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러지수 (020)면(010)면 지수나타내는법과 차이점?

밀러지수 (020)면(010)면 지수나타내는법과 차이점?

작성일 2005.10.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문제)(020)면과(010)면의 지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이면들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이문제좀 풀어주세요?

그리고

(111)면의 hkl은 111이고 좌표의 xyz는 111이자나요

(010)면의 hkl은 010이고 좌표의 xyz는 어떻게되지요?지수를 나타내라는 말이 xyz를 나타내라는 말인가요?

무한대1무한대 인가 ㅡㅡ;;모르겠당

그리고 왜 ㅇ,ㅇ,ㅇ인 점을만나면 원점을 옴긴다는게 뭔말이죠?

알려주세요 내공잇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면을 밀러 지수로 나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로 평행하지 않은 임의의 세개의 좌표축을 잡고, 원점을 잡습니다.

 

(좌표축이 수직하지 않아도 상관없습니다)

 

 

각각의 좌표축을 나타내는 벡터를 a, b, c (각각의 크기는 a, b, c)라고 정의하겠습니다.

 

이러한 좌표축에서, 특정한 면이 x,y,z축과 만나는 점들의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각각 pa, qb,  rc이라고 하면, 각각의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p, q, r이 되고,

 

각각의 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의 역수를 취한뒤 (1/p 1/q 1/r)

 

가장 간단한 정수형태 (h k l)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 면을 밀러지수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pa, qb, rc인데 왜 좌표는 p,q,r로 했느냐고 물으실 수 있는데,

 

최초에 정의에서 각 축을 a,b,c 벡터로 정의하고, 크기가 a,b,c라고 가정했기 때문입니다

 

즉, 각축에서의 단위 크기가 a, b, c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정육면체의 모서리와 같은 형태로 좌표축을 잡으면, 각각의 축을 나타내는 벡터의

 

크기도 같고, 각 벡터간에 모두 수직이라 생각하기 쉬운데, 왜 굳이 이렇게 나타내느냐고

 

물으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물론, 위와 같은 방식(정육면체)이 보다 쉬운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결정은 정육면체 이외에도 평행육면체 형태 등은 경우도 많기 때문에,

 

모든 결정형태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의를 내리는 것입니다)

 

역으로, 밀러지수로부터 면을 나타내는 방법은

 

h, k ,l의 역수를 취하면 (1/h 1/k 1/l)에서 각각의 축과 만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원점으로부터의 실제 거리는 a/h, b/k, c/l이 되겠죠,

 

이해하기 어려우신 경우에는 a=b=c=1로 두고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이 점을 서로 연결해주면, (h k l)면이 됩니다.

 

2. 그렇다면, 특정축과 만나지 않고, 평행한 면은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남는데,

 

이러한 경우 무한대에서 만난다 (즉, 만나지 않는다)라고 해서, 무한대의 역수는 0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10)면은 a, c축과 평행하고, 1에서 b축과 만나는 면입니다.

 

 

 

3. (000)인 점, 즉 원점과 특정한 면이 만나게 되면, 원점을 다시 정해주라는 것은,

 

바로 위에 그림을 보고 생각해 보시면 될 듯하네요,

 

(010)면을 나타낸 그림에서, 오른쪽에 회색으로 칠해진 면은 원점O를 기준으로 나태날 수 있지만,

 

왼쪽의 (010)면과 같은 경우(즉, 원점과 만나는 경우) 밀러지수로 올바르게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원점을 다시 잡으라는 것입니다.

020)면(010)면 지수나타내는법과...

문제)(020)면과(010)면지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이면들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이문제좀 풀어주세요? 그리고... 면을 밀러지수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원점으로부터의...

밀러지수(입방격자 결정면) 문제

... 2) 위 밀러지수를 입방격자(cubic lattice)에 나타내는 방법. 먼저 (0-10)의 의미를... 결정학에서 plain의 정의상 (010)=(0-10)은 같은 평면입니다(입방격자에서) 답변이...

밀러지수와 면간거리에 대해서...

(100)면과 (200)면의 차이점과 면간거리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x선 회절법과 연관지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00)면과 (200)면 (300)면을 모두 그려보면 같은...

육방격자의 격자면가 방향에 대해...

... 결정방향의 밀러지수는 방향인 나타내는 직선이... (111) 처럼 지수가 같고 부호가 전부 반대인 면도... 지수가 같을 경우 반드시 직교한다. 또한 (100), (010), (001)...

Universal waite Tarot 카드 한글메뉴얼...

... 의미를 나타내는 카드가 나왔다면 어떻게... 자신의 법과 의견에만 의존할 것이다. 비록 그의 나이가... 그러나 일견(一見)하여 그 차이점들은 분명하다. 강렬하고 집 중된...

던파: 퇴마가 더 좋나요 소울이 더 좋나요?

... ★전화 ***-****-**** 일련정종 신도 ▶무당도 잡신이 들어와서 자신도 퇴마를 못해서... 남묘호렌게쿄 법과는 실제로는 아무상관없는 단체이다. 그러므로 일련정종의...

노인요양원 소개좀 시켜주세요

... ★전화 ***-****-**** 일련정종 신도 ▶많은 병중에 우리들이 이해하기 힘들고 알기도... 남묘호렌게쿄 법과는 실제로는 아무상관없는 단체이다. 그러므로 일련정종의...

ELS ELF 등을 해보려합니다

... #2 주식과의 차이점 개별 주식: 주가가 올라야 수익 발생 ELS 상품: 해당 주가지수나 개별종목지수에 대해 조건... 주주권을 나타내는 유가증권으로서의 주권을 가리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