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역학 제1법칙 일(w)

열역학 제1법칙 일(w)

작성일 2022.12.0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열역학 제1법칙에서 어떨 때는 w이 양수가 되거나 음수가 되는데 차이점 좀 알 수 있을까요?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1법칙 공식 #열역학 제1법칙 실생활 예시 #열역학 제1법칙 예시 #열역학 제1법칙 정의 #열역학 제1법칙 증명 #열역학 제1법칙 문제 #열역학 제1법칙 냉장고 #열역학 제1법칙 엔탈피 #열역학 제1법칙 미적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의 방향성입니다.

내가 10이란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2란 에너지를 통해 일을 했습니다.

한 에너지는 2이지만, 2를 잃었죠? -2입니다.

내가 10이란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어떠한 외력에 의해 15란 에너지를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내가 얻은일은 +5네요. 상대적으로 내게 힘을 가한 외력은 한일이-5가 되었구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열역학은 열기관 그러니까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전하고 독립적인 학문이 되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부호규약을 열기관을 기준으로 정하게 되었는데요, 열기관은 열을 받아, 일을 생산하는 장치이다보니까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열이 +, 외부로 나가는 일이 +로 정해졌습니다.

그 결과 에너지보존식은 △U = Q-W 가 됩니다.

화학열역학은 구분없이 시스템이 받는 것을 +로 정하고 있어 △U=Q+W로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 부호규약이 항상 일관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각 케이스별로 판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q와 w는 0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는데 이때 부호 약속이 물리 계열과 화학 계열이 달라요..

q에 대한 부호는 계로 열이 들어올 때를 q>0 으로 정하는 것은 어디서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W에 대해서는 물리계열과 화학 계열이 서로 다른 부호를 이용합니다.

물리 계열에서는 계가 외부에 일을 한 것을 W>0 이라고 정합니다.

화학 계에서는 계가 일을 받은 것을 W>0이라고 정합니다.

계로 열이 들어오면 계의 내부에너지가 증가하고, 계가 외부로 일을 하면 계의 내부에너지는 감소하기 때문에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U'-U = q - W 는 물리 계열에서 이용하는 열역학 제1법칙이고

U' - U = q + W 는 화학 계열에서 이용하는 열역학 제1법칙이어요.

내부에너지와 열역학 제1법칙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면 다음 강의를 들어보세요.

https://blog.naver.com/dcha/221474216349

열역학 제 1법칙

열역학 제 1법칙에서 Q=델타U +W라는것을 알겠는데 이것을 이상기체에서 보면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이상기체의 열에너지와 같다고 하는데 그러면 식이 Q=델타U만 있어야...

열역학제1법칙 에너지보존법칙

열역학1법칙이 왜 에너지보존법칙인가요 이유 알려주새요 열역학 제1법칙은 시스템의 내부 에너지 변화가 외부에서 시스템으로 유입되거나 시스템에서 방출되는 열과 일의...

열역학제1법칙와 역학적어너지 보존법칙

... 그런데 왜 열역학제1법칙이 이를 포괄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Q=ΔU+W 에서 W=ΔEk = -ΔEp이고 내부에너지가 분자들이 포함하고 있는 운동에너지와 퍼텐셜에너지인 것은...

열역학 제 1법칙 질문

... 일을 w = -pdV로 정의를 한거에요. 열역학 제1법칙의 본질이 젤 중요합니다. 고립계의... 압력-부피 외에는 고려를 하지 않는 상황만을 생각하기 때문에 저런식으로...

열역학 제1법칙

... 일단 저기 위에 유사과학자 엄장필씨는 거르시고요, 열역학 제1법칙은 고립계의... 만일 주어진 계가 고립계라면, 출입하는 열과 일로써 방출되는 에너지도 없으므로 Q와 W...

E=Q-W 열역학 제1법칙에서 Q는

E=Q-W 열역학 제1법칙에서 Q는 양수음수 다 되는걸로 아는데 E랑 W는 양수인가요? Q의 부호 뿐만 아니라 E와 W의 부호는 양수로 정해지는 건 아닙니다. 양수일 수도 있고...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1법칙에서 교등학교에서 배우는 미분 적분...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열역학 1법칙 자체에는 없습니다. 하지만, 거기에 등장하는 W()이 적분으로 정의되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