우수 평가(중앙일보)

1997.09

지난 44년간 10,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 산업체 기여도 1위 평가

1998.10

기계설계 전산화 인력양성센터 설립

1999.05

국책 공과대학 중 '최우수'로 평가받음

2000.03

BK21 핵심분야 2개 실험실 선정

2002.08

초소형 기계 및 부품 기술혁신센타 (MEMS Center) 설립

2002.09

고장분석 및 신뢰성 연구센터 설립

2003.04

2차 BK21 핵심분야 2개 실험실 선정

2003.06

국가지정연구실(NRL) 2개 실험실 선정

2004.12

ABEEK(한국공학교육인증) 인증 획득

2005.02

전국대학교육평가 기계공학 학부, 대학원 전 분야 최우수
2005.09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URI) 대형사업단 선정 (4년간 매해 50억씩 지원)

2006.04
2단계 BK21과학기술분야 선정(7년간)

 

※ 외부기관의 평가(중앙일보)

 - 산업체 기여도1위(94년) 

 - 기계분야 기술 인력 공급실적 전국대학중 1위

 - 인성,품성 부문 1위

 - 삼성,LG,현대차등 6개그룹의 신규임원 출신대학별 분포(부산대 2위)

 

부산대 공대 각 학과 취업률 자료입니다.

http://www.eng.pusan.ac.kr/jobs/02_2.html

2005년 2월 졸업자 취업현황 (2005.6.1 현재)
학과 졸업
생수
취업
대상
취업자 취업률 전체
취업률
(%)
기계공학과 231 13 170 10 156 9 91.8 90.0 91.7
조선해양공학과 58 5 51 5 48 5 94.1 100 94.6
항공우주공학과 33 - 21 - 15 - 71.4 - 71.4
토목공학과 39 - 34 - 25 - 73.5 - 73.5
건축학과 38 34 24 18 20 11 83.3 61.1 73.8
재료공학부 60 9 50 7 44 7 88.0 100 89.5
산업공학과 22 6 20 6 17 6 85.0 100 88.5
도시공학과 18 2 18 2 12 - 66.7 - 60.0
환경공학과  16 13 11 8 7 7 63.6 87.5 73.7
고분자신소재공학과  24 22 13 18 9 14 69.2 77.8 74.2
화학공학.생명공학과 22 20 17 16 17 9 100 56.3 78.8
섬유신소재공학과  9 10 7 7 6 4 85.7 57.1 71.4
전자전기통신공학과 133 18 98 14 89 14 90.8 100 92.0
정보.컴퓨터공학과 75 35 41 23 35 21 85.4 91.3 87.5
778 187 575 134 500 107 85.6 79.9 85.6

 

 

 

그리고 부산대 공대 중에 그 다음으로 괜찮은 과가

 

전자전기정보컴퓨터공학부 입니다.

 

부산대 전자전기통신공학부와 정보컴퓨터공학부의 졸업생 현황

2005년 전자전기통신공학부 졸업생 현황

삼성전자

19

삼성SDI

11

삼성중공업

3

LG 전자

18

LG Philips

12

LG 산전

1

한국전력

9

한국수력원자력

3

삼성전기

1

한국가스공사

1

SK 케미컬

1

SK 텔레텍

1

씨멘스브이디오한라

5

기 타

11

현대기아자동차

4

 

 

(주) 효성

2

 

 

 

졸업인원 : 151    군입대 : 4    진학(대학원) : 32    미취업 : 13   취업 : 102

 

취업율 : 91.39 %

 

진학 : 부산대 : 16,  KAIST : 11,  서울대 : 2, 포항공대 : 2, 기타 : 1

2005년 정보컴퓨터공학부 졸업생 현황

취업률 : 97.3 % , 총 졸업인원 : 116 명

진학(본교)

34

진학(타교)

6

진학(유학)

2

 

삼성전자

23

LG전자

16

삼성SDS

1

LG텔레콤

1

KTF

1

SK텔레콤

1

SK텔레텍

2

대우정보시스템

1

국방부

1

차세대물류IT기술연구사업단

4

금융결제원

1

농협중앙회

1

유니퀘스트

1

학원

1

자영업

1

지엠텍

1

동일벨트

1

프리랜서

1

겜누리

1

(주)샤프전자

1

지식발전소

1

한화기계(주)

1

ITEC-KOREA

1

공무원(정보원)

1

기타

1

   

 

 

2단계 BK21사업 전국 대학별 지원액 현황

 

추가로 대기업 승진임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매일신문자료입니다.

