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용전단응력? 인장응력?

허용전단응력? 인장응력?

작성일 2009.01.0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규격집에 보면 금속별로 인장강도가 나오잖아요.

그럼 그걸 가지고 전단응력, 허용전단응력, 허용인장응력, 굽힘응력, 허용굽힘응력을 알아낼 수 있나요?

알아낼 수 있다면 어떤 공식으로 알아낼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단응력, 허용전단응력, 허용인장응력, 굽힘응력, 허용굽힘응력

 

인장 강도만 가지고는 구할수 없습니다

 

응력은 어떠한 부재에 외부적인 하중이나 힘을 받으면 그에 대응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데요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이나 건축물들의 응력은 모두 허용응력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응력이라 하는데요 허용응력은 사용응력의 최대값이라 볼수 있습니다

 

허용응력은 극한강도/안전율 인데요 모든 부재 마다 다릅니다 

 

재료역학 1장에 나오는 내용이니 보시면 금방 알수있을 것 입니다   

 

응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보통 하중/면적/탄성계수/단면2차모멘트/단면계수/극단면계수/단면1차모멘트/

SFD,BMD:부제에 하중이 걸릴때 전단력과 모멘트의 양상/등 많은 것을 알아야 구할수 있습니다

 

하중에도 수직 전단 우력 비틀림 등 여러가지가 있음으로 모두 알아 두셔야 합니다

 

같은 형태의 하중을 받더라도 부재 단면의 형상에 따라서 응력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고로 공식에 나오는 모든 값들이 어떤 의미인지 어떨때 쓰이는지 알지못한다면

 

공식 그대로의 문제는 풀수 있지만 조금만 응용이 되어도 풀수 없게 되버립니다

 

결론은 인장강도만 가지고는 풀수 없습니다

 

문제에 주어진 값 외에는 직접 유도하거나 찾아서 공식에 적용 하여야 합니다

 

저도 재료역학을 공부하고 있는데요 재료역학은 결국 응력을 찾아내면 끝입니다 찾아낸 그응력이 허용응력보다

 

작으면 안전하다는 뜻이겠지요 ..역으로 응력과 여러가지로 부재의 치수를 결정하는것이 요소설계 입니다

 

그점을 인지 하시고 공부하시면 요소설계도 더욱 쉽게 공부하실수 있으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공식을 적어 달려셨는데 과연.. 적어주시는 멋진 분이 없을 거라봅니다. 한두개가 아니므로 책을보시는 편이 빠르리라 생각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재료역학 문제 이군요.

 

문제의 규명은 규격집에 있는 금속별 인장강도로 전단응력, 허용전단응력, 허용인장응력, 굽힘응력, 허용굽힘응력을 알아낼수 있는가 ?

 

휴~ 자 이제부터 풀이 들어갑니다.

 

우선 금속의 인장강도(혹은 ultimate stress : 최대인장강도)를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맞나요?

 

하여간 금속의 최대인장강도는 공칙응력시 노킹(necking : 재료가 파단직전에 단면적이 급격이 줄어드는 현상)

 

의 직전이 될 것이며, 진응력시는 파단시점이 최대인장 강도가 됩니다. 물론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대부

 

분의 금속 계열은 재질은 이와 같은 거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재료의 특성을 통하여 파악되는 재료의 기계적인 물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복점 : yield point 재료의 비선형적 거동이 급격히 발생하는점. 구조물에 사용되는 금속재료는 항복점을 넘는 하중을 받게되면 소성변형을 하여 파손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탄성계수 : elastic modulus 재료의 탄성구간의 기울기, 이구간 내에서 기초 재료역학의 모든문제가 풀어지게 됩니다. 또한 후크의 법칙이 적용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포아송 비 : poission raito 인장하중을 받는 재료의 길이방향 변형과 두께방향 변형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전단탄성계수 : shear elastic modulus 전단하중을 받는 재료의 선형구간 기울기를 나타냅니다.

 

우선 간단하게 답만 말씀드리자면 인장강도 하나만 가지고는 아무것도 구할수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하다못해 전단응력을 구하려고 하더라도 인장탄성계수, 포아송 비 등을 가지고 있어야 전단탄성계수를 구할수 있

 

으며 이를 전단응력을 구하는데 사용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재료역학 문제를 보시면 제대로 규명할 수 있을것 같군요.

 

혹시 풀으시려는 문제가 있으시면 메일로 보내주세요 아는데로 말씀드릴께요.

 

 

미흡한 답변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인장강도가 있으면 안전율을 적용시키면 인장응력을 구할수있는데요.

 

보통 인장응력을 구할떄 금속 재질에 따른 안전율 주는게 다 다르거든요.

 

머 힘을 받는 하중에 따라 안전율이 달라지다보니...

 

안전율=인장강도/응력

 

응력=인장강도/안전율

 

저도 쫌 그것 때문에 해메고있어요 ㅠㅠ

 

헌데 보통 이렇게 하더라구요.

 

안전율은 설계자가 주는거지만 그건 경험치에 불과하고 설계치는 머 기계재료 책이나 기계설계책을 보시면 보일껍니다

볼트 허용 전단응력시 단면

볼트의 허용전단강도 산정시에 단면 A에 처음문제는 4를 곱하고 두번째는 2를 곱하는데 차이가 어떤건지 모르겠네요.. 위의 것은 리벳이 2개가 있지만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

스테인리스 STS304, 403 허용전단응력...

STS 304, 403의 허용전단응력이 어떻게 되나요? 아무리 찾아도 나오질 않아요 ㅠ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스테인리스 STS304, 403 허용전단응력 스테인리스 STS304...

허용전단응력? 인장응력?

... 그럼 그걸 가지고 전단응력, 허용전단응력, 허용인장응력, 굽힘응력, 허용굽힘응력을 알아낼 수 있나요? 알아낼 수 있다면 어떤 공식으로 알아낼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내공50] 인장응력, 전단응력, 허용전단...

... 1.인장응력 = Normal stress 응력 = 힘/면적 입니다. 즉 면적당 받는 힘입니다.... 허용전단응력은 물체에 이 이상의 응력이 걸리면 파괴되다는 말입니다. 즉 물체가 파괴되지...

비틀림 인장응력, 전단응력

비틀림에서 인장응력전단응력이 가장 큰 곳이 각각 어디인가요? 비틀림이 큰 지점이 맞나요? 아니라면 어디인가요? 전단응력이 가장 큰 곳은 비틀림이 큰 지점입니다...

허용전단응력은 어떻게 구하는지요?

... 각 재료의 허용전단응력인장응력으로부터 구할수 있는지 아님 다른 KS나 JIS 를 찾아보아야 하는지 궁금하군요. 부탁합니다. .. 아녕하세여. 여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