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량과 충격량

운동량과 충격량

작성일 2022.02.1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표면에 질량 m인 눈덩이가 속력 v로 날아와 충돌하여 벽에 붙어 버리는 경우 
지표면의 관찰자가 본 눈덩이의 운동량의 변화량은 -mv로 충격량을 구할수 있습니다.
그럼 지표면이 눈덩이로부터 받은 충격량은 mv가 됩니다.
그런데 
지표면의 관찰자가 본 지표면의 속도변화가 없으므로 지표면의 운동량 변화량이 0이 되어 충격량은 0이 되는어 충격량 = 운동량의 변화량 이 이루어지지 않게됩니다. 
제가 생각하는 과정에서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 #운동량과 충격량 공식 #운동량과 충격량 실험 보고서 #운동량과 충격량 예시 #운동량과 충격량 문제 #운동량과 충격량 실험 오차 #운동량과 충격량 레포트 #운동량과 충격량 보고서 #운동량과 충격량 활용 #운동량과 충격량 정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표면 이란 주로 지구를 말하는 것인데 지구는 눈덩이에 비해 질량이 너무 크기 때문에 지구의(지표면의) 변화는 생각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한마디로 변화가 있는데 무시하는거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충격량은 물체 각각에 해당되는 개념입니다. mv는 눈덩이의 충격량이지, 벽의 충격량이 아니에요. 벽은 충격량이 0이겠죠. 전체 계의 운동량이 보존되지 않는 것은 벽이 눈덩이에 힘을 작용하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표면에서 본 지표면의 속도라고 하려면 문제가 복잡해집니다.

마치 정지한 물체 A에 물체 B가 충돌 할 때 물체 A가 본 물체 A의 속도 변화가 없으므로 라고 말하려면 B의 운동을 기술하는데 더 복잡해지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합니다.

지구와 눈덩이의 운동을 기술할 기준계를 하나 정합니다. 그 기준계에서 충돌 전에 지구는 정지해 있고 눈덩이는 v로 옵니다. 그렇게 해서 지구와 눈덩이가 붙은 경우 지구와 눈동이의 속도를 V라고 하고, 눈덩이의 질량을 m, 지구 질량을 M이라고 하면 운동량 보존법칙에 의해

(m+M)V = mv

이고, V = mv/(m+M) 입니다.

그래서 눈덩이에 작용하는 충격량은

mV - mv = mv ( m/(m+M) -1 ) = mv x (m -m-M)/(m+M) = - mMV/(m+M)

입니다. 그리고 지구가 받은 충격량은

0 - MV = - mMv/(m+M)

으로 똑같게 되네요 !!

충격량과 운동량 변화량 사이의 관계에 대해 더 자세히 알기 원하면 다음 강의를 들어보세요.

운동량과 충격량

충격량에서 힘이 작용하는 시간이 길수록 충격량운동량의 변화량이 커진다고 들었는데 운동에서 쓰는 매트나 야구 펜스 같은 것들은 힘이 작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받는...

운동량과 충격량

... 운동량, 충격량 모두 벡터이므로 방향 설정에 주의해야 합니다. 고등 과정에서는 간단히 오른쪽을 +, 왼쪽을 -로 정하고 문제를 풀면 되겠습니다. 첫번째 그림 처음...

운동량과 충격량 롤러코스터

롤러코스터에서 사용된 운동량과 충격량이 무엇인가요 ..? 롤러코스터에서 사용된 운동량과 충격량이 무엇인가요 ..? 질문에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운동량: 높음...

운동량, 충격량

... 운동량, 충격량 운동량 또는 충격량을 매인? 으로 화학과 관련된 아이디어가 있을까요?? 질문해주셔서 답변드립니다 운동량과 충격량은 화학반응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운동량 충격량

... 물체의 운동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충격량을 받을 수도 있고 증가하는 방향으로 충격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운동량과 충격량은 비례이기도 반비례이기도 합니다.

운동량과 충격량

... 심지어 "충격량운동량의 변화량"이라는 운동량-충격량 정리 까지 갖고 있는데요. 충격량=연필 갯수의 변화량(2) 운동량=연필 개수(5) 5+2=7 = 나중에 갖게 된 연필 개수