 

 

"2006년도 주요 그룹 임원 승진인사에서 부산대학교 출신이 대거 발탁되었다. 최근 매일경제신문이 현대ㆍ기아차, LG, GS, 현대중공업, 금호아시아나, 두산 등 9개 그룹의 2006년도 승진 임원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대학은 서울대, 고려대에 이어 3위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 따르면 우리 대학 출신은 전체 612명 중 44명으로, 전체 승진자의 7.2%에 해당된다. 이처럼 부산대학교 동문들이 재계에서 두드러진 활약상을 보이는 것은 주요 그룹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우리 대학은 지난 2004년 1월 한국경제신문이 분석한 삼성·LG·현대차그룹 등 6개 주요그룹의 신규임원 승진에서도 37명을 배출하여 전체 승진자(384명)의 9.6%를 차지하며 서울대에 이어 2위를 기록했었다.
(2006.1.9.)

 

 

[한경 6개 그룹 신규임원 출신대학 분석]

[한국경제 2004-02-02 17:42]

한국경제신문사가  삼성·LG·현대차그룹 등 올해 6개 그룹 신규임원(3백84명)의 출신 대학을 분석한 결 과 각 기업들은 학맥보다는 능력에 따라 인재를 골고루 등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G와 삼성에선 부산대 출신들이 대거 임원을 달았다.

LG의 경우 부산대 출신은 20명으로 전체의 22%에 달하는 등 초강세를 보였다 .

삼성에선 서울대 출신(20명)과 삼성이 재단에 참여하고 있는 성균관대(17명)을 제외하면 고려대와 한양대 다음으로 많은 신규 임원들이 부산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 2003-01-21 17:30]

올해 삼성 LG SK 현대자동차 등 4대그룹은 신규 임원을 선임 중

전체의 15.1%(58명)를 차지한 서울대 출신이 가장 많았고

고려대-한양대-연세대-부산대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4년제 기계 공학과 대학

우리나라 4년제 기계 공학과 대학 중 요즘 잘 나가고 알아주는 좋은 대학들에... 부산대 기계는 인지도가 상당합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는 2004년도...

한국폴리텍대학 전기과 4년제...

한국폴리텍대학 전기과 4년제 전기공학과 예를 들어 4년제 전기공학과대학교 수준이 천차만별인데 전문대 전기과 vs 4년제 전기공학과 서로 난이도 차이가 큰가요?...

자동차과 기계공학과가 있는 4년제 대학

... 자동차과나 기계공학과가 잇는 4년제 대학교들좀 알려주세요 대학도 여길 갈거다한... 삼육대학교(본교) 카메카트로닉스학과 서울특별시 한국오토모티브컬리지...

4년제 기계공학과 취업 질문

안녕하세요 기계공학과 진학을 꿈꾸는 고2학생입니다 제가 4년제 기계공학과 학교를... 경기도권 대학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학교 광고는 달지마세요) 안녕하세요!...

내신4등급 기계공학과 4년제대학 추천좀...

... 한국기술교육대, 한국산업기술대, 한성대, 한신대, 홍익대(세종)입니다. 이중에서 특성화고 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은 가천대, 수원대, 을지대, 한성대이며 기계공학과를...

4년제 기계공학과 대학 질문

... 이전부터 대학은 가고싶었지만 군문제때문에 병역특례업체에 취업을했으나... 4년제 기계공학과 를 가려고하는데 찾아보니 수시로는 좀어려울것 같습니다. 그래서...

한국 4년제 대학에서 생명공학과를 졸

한국 4년제 대학에서 생명공학과를 졸업하고나서 미국으로 석사 유학후 미국에서 시민권을 취득 해서 연구원으로 활동할 수 있을까요? Answer: 바로 시민권자가 될 수는...

정규4년제 대학 기계설계공학과 졸업자

정규4년제 대학 기계설계공학과 졸업자 입니다 전기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할려고... 전기산업기사 시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산업인력공단(www.q-net.or.kr)에서 확인하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